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개요
2. 친환경 자동차 개발배경
3. 친환경 자동차 시장전망
4. 해외 기술개발 동향
5. 국내 기술개발 동향
6. 결론
2. 친환경 자동차 개발배경
3. 친환경 자동차 시장전망
4. 해외 기술개발 동향
5. 국내 기술개발 동향
6. 결론
본문내용
때, 하이브리드 자동차가 1,100만대의 시장 점유율을 가질 것으로 예상됨.
4. 해외 기술개발 동향
-최초의 양산 하이브리드 자동차는 도요타 프리우스로 1997년에 출시하여 현재 3세대까지 개발 됨.
-도요타는 2009년 전세계 친환경 자동차 시장에서 75%의 점유율로 독보적인 입지를 구축하고 있으며, 2015년까지 17개 차종의 친환경 자동차를 출시하는 계획을 밝힘.
-혼다는 1999년 인사이트 출시 이후 저가격, 소형차급의 경제적인 하이브리드 자동차에 집중하고 있으며, 상대적으로 전기에너지 사용비율이 높은 풀 하이브리드 시스템 연구도 병행 추진하고 있음.
-GM은 2개의 모터를 채용한 2모드 풀 하이브리드 시스템을 SUV차량에 적용하고 있으나, 시장 점유율이 도요타에 훨씬 못 미치는 실정.
-세계 각국은 차세대 친환경 자동차용 배터리 개발을 위해 국가차원에서 중장기적인 민간 기술지원 정책을 시행하고 있으며, 핵심기술 협력개발을 위한 기업 간 기술제휴도 가속화되고 있음.
-2014년 기준 세계 친환경자동차 판매 대수는 285만대, 전체 생산의 3%를 차지.
-2015년 세계 자동차 생산 대수는 9,690만대로 예상되며, 이 중 친환경 자동차 점유율이 4%를 차지할 전망
-2020년까지 친환경자동차 성장률은 연평균 20%이상의 고성장세를 지속할 전망
5. 국내 기술개발 동향
-현대자동차는 1995년부터 전기자동차를 포함한 친환경 자동차를 개발. 2000년 이전에는 주로 컨셉카 위주였으나, 2000년부터 본격적으로 소량 생산 준비를 시작하여, 2004년 하이브리드 자동차 ‘클릭’ 50대를 환경부와 공동으로 시범운행
-2009년 7월 출시된 아반떼와 포르테에 들어가는 핵심 부품을 국산화시킴.
-2015년 글로벌 그린카 4대 강국으로 도약하기 위해 그린카 양산 로드맵 수립, 초기 시장창출 및 보급기반 확충 추진
-기술수준은 배터리를 제외한 모터, 인버터, 컨버터 등의 국내 친환경 자동차 기술 수준은 아직 낮은 상황.
-전기자동차 배터리는 LG화학, 삼성SDI, SK이노베이션이 시장을 선도
-모터는 현대모비스, 효성중공업, 인버터는 LS산전, 현대모비스 등이 제품을 개발, 생산하며 BMS 분야에는 중소기업의 참여가 활발함.
6. 결론
-친환경 자동차 독자개발 능력을 강화하고 수익성을 확보해야 함
-정부의 적극적인 친환경 자동차 보급 확대 및 부품 소재 기술 개발에 대한 지원이 필요
-열정과 혁신, 유연하고 열린 사고의 상호협력 마인드를 가져야 함.
-자동차산업의 고효율 및 친환격화는 거스를 수 없는 대세.
-친환경 자동차로의 전환은 거스를 수 없는 대세이나, 속도가 문제.
-세계 친환경 자동차시장은 연평균 20% 이상의 고성장을 지속할 전망
-친환경 자동차의 기술 경쟁력은 배터리, 모터 등 핵심부품에 집약되어 있으며, 산업경쟁력 확보를 위해선 부품, 소재 기업 육성이 필요.
<출처>
-http://blog.daum.net/windada11/8766957 - 다음 블로그
-친환경 자동차 기술개발 동향 - 과학기술정책연구원
-구글 이미지
4. 해외 기술개발 동향
-최초의 양산 하이브리드 자동차는 도요타 프리우스로 1997년에 출시하여 현재 3세대까지 개발 됨.
-도요타는 2009년 전세계 친환경 자동차 시장에서 75%의 점유율로 독보적인 입지를 구축하고 있으며, 2015년까지 17개 차종의 친환경 자동차를 출시하는 계획을 밝힘.
