휠체어 스포츠에 대하여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휠체어 스포츠에 대하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휠체어 스포츠의 역사
1) 휠체어를 사용하는 선수
2) 휠체어 스포츠에 사용되는 휠체어의 기술적 발전
2. 휠체어 스포츠의 종류
1) 휠체어댄스
2) 휠체어컬링
3) 휠체어농구
4) 휠체어럭비
5) 휠체어펜싱
6) 휠체어테니스
7) 휠체어 탁구
8) 장애인 배드민턴
9) 론볼
3. 장애인 올림픽의 경기종목

본문내용

패스 (Back pass)프론트 코트에 옮겨진 볼을 백 코트의 자기편에게 던지는 것은 안된다.
공격에는 시간제한이 있음 사이드라인(28M)는 8초 이내, 앤드라인(15M)는 24초 이내
휠체어 크기 제한 휠체어 바퀴 높이:69cm max, 휠체어의자 높이:53cm max, 휠체어 발판 높이:11cm max
경기장 규격
농구 경기의 경기시설과 용기구는 비장애인농구와 동일하게 적용된다.2010년부터 국내에 적용되는 농구코트의 규격은 그림과 같다.
휠체어농구의 규칙
* 트레플링(푸싱 바이얼레이션)
- 선수가 공을 잡고 푸시하는 것은 연속하여 2회까지이고 3회 이상 푸시하면 트래블링(푸싱 바이얼레이션)이된다.
*더블 드리블
- 휠체어농구에서는 더블 드리블이 적용되지 않는다.
*휠체어 넘어짐
- 시합 중에 휠체어가 넘어진 경우에는 스스로 일어나야 한다. 일어날 수 없는 경우에는 심판으니 판단으로 시합이 중지되어 팀 스탭의 도움을 받을 수 있다.
*팀과 선수의 점수
- 휠체어농구 선수는 각각 잔존기능의 정도에 따라 1.0점부터 4.5점까지 차등점수를 두어 구별하고, 코드 안에 있는 5명의 선수의 점수 합계는 14.0점 이내로 제한된다.
3) 휠체어농구용 휠체어의 특징
*가볍고 강한 소재가 사용된다.
- 스피드가 요구되는 스포츠이고, 접촉도 빈번히 일어나므로 강도가 중요하다.
*큰 바퀴는 캠버(camber)각도가 있다.
- 캠버각도를 주면 턴 기능이 향상된다. 그러나 각도를 너무 크게 주면 휠체어의 폭이 넓어져서 좁은 공간으로 들어갈 수 없다.
*넘어짐방지용 캐스터(caster, 작은 바퀴)가 달려있다.
- 휠체어 뒷부분에 캐스터를 달면 중심이 뒤에 쏠려도 넘어질 우려가 적기 때문에 더 역동적인 플레이를 전개할 수 있다.
4)휠체어농구선수의 체력적 정신적 평가
- 척수장애인은 비장애인에 비해 팔의 기능이 잘 발달되어 있는데 휠체어농구선수는 더욱 기능적으로 우수하다. 특히 어깨와 팔의 힘은 초급자부터 상급자에 이르기까지 단계적으로 높은 수치를 나타내는데 기술수준이나 연습량과 관련이 깊다고 밟혀졌다.
3. 휠체어 댄스
1)휠체어댄스의 역사
휠체어댄스는 하반신의 움직임이 자유롭지 않아 휠체어를 사용하는 장애인이 펼치는 댄스스포츠로 1970년대와 1980년대에 여러 나라에서 동시에 성행하기 시작했다고 합니다.

1975년 스웨덴의 Vasteras 도시에서 최초의 휠체어댄스 경연대회가 이루어졌고, 그로부터 2년 후 같은 국가에서 최초의 국제적인 대회가 열렸습니다. 첫 세계선수권대회는 1988년 일본에서 열렸고 같은 해에 IPC(국제장애인올림픽위원회 International Paralympic Committee)의 관리 대상 종목으로 채택되었다.

