대강절(待降節 / Advent)에 대한 모든 것 {대강절의 의미와 시기, 유래, 장식과 상징물, 풍습, 음식, 대강절기의 주일}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대강절(待降節 / Advent)에 대한 모든 것 {대강절의 의미와 시기, 유래, 장식과 상징물, 풍습, 음식, 대강절기의 주일}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교회력이란?

Ⅱ. 본론
  A. 대강절이란?
    1. 대강절의 의미
    2. 대강절의 시기
    3. 대강절의 유래
  B. 대강절의 생활
    1. 대강절의 장식과 상징물
    2. 대강절의 풍습
    3. 대강절의 음식
  C. 대강절기의 주일
    - 대강절의 주일과 성구

Ⅲ. 결론
  - 교회교육에서의 적용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구원을 받음이라
요한삼서 4 - 내가 내 자녀들이 진리 안에서 행한다 함을 듣는 것보다 더 즐거움이 없느니라
시편 35:9 - 내 영혼이 여호와를 즐거워함이여 그 구원을 기뻐하리로다 (발제 할 때 사용했던 성구)
마태복음 2:10 - 저희가 별을 보고 가장 크게 기뻐하고 기뻐하더라
이사야서 52:9 - 너 예루살렘의 황폐한 곳들아 기쁜 소리를 발하여 함께 노래할지어다 이는 여호와께서 그 백성을 위로하셨고 예루살렘을 구속하셨음이라
시편 66:1~3 - 온 땅이여 하나님께 즐거운 소리를 발할지어다 그 이름의 영광을 찬양하고 영화롭게 찬송할지어다 하니님께 고하기를 주의 일이 어찌 그리 엄위하신지요 주의 큰 권능으로 인하여 주의 원수가 주께 복중할 것이며
▶ 대강절 넷째 주 : 하나님의 선물
로마서 8:31~32 - 그런즉 이 일에 대하여 우리가 무슨 말하리요 만일 하나님이 우리를 위하시면 누가 우리를 대적하리요 자기 아들을 아끼지 아니하시고 우리 모든 사람을 위하여 내어 주신 이가 어찌 그 아들과 함께 모든 것을 우리에게 은사로 주지 아니하시겠느뇨
야고보서 1:17 - 각양 좋은 은사와 온전한 선물이 다 위로부터 빛들의 아버지께로서 내려오나니 그는 변함도 없으시고 회전하는 그림자도 없으시니라
누가복음 6:38 - 주라 그리하면 너희에게 줄 것이니 곧 후히 되어 누르고 흔들어 넘치도록 하여 너희에게 안겨주리라 너희의 헤아리는 그 헤아림으로 너희도 헤아림을 받을 것이니라
고린도후서 9:7 - 각각 그 마음에 정한 대로 할 것이요 인색함으로나 억지로 하지 말지니 하나님은 즐겨 내는 자를 사랑하시느니라
이사야서 9:6 - 이는 한 아기가 우리에게 났고 한 아들을 우리에게 주신 바 되었는데 그 어깨에는 정사를 메었고 그 이름은 기묘자라, 모사라, 전능하신 하나님이라, 영존하시는 아버지라, 평강의 왕이라 할 것임이라
갈라디아서 4:4~5 - 때가 차매 하나님이 그 아들을 보내사 여자에게서 나게 하시고 율법 아래 나게 하신 것은 율법 아래 나게 하신 것은 율법 아래 있는 자들을 속량하시고 우리로 아들의 명분을 얻게 하려 하심이라
고린도후서 9:15 - 말할 수 없는 그의 은사를 인하여 하나님께 감사하노라 (발제 할 때 사용했던 성구)
Ⅲ. 결론
교회교육에서의 적용
<교회교육에서의 적용>
1) 대강절 헌금
성탄절은 하나님께서 우리 인간들에게 예수 그리스도라는 더없이 소중한 선물을 주신 날이다. 우리 역시 예수님의 선물을 마련한다. 대강절 첫 주일에 빈 상자를 이용해서 헌금함을 만든다. 빈 화장지 통과 같은 상자를 구해서 한지나 셀로판지 혹은 금박지로 겉을 예쁘게 장식하고 구멍을 낸다.
