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 주제선정 배경 및 기업소개
II. 해외진출 성공전략 분석
III. 파리바게트 마케팅전략 분석
IV. 중국에서의 성공요인 분석
V. 향후 전망 및 느낀점
II. 해외진출 성공전략 분석
III. 파리바게트 마케팅전략 분석
IV. 중국에서의 성공요인 분석
V. 향후 전망 및 느낀점
본문내용
전에 더불어 점차 3, 4급 도시로 확대될 전망이다. 이에 아직 무한한 잠재력이 남아있는 베이커리시장의 매력이 더욱 빛을 발한다.
(2) 2009~13년 중국 베이커리 식품시장조사
2009년 2월 중국 시장 연구기관인 중상청보왕이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2013년 중국 베이커리 식품의 시장규모는 1300억 위안 규모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고 했다.
이를 뒷받침 해주는 근거로는 최근 중국이 소득 수입 및 국제 교류의 증가로 베이커리시장 발전에 좋은 조건을 갖추고 있다는 점이다. 또한 중국의 베이커리시장은 중국 및 서양식 식생활이 한데 뒤섞인 중국식 특색을 갖는 신흥산업이다.
파리바게뜨가 성공적인 중국 진출을 이뤄낼 수 있었던 것은 향후 성장 가능성을 내다본 치밀한 상권 분석을 통해 한국인 밀집지역보다는 외국인 밀집지역, 시내 중심 상권 등 소득 수준이 높은 지역을 선정해 출점한 전략이 주효했던 것으로 보였다.
점장을 비롯한 관리인원을 모두 현지인으로 채용하는 현지화 전략과 현지 베이커리 브랜드와 차별화된 상품 기획을 통해 중국 시장에서의 성공가두를 달리고 있다. 실제 파리바게뜨는 단과자, 조리빵, 버터크림 케이크 등 보통 40~50여 종의 제품을 판매하는 단조로운 중국 현지 베이커리 브랜드와 달리 200여 가지의 다양한 제품을 매장에 구비해 베이커리 제품에 대한 현지인들의 다양한 니즈를 충족시키고 있다.
또한 마케팅 개념이 부재한 중국 현지 베이커리 브랜드와 달리, 파리바게뜨는 춘절과 같은 중국인들의 주요 명절을 마케팅에 적극 활용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점차 서구화돼가는 중국인들의 생활 패턴에 맞춰 크리스마스, 발렌타인데이, 어린이날 등 각종 기념일 이벤트를 실시하고, 신제품을 지속적으로 출시해 중국 소비자들의 욕구를 만족시키고 있다
2. 중국 베이커리 시장 수요 분석
중국 베이커리의 시장수요 분석은 7F로 요약할 수 있다.
Fast(간편한 제품) 빵은 간편히 누구나 먹을수 있다는점.
Fresh(신선한 제품) 갓구운 빵을 제공 한다는점.
Fiber(섬유질이 포함된 건강식품) 파리바게트의 빵은 다른 첨가제품 없이 만든 건강식품
Fat(다이어트를 위한 무지방,저지방 제품) 파리바게트의 빵은 웰빙시대에 맞게 저지방제품
Fun(새롭고 특별한 제품) 파리바게트는 매번 새롭고 특별한 날에 맞춰 상품을 제작
Famous(유명연예인이 광고 또는 유명한 제품) 그나라의 인기연예인을 활용 마케팅
Factional(소량 포장한 제품) 소량으로 포장하여 낱개로 구매 가능하게한 제품
현제 중국에서 시장 수요를 나타내는 7F는 중국의 현지에 맞춰 경영하는 국제경여방식이다.
3. 중국 베이커리 시장의 법규
중국법상 프랜차이즈는 상업특허 경영방식이다. 기업이 계약 형식으로 보유 경영자산을 기타 경영자에게 허가하고 가맹업자는 약정내용에 따라 통일된 경영모델 하에서 경영하며 그 사용대가를 지급하는 경영활동이다. 이처럼 중국의 까다로운 법규는 중국시장 진출에 있어서 걸림돌이었다. 중국에서 프랜차이즈 제공자는 직영점을 2개 이상 보유하고 있고 경영기간이 1년 이상이어야 하며 성숙된 경영모델이 있어야 한다.
