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실험 제목
실험 목표
실험 원리
실험과정
실험결과
토의
실험 목표
실험 원리
실험과정
실험결과
토의
본문내용
(ag)
AgNO3와 Pb(NO3)2는 염화물과 만나면 침전을 형성하는 1족에 속하므로 HCl과 반응하여 각각 침전을 형성한다.
AgNO3+HCl->AgCl(↓)+HNO3
Pb(NO3)2+2HCl->PbCl2(↓)+2HNO3
실험결과-실험B-1에서 상층액에 HNO3와 K2CrO4를 넣자 노란색 침전이 생겼는데 이것으로 보아 상층액에 Pb2+ 이온이 있음을 알수 있었다. 그 이유는 염화물과 만나면 침전을 형성하는 1족 양이온 Pb2+가 HCl을 만나 염을 형성하게 되는데 크롬산이 노란색이라서 노란색 침전물이 생기는 것이다. (Pb2+는 온수에 녹아 상층액에 존재했다.)
Pb(NO3)2+2HCl->PbCl2(↓)+2HNO3
PbCl2(s)+2HNO2(ac)+K2CrO4(ac)->Pb(CrO4)2+2KNO3+2HCl
실험결과-실험B-2에서 침전물만 따로 꺼내어 HgCl2를 넣고 암모니아수를 넣은 뒤 원심분리하자 검은색 침전이 생긴 것으로 보아 Hg2+이온이 들어 있음을 알 수 있다.
Hg2Cl2(s)+H2O(I)->HgCl2(s)->H2O(I)
Hg2Cl2(s)+2NH4OH(ag)->HgNHCl(s)+Hg(I)+NH4+(ag)+Cl(ag)+2H2O(I)
즉, Hg2+(ag)->Hg2+(ag)+Hg(I)
실험결과-실험B-3에서 페놀프탈레인을 넣으니 붉은색으로 변한 것으로 보아 상층액은 염기성인 것을 알수 있었다. 붉게 변한 이 용액에 HCl을 넣자 색이 점점 연해졌고 HCl 용액이 부족하져 HNO3를 더 넣었더니 용액이 희뿌옇게 변했다.
Ag(NH3)2+ + 2HNO3 -> AgCl + 2NH4+ + 2NO3-
AgNO3와 Pb(NO3)2는 염화물과 만나면 침전을 형성하는 1족에 속하므로 HCl과 반응하여 각각 침전을 형성한다.
AgNO3+HCl->AgCl(↓)+HNO3
Pb(NO3)2+2HCl->PbCl2(↓)+2HNO3
실험결과-실험B-1에서 상층액에 HNO3와 K2CrO4를 넣자 노란색 침전이 생겼는데 이것으로 보아 상층액에 Pb2+ 이온이 있음을 알수 있었다. 그 이유는 염화물과 만나면 침전을 형성하는 1족 양이온 Pb2+가 HCl을 만나 염을 형성하게 되는데 크롬산이 노란색이라서 노란색 침전물이 생기는 것이다. (Pb2+는 온수에 녹아 상층액에 존재했다.)
Pb(NO3)2+2HCl->PbCl2(↓)+2HNO3
PbCl2(s)+2HNO2(ac)+K2CrO4(ac)->Pb(CrO4)2+2KNO3+2HCl
실험결과-실험B-2에서 침전물만 따로 꺼내어 HgCl2를 넣고 암모니아수를 넣은 뒤 원심분리하자 검은색 침전이 생긴 것으로 보아 Hg2+이온이 들어 있음을 알 수 있다.
Hg2Cl2(s)+H2O(I)->HgCl2(s)->H2O(I)
Hg2Cl2(s)+2NH4OH(ag)->HgNHCl(s)+Hg(I)+NH4+(ag)+Cl(ag)+2H2O(I)
즉, Hg2+(ag)->Hg2+(ag)+Hg(I)
실험결과-실험B-3에서 페놀프탈레인을 넣으니 붉은색으로 변한 것으로 보아 상층액은 염기성인 것을 알수 있었다. 붉게 변한 이 용액에 HCl을 넣자 색이 점점 연해졌고 HCl 용액이 부족하져 HNO3를 더 넣었더니 용액이 희뿌옇게 변했다.
Ag(NH3)2+ + 2HNO3 -> AgCl + 2NH4+ + 2NO3-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