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머리말 (선정동기와 준비내용)
2. 사전 준비
3. 현장에서 새롭게 느끼거나 알게 된 생활문화 내용
4. 결론(문제의식)
2. 사전 준비
3. 현장에서 새롭게 느끼거나 알게 된 생활문화 내용
4. 결론(문제의식)
본문내용
리는 계속해서 우리 문화재를 보존하는 움직임을 끊임없이 해야 될 것이라고 생각한다. 또한 경복궁을 답사하면서 불편한 점이 있었다. 경복궁은 사적 117호이며 넓이가 126,337평이나 된다. 또 궁내에는 국보로서 근정전, 경회루가 있으며 보물로는 자경전, 자경전 십장상 굴뚝, 교태전 아미산 굴뚝, 근정문과 행각, 풍기대가 존재한다. 이렇게 넓은 공간에 이렇게 많은 문화유산이 있는데 방문하는 사람들이 좀더 쉽게 이런 문화유산을 찾아 볼 수 있도록 정보센터나 안내원을 배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생각한다. 오로지 입구에 한 평짜리 정보센터가 전부였다. 경복궁의 위치상 누구나 지나가다 들를 수 있는 위치이다. 뚜렷한 목적 없이 들를 수 있는 사람들에게 친근하고 알기 쉽게 설명해 줌을로서 우리 문화 유산이 자칫 멀게만 느껴지던 것을 우리 가슴속에 자리 잡을 수 있는 기회를 만들 수 있을 것 같기 때문이다. 이번 과제를 통해서 다시 한번 우리의 문화재를 사랑하는 법과 지키는 법에 대해서 생각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고 문화재를 보존하는 길은 다시 알고 바로 보는 따뜻한 관심으로부터 시작한다는 것을 일깨울 수 있게 해준 이 과제를 내 주신 교수님께 감사하게 생각한다.
추천자료
전통의 도덕적 메타모포시스 ― 한국 시민사회의 문화적 민족주의
남북한 식생활문화의 차이
[사회문화]노동과 경제 생활 - 한국사회 노동의 현실
[과외]중학 사회 중2-1 유럽문화권의 생활 02
[과외]중학 사회 중2-1 유럽문화권의 생활 03
[과외]중학 사회 중2-1 유럽문화권의 생활 08
[과외]중학 사회 중2-1 유럽문화권의 생활 09
한국인의 생활문화 : 집(가옥)에 대해서
[식생활과문화]동남아시아 음식문화의 특징을 살펴보고 공통점과 차이점 비교
[생활윤리][생활윤리의 배경][가정생활윤리][직장생활윤리][시민생활윤리][문화예술생활윤리]...
[한국의 속담] 속담을 통해 본 생활문화
[일본문화][일본음식문화]일본문화와 일본음식문화, 일본식생활문화, 일본문화와 일본쌀문화,...
[식생활과문화 1B형] 1) 우리나라 과줄문화의 특징 및 과줄에 얽힌 풍속에 대해서 알아보고, ...
다문화이주여성의 한국문화생활적응 프로그램(이주여성프로그램, 다문화이주여성프로그램, 이...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