4. 중국 베이커리 시장 타 기업 진출현황
중국시장에는 한국기업 뿐아니라 대만, 일본 등 중국시장을 타겟으로 잡고 진출하였는데 대만의 Marco polo는 2007년 상하이를 시작으로 쑤저우, 항저우, 베이징등 중국 전역으로 점포를 화장해 현재 총 158개의 직영점포를 운영중에 있다. 또 향후 6년안에 중국 화동 지역을 기반으로 베이칭, 충칭, 선전 등 주요도시에 점포수를 늘려 중국 대륙에 총 1000개의 점포를 설립할 계획을 갖고 있다. 일본의 YAMAZAKI기업은 1999년 상하이에서 처음 진출한 이후 상하이, 장쑤, 랴오닝 등지에 37개의 점포가 있다. 제조 당일상품만 판매한다는 원칙아래 중국식, 서양식, 일본식의 3가지 종류의 케이크, 빵, 음료등 약 100가지 제품을 판매하고 있다. 또 2008년 말 “중국 최고 인기 베이커리 TOP10에들었으며, 2009년 말 상하이 최우수 베이커리로 선정된적이 있다. 또한 ”제품이 기업의 생명“이라는 기업이념에 맞게 제품의 연구 개발에 주력하며 느끼하지 않고 정당한 당도의 제품으로 좋은 평가를 받고 있다. 한국의 파리바게트는 맛을 결정하는 밀가루등 재료의 고급화, 상품의 다양화, 냉동생지를 운반해 점포에서 직접 제조하는 시스템으로 운영하고 있다. 이국적인 맛과 수입 원료를 통한 고급스러움을 강조하며 마케팅을 나서고 있다.
뚜레주르는 2005년 중국 베이징 우다코에 1호점의 시작으로 2010년에는 중국내 7개점포를 열고 2013년 1월 중국사천성 지역의 한 유한공사와 마스터 프랜차이즈를 계약, 2013년 중국 위해시 롯데백화점 점포까지 총 23개가 형성되었다.
5. 중국 베이커리 시장 진출 과정
파리바게트의 중국 시장 진출과정은 이렇다. 1997년 상하이를 중심으로 조사하여 2003년 상하이에 주재원을 파견하고 재시장 조사 및 현지 법인 설립 준비를 하였다. 그리고 나서 공장을 지어 직접 생산 시스템까지 완성하여 2004년 9월에 상하이 구베이에 1호점을 오픈하였다. 2006년 1월에 베이징1호점을, 12월에 텐진에 직영점을 오픈하여 3개 거점을 마련하였다. 거점을 만든후 선으로 연결하고 다시 면을 만드는 방식의 점, 선, 면 전략으로 진출하였다.
III. 파리바게트 마케팅전략 분석
1. 파리바게트 MARKETING - 4P
(1) 제품(Product)
-신선하게 Bake-off 시스템을 활용한 제품.
-5개제품군에 300여종이 넘는 다양한 제품들
-중국현지에 맞게 육송빵, 조리빵 등을 개발하는 경영전략
(2) 가격(Price)
-고가전략으로 화이트칼라&외국인이 주타겟으로 마케팅전략, 10%~20% 높은 가격을 책정
(3) 유통(Pace)
-1일 2회 배송체계를 설립하였다, 생산재품은 오전에 배송, 냉동생지는 오후에 배송하는 방법
-물류비 절감 또는 빠른 배송 시스템을 구축하였다.
(4) 촉진(Promotion)
-5+1행사를 진행하였고 포인트카드 발급, 각종 기념일 성탄절 행사등에 맞춘 촉진, 케이크 교실을 개최하여 운영등 Promotion에 힘을
(2) 2009~13년 중국 베이커리 식품시장조사
2009년 2월 중국 시장 연구기관인 중상청보왕이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2013년 중국 베이커리 식품의 시장규모는 1300억 위안 규모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고 했다.
이를 뒷받침 해주는 근거로는 최근 중국이 소득 수입 및 국제 교류의 증가로 베이커리시장 발전에 좋은 조건을 갖추고 있다는 점이다. 또한 중국의 베이커리시장은 중국 및 서양식 식생활이 한데 뒤섞인 중국식 특색을 갖는 신흥산업이다.
