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배드민턴의 시초
역사
대한민국의 역사
포핸드 그립, 백핸드 그립에 관한 설명
서비스 방법
(종류, 라인, 파울 등)
포핸드 클리어
(배드민턴 기술)
포핸드 드라이브/백핸드 드라이브
푸시 (배드민턴 기술)
스매시 (배드민턴 기술)
헤어핀 (배드민턴 기술)
배드민턴 포메이션
(top & back, side by side, in and out 또는 rotation)
역사
대한민국의 역사
포핸드 그립, 백핸드 그립에 관한 설명
서비스 방법
(종류, 라인, 파울 등)
포핸드 클리어
(배드민턴 기술)
포핸드 드라이브/백핸드 드라이브
푸시 (배드민턴 기술)
스매시 (배드민턴 기술)
헤어핀 (배드민턴 기술)
배드민턴 포메이션
(top & back, side by side, in and out 또는 rotation)
본문내용
forehand hairpin)
1. 그립잡기 - 준비그립에서 그립을 다시 잡고 가볍게 쥐듯하며 라켓 끝을 아래로 비스듬하게 내린다.
2. 팔의동작 - 라켓 잡은 팔은 안으로 당기듯이 약간구부리고 반대 팔은 균형을 위해 반대쪽으로 뻗어서 밸런스를 잡아줘야한다.
3. 발의위치 - 라켓 잡은 쪽 발은 셔틀콕의 위치에 무릎은 굽히고 안정된 자세로 셔틀콕을 바쳐 올리듯이
해야한다.
그립잡기
팔의 동작
발의 위치
백핸드 헤어핀(backhand hairpin)
1. 그립잡기 - 준비그립에서 엄지와 집게 손가락을 이용(엄지는 안쪽 모서리에 집게손가락은 바깥 위에둠)
2. 팔의동작 - 라켓 잡은 팔은 약간 구부린 상태, 반대 팔은 몸의 균형을 위해 라켓 반대쪽에서 밸런스를 잡아줘야 한다.
3.헤드의 모양과 위치 - 셔틀의 위치와 각도 회전 방향에 따라서 라켓 헤드의 모양이 다르다.
4. 발의 동작과 위치 - 라켓 잡은 쪽 발은 셔틀콕의 위치와 무릎이 동일한 위치에 있어야 하며 무릎을 굽혀서 않아서 반듯이 해야한다.
그립잡기
팔의 동작
헤드의 모양과 위치
발의 동작과 위치
배드민턴 포메이션
(top & back, side by side, in and out 또는 rotation)
포메이션(Formation)
배드민턴의 복식경기 방법에는 다양한 포메이션이 있다. 공격형 포메이션인 톱과 백(Top & Back),
수비형 포메이션인 사이드 바이 사이드(Side By Side), 혼합복식형 포메이션인 다이애거널(Diagonal)
등의 위치에 따른 3가지 경기패턴이 있다.
top & back
앞 사람은 서비스라인과 단식에서의 홈 포지션보다 조금 앞에 위치하고, 다른 한사람은 그 바로 뒤에 위치한다. 두 사람 모두 센터라인 위에 선 대형이 톱과 백으로 복식의 공격형의 포메이션이다. 전위의 선수는 몸동작이 빠르고 푸시, 헤어핀, 드라이브가 능한 사람으로 득점과 연결시킬 수 있어야 한다. 후위의 선수는 체력이 좋고 강력한 스매시를 통한 동료 선수에게 득점과 연결시킬 수 있는 선수가 담당하는 것이 좋다. 이러한 공격적인 진형으로 있는 시간이 길면 길수록 승리는 가깝다고 할 수 있다.
side by side
상대 선수의 공격적인 플레이에 대비하기 하기 위한 포메이션이다. 두 선수는 센터라인을 중심으로 나란히 서서 상황에 따라 앞, 뒤로 움직이면서 코트를 반으로 나누어 수비를 해야 한다. 두 선수 사이로 날아오는 셔틀콕은 백핸드 그립을 잡은 선수보다는 포핸드 그립을 하고 있는 선수가 리턴 하는 것이 좋으며, 애매한 상황의 셔틀콕은 자신이 있는 선수가 빠르게 리턴 하는 것이 좋다.
Diagonal
남·여가 함께 경기를 하는 혼합복식에서 주로 사용하는 공격형 시스템의 일종으로 공격의 효과를 한 층더 높이기 위한 포메이션이다. 혼합복식의 경우 주로 여자선수에게 공격 또는 빈 공간으로 셔틀콕을 타구한다. 따라서 최대한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코트를 대각선으로 2등분하고 각각 절반씩 수비를 분담한다. 전위와 후위의 결점을 없애고 둘이서 양쪽의 역할을 함께한다는 의미가 있다.
로테이션(Rotation)
로테이션이란 파트너와 서로 부딪치지 않고 코트의 빈 공간을 메워가며, 마치 두 사람이 하나처럼 자연스럽게 물이 흐르듯 원활히 운영해 나가는 것을 말한다.
