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목적
2.이론
3.실험방법 및 결과
5.검토 및 토의/결론
6. 참고문헌
2.이론
3.실험방법 및 결과
5.검토 및 토의/결론
6. 참고문헌
본문내용
즈 방정식을 검증하였다. 그러나 물체를 오목거울과 그 초점거리 사이에 놓을 경우, 허상이 생기게 된다. 허상은 볼록거울을 사용하였을 때도 생기게 된다. 이 설험서의 부록에 있는 “허상의 위치 측정” 이라는 곳을 잘 읽어보고, 표 12.1과 유사한 표를 만들어서 계산하여 본다. 여기서 주의하여야 할 것은 허상의 경우 는 음수가 된다는 것이다.
허상 위치 찾기 실험방법1
허상 위치 찾기 실험방법2
허상 위치 찾기 실험 모습
-위치찾개 를 옮겨주며 관찰한다.
1) 우리가 얻은 결과가 기초 렌즈 방정식과 잘 일치합니까? 만약 그렇지 못 하다면 무엇 이 그 차이를 주었는지 설명하십시오.
- 허상의 위치 찾기를 보며 실험을 하려 했으나 상의 위치가 어디에서 맺히는지 알 수 없었다. 위치찾개를 이용하여 상을 관찰하는 것인데 상이 맺히기 보다는 위치찾개에
빛이 비치는 모습이었다. 그러나 이론상으로는 기초 렌즈 방정식과 일치해야 한다.
- 초점과 거울 사이에서 물체에서 나간 빛이 거울과 만난 후 퍼지게 된다.
실제의 빛은 모이지 않고 퍼지게 되는데, 반대로 말하면 실제 빛의 연장선은 한곳에서
모인다. 그곳에 초점이 맺히고 실제 빛이 모여 맺힌 상이 아니므로 허상이다.
이러한 과정을 볼록거울에 대해서도 반복한다.
2) 볼록거울에 의하여 생기는 상에 대해서도 기초 렌즈 방정식이 적용됩니까?
- 볼록거울에 생기는 상 역시 적용되었다.
※ 구면수차
광원과 십자 화살 표적의 위치를 조절하여 스크린에 생기는 표적의 상이 가능하
면 크고 명확하도록 만든다.
1) 상은 중앙이 명확합니까 아니면 가장자리가 명확합니까?
(이러한 미묘한 차이는 어두운 방에서 보기가 편하다)
- 가장자리가 선명하게 보인다.
그림 12.2처럼 구면 거울이 붙어 있는 고정대에 크기가 변하는 구멍을 붙인다.
구멍판 중앙에 생기는 V자 홈이 고정대의 중앙에 있는 표시하고 잘 일치되도록 한다.
2) 구멍의 크기를 바꾸어 보십시오. 이것이 상의 명확성에 어떤 영향을 줍니까?
-구멍의 크기가 작아질 수 록 상의 명확성이 높아진다.
구멍의 크기를 크게 하면 빛이 퍼져 구면거울에 모두 반사되어 구면거울의 중심과
바깥의 거울면의 두께가 달라 반사되는 빛이 겹쳐 상이 흐릿하게 된다. 이 때 구멍 의 크기를 줄여주면 구면거울에 비춰져 한곳으로 모이는 빛들 중 몇 개만 보이므로 더 선명하게 보인다.
3) 관측한 것을 구면 수차로서 설명하여 보십시오.
- 거울의 모양은 평면이 아닌 구형을 이루게 되고 완전한 구가 아니기에 구면거울 의 각 지점에서 반사된 빛이 각각 다른 초점거리에 맺히게 된다. 이 빛들 중 몇 가지는 가리고 몇 가지는 통과시키게 하면 조금 더 선명한 상을 볼 수 있다.
4) 어떠한 크기의 구멍이 가장 명확한 상을 줄 수 있겠습니까? 그리고 이러한 크 기의 구멍은 실용적이지 못합니까?
- 아주 작은 구멍이 명확한 상을 줄 수 있으나 그만큼 밝기는 줄어들기 때문에 실 용적이다고 할 수는 없다.
5.검토 및 토의/결론
-이번실험에서는 구면거울에 의해 생기는 상은 원통형 거울에 의해서 생긴 상과 다수의 같은 성질을 가지고 있고, 기초렌즈 방정식과 상 배율 방정식이 구면 거울에서도 성립하는지 확인해보는 실험이었다. 실험을 하면서 눈금을 측정하는데 있어 오차가 발생하였고, 허상을 찾는 실험은 정확히 측정하기 힘들었다. 하지만 구면수차 실험에서는 구멍의 크기에 따라 줄어들 때 상이 좀 더 명확해 진다는 것 확인할 수 있었다. 이번 실험을 통해 기초렌즈방정식인 이 구면거울에서도 적용이 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고, 또 이때의 상의 배율 로 물체 거리에 따른 상의 배율 차이도 알 수 있었다.