파리바게뜨가 성공적인 중국 진출을 이뤄낼 수 있었던 것은 향후 성장 가능성을 내다본 치밀한 상권 분석을 통해 한국인 밀집지역보다는 외국인 밀집지역, 시내 중심 상권 등 소득 수준이 높은 지역을 선정해 출점한 전략이 주효했던 것으로 보였다.
점장을 비롯한 관리인원을 모두 현지인으로 채용하는 현지화 전략과 현지 베이커리 브랜드와 차별화된 상품 기획을 통해 중국 시장에서의 성공가두를 달리고 있다. 실제 파리바게뜨는 단과자, 조리빵, 버터크림 케이크 등 보통 40~50여 종의 제품을 판매하는 단조로운 중국 현지 베이커리 브랜드와 달리 200여 가지의 다양한 제품을 매장에 구비해 베이커리 제품에 대한 현지인들의 다양한 니즈를 충족시키고 있다.
또한 마케팅 개념이 부재한 중국 현지 베이커리 브랜드와 달리, 파리바게뜨는 춘절과 같은 중국인들의 주요 명절을 마케팅에 적극 활용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점차 서구화돼가는 중국인들의 생활 패턴에 맞춰 크리스마스, 발렌타인데이, 어린이날 등 각종 기념일 이벤트를 실시하고, 신제품을 지속적으로 출시해 중국 소비자들의 욕구를 만족시키고 있다
2. 중국 베이커리 시장 수요 분석
중국 베이커리의 시장수요 분석은 7F로 요약할 수 있다.
Fast(간편한 제품) 빵은 간편히 누구나 먹을수 있다는점.
Fresh(신선한 제품) 갓구운 빵을 제공 한다는점.
Fiber(섬유질이 포함된 건강식품) 파리바게트의 빵은 다른 첨가제품 없이 만든 건강식품
Fat(다이어트를 위한 무지방,저지방 제품) 파리바게트의 빵은 웰빙시대에 맞게 저지방제품
Fun(새롭고 특별한 제품) 파리바게트는 매번 새롭고 특별한 날에 맞춰 상품을 제작
Famous(유명연예인이 광고 또는 유명한 제품) 그나라의 인기연예인을 활용 마케팅
Factional(소량 포장한 제품) 소량으로 포장하여 낱개로 구매 가능하게한 제품
현제 중국에서 시장 수요를 나타내는 7F는 중국의 현지에 맞춰 경영하는 국제경여방식이다.
3. 중국 베이커리 시장의 법규
중국법상 프랜차이즈는 상업특허 경영방식이다. 기업이 계약 형식으로 보유 경영자산을 기타 경영자에게 허가하고 가맹업자는 약정내용에 따라 통일된 경영모델 하에서 경영하며 그 사용대가를 지급하는 경영활동이다. 이처럼 중국의 까다로운 법규는 중국시장 진출에 있어서 걸림돌이었다. 중국에서 프랜차이즈 제공자는 직영점을 2개 이상 보유하고 있고 경영기간이 1년 이상이어야 하며 성숙된 경영모델이 있어야 한다.
4. 중국 베이커리 시장 타 기업 진출현황
중국시장에는 한국기업 뿐아니라 대만, 일본 등 중국시장을 타겟으로 잡고 진출하였는데 대만의 Marco polo는 2007년 상하이를 시작으로 쑤저우, 항저우, 베이징등 중국 전역으로 점포를 화장해 현재 총 158개의 직영점포를 운영중에 있다. 또 향후 6년안에 중국 화동 지역을 기반으로 베이칭, 충칭, 선전 등 주요도시에 점포수를 늘려 중국 대륙에 총 1000개의 점포를 설립할 계획을 갖고 있다. 일본의 YAMAZAKI기업은 1999년 상하이에서 처음 진출한 이후 상하이, 장쑤, 랴오닝 등지에 37개의 점포가 있다. 제조 당일상품만 판매한다는 원칙아래 중국식, 서양식, 일본식의 3가지 종류의 케이크, 빵, 음료등 약 100가지 제품을 판매하고 있다. 또 2008년 말 “중국 최고 인기 베이커리 TOP10에들었으며, 2009년 말 상하이 최우수 베이커리로 선정된적이 있다. 또한 ”제품이 기업의 생명“이라는 기업이념에 맞게 제품의 연구 개발에 주력하며 느끼하지 않고 정당한 당도의 제품으로 좋은 평가를 받고 있다. 한국의 파리바게트는 맛을 결정하는 밀가루등 재료의 고급화, 상품의 다양화, 냉동생지를 운반해 점포에서 직접 제조하는 시스템으로 운영하고 있다. 이국적인 맛과 수입 원료를 통한 고급스러움을 강조하며 마케팅을 나서고 있다.