용돈의 일부, 혹은 동전들이 생기는 대로 상자에 넣는다. 나이든 어린이들은 이 기회를 이용해서 십일조 훈련을 시켜도 괜찮다. 교회에서는 각 가정에서 4주 동안 모아서 성탄절에 가져온 헌금상자를 따로 모아서 특별히 어려운 이웃들에게 전달한다.
2) 대강절 금식
교회력에 따르면 기념일이 있기 전에 반드시 금식의 기간이 있었다. 성탄절도 마찬가지이다. 성탄절을 기념하는 세계의 여러 나라들도 성탄절 전야 12시에 갖는 축하예배 전까지 금식을 하는 경우가 많다. 나이 어린 어린이들에게는 강요할 것이 못되지만 나이를 먹은 어린이나 청소년들에게는 성탄절을 앞두고 어려운 이웃들을 다시 한 번 생각하는 계기가 될 수 있다. 금식의 가치를 값으로 환산해서 대강절 헌금통에 직접 넣게 한다.
3) 대강절 기도
대강절에는 손가락을 이용해서 색다른 기도를 해보자.
먼저, 엄지는 자신을 가리킨다. 나에게 가장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 내가 가진 문제는 무엇일까? 하나님께 마음의 문을 열자. 하나님의 눈으로 스스로를 바라보자. 그러면 하나님은 “나는 너를 사랑한다.”고 말씀하신다.
검지는 손가락의 방향처럼 다른 사람들을 상징한다. 교사, 이웃, 그리고 교인과 목사님을 위해서 기도한다. 자신과 친한 사람을 위해서 집중적으로 기도해도 좋다. 그들이 자신들의 달란트를 하나님의 영광을 위해서 사용할 수 있도록 기도한다.
중지는 손가락 가운데 가장 크다. 따라서 나라의 지도자들을 상징한다. 나라를 이끌어 나가는 지도자들이 지혜와 용기를 가질 수 있도록 하나님께 기도한다. 마음속으로 한 명의 지도자를 놓고 기도해도 좋다.
약지는 반지를 끼는 손가락이다. 반지는 사랑하는 사람을 가리킨다. 사랑하는 가족들이 서로 한 몸이 될 수 있도록 하나님께 기도한다.
소지는 불행하고 가난한 사람들을 나타낸다. 불쌍한 사람들은 누구일까? 집이 없이 거리를 떠도는 사람? 부모를 잃은 어린이들? 의지할 데 없는 노인들? 그 목록을 만들고 그들을 어떻게 도울 수 있을지 생각하고 대강절 기간 동안 실천한다.
4) 대강절 달력
대강절 달력은 독일에서 처음 만들어졌고, 우리나라에서도 흔히 볼 수 있는 대강절 행사 가운데 하나가 되었다. 성탄절을 준비하면서 대강절 달력을 확인하는 것은 또 다른 즐거움이 될 수 있다.
대강절 달력을 만들어서 날짜에 맞추어 28개의 성경구절들을 준비한다.
Ⅳ. 참고문헌
1. 동서
유재덕(1997), 『즐거운 절기 프로그램1』, (서울 : 호산출판사)
박성안(2000), 『루터교 예배이해』, (서울 : 컨콜디아출판사)
정장복(1991), 『예배학개론』, (서울 : 종로서적)
화이트제임스(1992), 정장복역, 『기독교 예배학 입믄』, (서울 : 엠마오출판사)
주승중,『은총의 교회력과 설교』
정장복(1999), 예배의 신학, (서울 : 장로회신대학교출판부)
『기독교교육』 (2007,2008,2009,2010,2011)
『교회교육』 (2007,2008,2009,2010,2011)
2. 학술논문
이진애,“한국의 중,소형 교회의 연간 예배 연구 : 교회력과 시가서를 바탕으로 기획” 석사학위논문, 장로회신대학교 대학원,2011.2
김종현,“1-4세기, ‘성찬 대감사기도’에 나타난 종말론적 특성 연구” 석사학위논문, 장로회신대학교 대학원,2012.2
3. 사전
정장복 외 9인(2000),『예배학 사전
네이버 사전(http://100.naver.com/100.nhn?docid=743169)
다음 사전(http://engdic.daum.net/dicen)
  • 가격2,000
  • 페이지수14페이지
  • 등록일2015.08.26
  • 저작시기2014.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7973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