6. 참고문헌
- 기초광학실험 (북스힐)
허상 위치 찾기 실험방법1
허상 위치 찾기 실험방법2
허상 위치 찾기 실험 모습
-위치찾개 를 옮겨주며 관찰한다.
1) 우리가 얻은 결과가 기초 렌즈 방정식과 잘 일치합니까? 만약 그렇지 못 하다면 무엇 이 그 차이를 주었는지 설명하십시오.
- 허상의 위치 찾기를 보며 실험을 하려 했으나 상의 위치가 어디에서 맺히는지 알 수 없었다. 위치찾개를 이용하여 상을 관찰하는 것인데 상이 맺히기 보다는 위치찾개에
빛이 비치는 모습이었다. 그러나 이론상으로는 기초 렌즈 방정식과 일치해야 한다.
- 초점과 거울 사이에서 물체에서 나간 빛이 거울과 만난 후 퍼지게 된다.
실제의 빛은 모이지 않고 퍼지게 되는데, 반대로 말하면 실제 빛의 연장선은 한곳에서
모인다. 그곳에 초점이 맺히고 실제 빛이 모여 맺힌 상이 아니므로 허상이다.
이러한 과정을 볼록거울에 대해서도 반복한다.
2) 볼록거울에 의하여 생기는 상에 대해서도 기초 렌즈 방정식이 적용됩니까?
- 볼록거울에 생기는 상 역시 적용되었다.
※ 구면수차
광원과 십자 화살 표적의 위치를 조절하여 스크린에 생기는 표적의 상이 가능하
면 크고 명확하도록 만든다.
1) 상은 중앙이 명확합니까 아니면 가장자리가 명확합니까?
(이러한 미묘한 차이는 어두운 방에서 보기가 편하다)
- 가장자리가 선명하게 보인다.
그림 12.2처럼 구면 거울이 붙어 있는 고정대에 크기가 변하는 구멍을 붙인다.
구멍판 중앙에 생기는 V자 홈이 고정대의 중앙에 있는 표시하고 잘 일치되도록 한다.
2) 구멍의 크기를 바꾸어 보십시오. 이것이 상의 명확성에 어떤 영향을 줍니까?
-구멍의 크기가 작아질 수 록 상의 명확성이 높아진다.
구멍의 크기를 크게 하면 빛이 퍼져 구면거울에 모두 반사되어 구면거울의 중심과
바깥의 거울면의 두께가 달라 반사되는 빛이 겹쳐 상이 흐릿하게 된다. 이 때 구멍 의 크기를 줄여주면 구면거울에 비춰져 한곳으로 모이는 빛들 중 몇 개만 보이므로 더 선명하게 보인다.
3) 관측한 것을 구면 수차로서 설명하여 보십시오.
- 거울의 모양은 평면이 아닌 구형을 이루게 되고 완전한 구가 아니기에 구면거울 의 각 지점에서 반사된 빛이 각각 다른 초점거리에 맺히게 된다. 이 빛들 중 몇 가지는 가리고 몇 가지는 통과시키게 하면 조금 더 선명한 상을 볼 수 있다.
4) 어떠한 크기의 구멍이 가장 명확한 상을 줄 수 있겠습니까? 그리고 이러한 크 기의 구멍은 실용적이지 못합니까?
- 아주 작은 구멍이 명확한 상을 줄 수 있으나 그만큼 밝기는 줄어들기 때문에 실 용적이다고 할 수는 없다.
5.검토 및 토의/결론
-이번실험에서는 구면거울에 의해 생기는 상은 원통형 거울에 의해서 생긴 상과 다수의 같은 성질을 가지고 있고, 기초렌즈 방정식과 상 배율 방정식이 구면 거울에서도 성립하는지 확인해보는 실험이었다. 실험을 하면서 눈금을 측정하는데 있어 오차가 발생하였고, 허상을 찾는 실험은 정확히 측정하기 힘들었다. 하지만 구면수차 실험에서는 구멍의 크기에 따라 줄어들 때 상이 좀 더 명확해 진다는 것 확인할 수 있었다. 이번 실험을 통해 기초렌즈방정식인 이 구면거울에서도 적용이 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고, 또 이때의 상의 배율 로 물체 거리에 따른 상의 배율 차이도 알 수 있었다.
6. 참고문헌
- 기초광학실험 (북스힐)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