뚜레주르는 2005년 중국 베이징 우다코에 1호점의 시작으로 2010년에는 중국내 7개점포를 열고 2013년 1월 중국사천성 지역의 한 유한공사와 마스터 프랜차이즈를 계약, 2013년 중국 위해시 롯데백화점 점포까지 총 23개가 형성되었다.
5. 중국 베이커리 시장 진출 과정
파리바게트의 중국 시장 진출과정은 이렇다. 1997년 상하이를 중심으로 조사하여 2003년 상하이에 주재원을 파견하고 재시장 조사 및 현지 법인 설립 준비를 하였다. 그리고 나서 공장을 지어 직접 생산 시스템까지 완성하여 2004년 9월에 상하이 구베이에 1호점을 오픈하였다. 2006년 1월에 베이징1호점을, 12월에 텐진에 직영점을 오픈하여 3개 거점을 마련하였다. 거점을 만든후 선으로 연결하고 다시 면을 만드는 방식의 점, 선, 면 전략으로 진출하였다.
III. 파리바게트 마케팅전략 분석
1. 파리바게트 MARKETING - 4P
(1) 제품(Product)
-신선하게 Bake-off 시스템을 활용한 제품.
-5개제품군에 300여종이 넘는 다양한 제품들
-중국현지에 맞게 육송빵, 조리빵 등을 개발하는 경영전략
(2) 가격(Price)
-고가전략으로 화이트칼라&외국인이 주타겟으로 마케팅전략, 10%~20% 높은 가격을 책정
(3) 유통(Pace)
-1일 2회 배송체계를 설립하였다, 생산재품은 오전에 배송, 냉동생지는 오후에 배송하는 방법
-물류비 절감 또는 빠른 배송 시스템을 구축하였다.
(4) 촉진(Promotion)
-5+1행사를 진행하였고 포인트카드 발급, 각종 기념일 성탄절 행사등에 맞춘 촉진, 케이크 교실을 개최하여 운영등 Promotion에 힘을
추천자료
중국의 WTO가입과 2008 북경올림픽 특수(중국시장진출전략)
삼성파브중국시장진출
김가네김밥 중국시장진출전략
[중국시장진출현황]중국 IT산업의 급속한 발전과 그에 따른 한국의 대처 방안
파리바게뜨 중국진출마케팅사례분석(A+레포트)
진로의 중국진출전략,마케팅,브랜드,브랜드마케팅,기업,서비스마케팅,글로벌,경영,시장,사례,...
sm엔터테이먼트,케이팝,k팝,해외시장진출,중국진출성공사례
농심 신라면 중국시장진출 마케팅전략 분석과 신라면블랙사태이후 이미지실추 대응전략
농심 글로벌전략-신라면 마케팅사례,신라면 현지화전략,농심 중국시장진출,신라면 중국시장,...
제일모직 SPA시장진출 경영전략제안 PPT (제일모직 기업분석과 제일모직 경영전략제안과 중국...
이케아 IKEA 기업분석과 SWOT분석및 이케아 중국진출 마케팅전략과 이케아 중국시장에서의 미...
락앤락 마케팅전략 케이스연구 (락앤락 기업분석과 마케팅 SWOT,STP,4P전략분석과 락앤락 중...
코오롱스포츠 마케팅연구 레포트- 코오롱스포츠 브랜드분석시장환경SWOT분석 코오롱스포츠 국...
관광마케팅관광마케팅 사이클P&G 중국시장진출사례마케팅 전략시장 세분화호텔·관광 산업...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