-혼다는 1999년 인사이트 출시 이후 저가격, 소형차급의 경제적인 하이브리드 자동차에 집중하고 있으며, 상대적으로 전기에너지 사용비율이 높은 풀 하이브리드 시스템 연구도 병행 추진하고 있음.
-GM은 2개의 모터를 채용한 2모드 풀 하이브리드 시스템을 SUV차량에 적용하고 있으나, 시장 점유율이 도요타에 훨씬 못 미치는 실정.
-세계 각국은 차세대 친환경 자동차용 배터리 개발을 위해 국가차원에서 중장기적인 민간 기술지원 정책을 시행하고 있으며, 핵심기술 협력개발을 위한 기업 간 기술제휴도 가속화되고 있음.
-2014년 기준 세계 친환경자동차 판매 대수는 285만대, 전체 생산의 3%를 차지.
-2015년 세계 자동차 생산 대수는 9,690만대로 예상되며, 이 중 친환경 자동차 점유율이 4%를 차지할 전망
-2020년까지 친환경자동차 성장률은 연평균 20%이상의 고성장세를 지속할 전망
5. 국내 기술개발 동향
-현대자동차는 1995년부터 전기자동차를 포함한 친환경 자동차를 개발. 2000년 이전에는 주로 컨셉카 위주였으나, 2000년부터 본격적으로 소량 생산 준비를 시작하여, 2004년 하이브리드 자동차 ‘클릭’ 50대를 환경부와 공동으로 시범운행
-2009년 7월 출시된 아반떼와 포르테에 들어가는 핵심 부품을 국산화시킴.
-2015년 글로벌 그린카 4대 강국으로 도약하기 위해 그린카 양산 로드맵 수립, 초기 시장창출 및 보급기반 확충 추진
-기술수준은 배터리를 제외한 모터, 인버터, 컨버터 등의 국내 친환경 자동차 기술 수준은 아직 낮은 상황.
-전기자동차 배터리는 LG화학, 삼성SDI, SK이노베이션이 시장을 선도
-모터는 현대모비스, 효성중공업, 인버터는 LS산전, 현대모비스 등이 제품을 개발, 생산하며 BMS 분야에는 중소기업의 참여가 활발함.
6. 결론
-친환경 자동차 독자개발 능력을 강화하고 수익성을 확보해야 함
-정부의 적극적인 친환경 자동차 보급 확대 및 부품 소재 기술 개발에 대한 지원이 필요
-열정과 혁신, 유연하고 열린 사고의 상호협력 마인드를 가져야 함.
-자동차산업의 고효율 및 친환격화는 거스를 수 없는 대세.
-친환경 자동차로의 전환은 거스를 수 없는 대세이나, 속도가 문제.
-세계 친환경 자동차시장은 연평균 20% 이상의 고성장을 지속할 전망
-친환경 자동차의 기술 경쟁력은 배터리, 모터 등 핵심부품에 집약되어 있으며, 산업경쟁력 확보를 위해선 부품, 소재 기업 육성이 필요.
<출처>
-http://blog.daum.net/windada11/8766957 - 다음 블로그
-친환경 자동차 기술개발 동향 - 과학기술정책연구원
-구글 이미지
키워드
추천자료
자동차 발전기(Altornator)
[현대자동차]현대자동차의 재무비율과 브랜드 강화전략, 마케팅 전략, 가격 전략 및 향후 발...
공공복지행정의 역사적 변천- 공공복지행정 현황과 특성 및 발전단계
자동차산업의 발전요인, 자동차산업의 문제점, 자동차산업의 발전 방안, 자동차산업 하도급관...
패럴림픽 유래, 어원, 변천 과정, 종목, 특징, 현황, 문제점, 발전 방향, 개선점, 변화, 사례...
이동통신서비스 산업의 서비스품질 (이동통신 산업의 정의, 발전과정, 결정 요인, SK텔레콤 ...
[A+레포트] 한국의 크루즈 관광산업 현황과 실태분석 및 발전방안
<한국 콘텐츠 산업> 한국 콘텐츠 산업의 현황과 문제점, 발전 방향에 대한 조사
현대자동차 미국진출 마케팅 케이스연구 : (현대자동차 기업분석과 현대자동차 미국진출 마케...
강원랜드 인사관리 현황과 문제점 및 발전방안
(생물과학 공통) 우리나라에서 친환경 및 유기농법의 현황과 이들 농법이 자연생태계에 미치...
문화산업에 대한 이해와 현황, 그리고 발전 방안
건강기능식품 현황과 문제점 및 건강기능식품 발전방안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친환경 정책방향 - 팔당상수원 관리정책 사례를 중심으로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