▲사진설명 : 장애인과 비장애인이 파트너를 이루어 휠체어댄스를 추는 모습 (사진출처 : IPC 홈페이지)▲
우리나라는 1990년대에 일본을 통해서 휠체어댄스가 보급되어 2002년에 한국휠체어댄스스포츠연맹이 창립되었고, 2004년에는 한국장애인복지진흥회와 IPC에 가입했습니다.
2)경기로서의 휠체어댄스
*종목 및 경기시간
-휠체어댄스는 스탠다드 및 라틴 부분인 있으며 각 5종목의 댄스가 있다. 종목은 볼룸댄스와 마찬가지이다.
*
- 세계대회와 전일본선스권대회에서는 스탠더드와 라틴부문이 각각 5종목이 종합적으로 치루어진다. 또한 세계대회에서는 남녀 커플만 출전할 수 있다. 경기시간은 1종목 당 1분 30초(등급 1), 1분 40초(등급 2)이다.
* 등급 구분
- 춤추는 데 적합한 다리근육을 갖고 있지 않고 상반신에도 의학적 또는 기능적 장애를 갖고 있는 사람(등급 1), 하반신이 춤추는 데 적합한 근육을 갖고 있지 않은 사람(등급 2)의 2가지 등급으로 나누어 경기를 치룬다.
- 현재 판정단의 수가 적고, 선수가 자국에서 등급 구분 판정을 받지 못하는 문제가 부상하고 있다. 판정ㄷ나의 트레이닝과정을 늘려 각국이 평등하게 등급구분 심사를 받을 수 있는 시스템 구성의 필요성이 지적되고 있다.
스텐다드
라틴
왈츠
탱고
퀵 스텝
슬로우 폭스트롯
비엔나 왈츠
롬바
자이브
차차차
삼바
파소도블레
휠체어댄스의 종목
3) 휠체어댄스의 특징
*기본방식
- 경기대회에서는 스탠더드 종목의 경우 드라이버와 스탠딩 파트너가 양손을 잡고 춤을 춘다.(전동휠체어는 예외), 이 때 서로 마주보고 두 손을 잡은 형태를 홀드라고 한다. 라틴부분은 경기 중에 한 손이나 양손을 떨어뜨려도 된다.
*카운터 밸런스와 CBM(contrary body movement)
- 홀드에서는 카운터 밸런스(상대의 반발과 같은 분량의 힘)가 중요하다 카운터 밸런스를 취하면서 프레싱 파워(바닥으로 향하는 압력)를 줌으로써CBM이 일어난다. CBM이란 모든 회전과 커브에 이용되는 바디액션으로 전 후방으로 움직이는 발의 방향에 몸의 반대편이 회전한는 것이다.
*기본스텝
- 바디액션을 일으키는 스텝은 기본스텝으로서 많은 종목에 이용되고 있다. 체크무브먼트, 카운터 보타 포고, 휘스크 등이 대표적이다.
*재활효과
- 카운터 밸런스를 취하고 프레싱 파워를 줌으로써 발생하는 바디액션은 내장을 움직이게 되므로 잔존기능을 높이기 위한 좋은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이 움직임은 다른 휠체어스포츠에서는 볼 수 없는 댄스 특유의 것이다. 또한 댄스는 여러 가지 리듬이나 음조를 느끼고, 감정의 움직임을 몸을 사용하여 표현한다. 이 감정에서 발산되는 움직임도 신체 심부에 작용한다. 모든 움직임을 동시 진행적으로 실시함으로써 높은 재활효과를 올릴 수 있다.
4)휠체어 댄서의 심리 사회적 변화
*심리적 변화
- 휠체어댄스를 통하여 많은 친구가 생기고, 사교적인 성격으로 바뀌는 사람이 많다. 설문조사에 의하면 많은 관중 앞에서 댄스를 할 기회가 늘어나고 옷차림에 신경을 쓰게 되었다는 답변이 눈에 뛴다. 또한 댄스에 의해 새로운 가능성을 발견하고 살아가는 기쁨과 자신감을 갖게 되었다는 답변도 많이 있었다.
*사회적 변화
-휠체어댄스를 통하여 자신이 시회의 일원이라는 사실을 재인식함과 동시에 장애인의 스포츠 참가, 사회참가의 1가지 방법을 보여주는 역할모델로서의 존재를 자각하며 더 적극적으로 활동하는 경향에 발견된다.
  • 가격3,500
  • 페이지수22페이지
  • 등록일2014.06.11
  • 저작시기2004.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8145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