상대선수로부터 날아오는 셔틀콕의 방향, 속도, 거리 등의 다양한 스트로크에 따라서 두 사람의 로테이션은 공격형과 수비형으로 결정되어지고, 움직임은 시계방향이거나 시계반대방향으로 움직임이 결정된다. 이처럼 두 선수가 미리 약속을 한 듯이 말없이 때로는 느리게 때로는 전광석화 같은 움직임으로 코트를 원활히 움직이는 것을 로테이션이라고 한다.
1. 그립잡기 - 준비그립에서 그립을 다시 잡고 가볍게 쥐듯하며 라켓 끝을 아래로 비스듬하게 내린다.
2. 팔의동작 - 라켓 잡은 팔은 안으로 당기듯이 약간구부리고 반대 팔은 균형을 위해 반대쪽으로 뻗어서 밸런스를 잡아줘야한다.
3. 발의위치 - 라켓 잡은 쪽 발은 셔틀콕의 위치에 무릎은 굽히고 안정된 자세로 셔틀콕을 바쳐 올리듯이
해야한다.
그립잡기
팔의 동작
발의 위치
백핸드 헤어핀(backhand hairpin)
1. 그립잡기 - 준비그립에서 엄지와 집게 손가락을 이용(엄지는 안쪽 모서리에 집게손가락은 바깥 위에둠)
2. 팔의동작 - 라켓 잡은 팔은 약간 구부린 상태, 반대 팔은 몸의 균형을 위해 라켓 반대쪽에서 밸런스를 잡아줘야 한다.
3.헤드의 모양과 위치 - 셔틀의 위치와 각도 회전 방향에 따라서 라켓 헤드의 모양이 다르다.
4. 발의 동작과 위치 - 라켓 잡은 쪽 발은 셔틀콕의 위치와 무릎이 동일한 위치에 있어야 하며 무릎을 굽혀서 않아서 반듯이 해야한다.
그립잡기
팔의 동작
헤드의 모양과 위치
발의 동작과 위치
배드민턴 포메이션
(top & back, side by side, in and out 또는 rotation)
포메이션(Formation)
배드민턴의 복식경기 방법에는 다양한 포메이션이 있다. 공격형 포메이션인 톱과 백(Top & Back),
수비형 포메이션인 사이드 바이 사이드(Side By Side), 혼합복식형 포메이션인 다이애거널(Diagonal)
등의 위치에 따른 3가지 경기패턴이 있다.
top & back
앞 사람은 서비스라인과 단식에서의 홈 포지션보다 조금 앞에 위치하고, 다른 한사람은 그 바로 뒤에 위치한다. 두 사람 모두 센터라인 위에 선 대형이 톱과 백으로 복식의 공격형의 포메이션이다. 전위의 선수는 몸동작이 빠르고 푸시, 헤어핀, 드라이브가 능한 사람으로 득점과 연결시킬 수 있어야 한다. 후위의 선수는 체력이 좋고 강력한 스매시를 통한 동료 선수에게 득점과 연결시킬 수 있는 선수가 담당하는 것이 좋다. 이러한 공격적인 진형으로 있는 시간이 길면 길수록 승리는 가깝다고 할 수 있다.
side by side
상대 선수의 공격적인 플레이에 대비하기 하기 위한 포메이션이다. 두 선수는 센터라인을 중심으로 나란히 서서 상황에 따라 앞, 뒤로 움직이면서 코트를 반으로 나누어 수비를 해야 한다. 두 선수 사이로 날아오는 셔틀콕은 백핸드 그립을 잡은 선수보다는 포핸드 그립을 하고 있는 선수가 리턴 하는 것이 좋으며, 애매한 상황의 셔틀콕은 자신이 있는 선수가 빠르게 리턴 하는 것이 좋다.
Diagonal
남·여가 함께 경기를 하는 혼합복식에서 주로 사용하는 공격형 시스템의 일종으로 공격의 효과를 한 층더 높이기 위한 포메이션이다. 혼합복식의 경우 주로 여자선수에게 공격 또는 빈 공간으로 셔틀콕을 타구한다. 따라서 최대한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코트를 대각선으로 2등분하고 각각 절반씩 수비를 분담한다. 전위와 후위의 결점을 없애고 둘이서 양쪽의 역할을 함께한다는 의미가 있다.
로테이션(Rotation)
로테이션이란 파트너와 서로 부딪치지 않고 코트의 빈 공간을 메워가며, 마치 두 사람이 하나처럼 자연스럽게 물이 흐르듯 원활히 운영해 나가는 것을 말한다.
상대선수로부터 날아오는 셔틀콕의 방향, 속도, 거리 등의 다양한 스트로크에 따라서 두 사람의 로테이션은 공격형과 수비형으로 결정되어지고, 움직임은 시계방향이거나 시계반대방향으로 움직임이 결정된다. 이처럼 두 선수가 미리 약속을 한 듯이 말없이 때로는 느리게 때로는 전광석화 같은 움직임으로 코트를 원활히 움직이는 것을 로테이션이라고 한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