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R 자가학습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DR 자가학습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분만 시작의 원인은 무엇이며 왜 진통이 유발되는지에 관한 이론을 쓰시오.

2. 임신말기에 아기가 골반강 내로 진입한다. 이를 무엇이라고 하며 초임부와 경산부들은 어떻게 다른가?

3. Friedman 분만 곡선에 의해 분만 1기를 2단계로 나눌 수 있다. 각 단계를 설명하시오.

4. 양수는 분만 1기 동안 중요한 기능을 가지고 있다. 그 기능은 무엇인가?

5. 분만 제2기를 정의하시오.

6. 분만 제2기가 임박해 있음을 무엇으로 알 수 있는가?

7. 분만 제2기는 태아에게 제일 위험한 시기라고 한다. 그 이유는?

8. 분만 제3기의 배출 기전은 2가지이다. 무엇인가?

9. 분만 제3기는 산부에게 가장 위험한 시기라고 한다. 그 이유는 무엇인가?

10. 분만동안의 평균 실혈량은 얼마인가?

11. 태아심음 측정 시 주기적 감퇴기의 주요양상은 조기감퇴, 후기감퇴, 가변성감퇴가 있다. 각 양상의 태아심음 변화와 감퇴 원인을 쓰시오.

12. 자궁수축의 상태 평가 시 다음 3가지를 조사한다. 각각을 설명하시오.

13. nitrazine paper test로 양막의 상태를 알 수 있다. 파막 시 색의 변화는?

14. 파막 후 즉시 태아심음을 측정해야하는 이유는?

15. 신생아의 정상호흡수는 얼마인가?

16. 다음 그림에 아두 경선의 명칭과 크기를 적으시오.

17. 다음 그림의 presentation과 position을 적으시오.


산모간호

1. 자궁의 퇴축성 변화를 설명하시오.
2. 오로의 종류를 설명하시오.
3. 어떤 산부에게 심한 산후통이 초래되며 그 이유는 무엇인가?
4. 수유시키는 동안 산후통이 더 심한 이유는?
5. 산욕초기에 이뇨작용이 일어나는 이유는?
5. 산욕초기에 이뇨작용이 일어나는 이유는?
7. 회음 간호 시 주의해야할 점은?
8. 유즙분비 기전을 설명하시오.
9. 을유가 일어나는 원인은?
10. 유즙분비 반사와 관련된 호르몬은?
11. 유즙건조방법은 무엇이 있는가?
12. 산후 소극기의 특징은?
13. 언제부터 통목욕이 가능한가?
14. 조기이상의 이점은?
15. 월경은 언제 돌아오는가?

참고문헌

본문내용

태만만출 후 에스트로겐과 프로게스테론이 급격히 저하되므로 억제 효과가 제거되어 뇌하수체 전엽에서 프로락틴 분비가 시작된다. 프로락틴은 태반만출 후 최고로 분비되며, 이때 유즙생산이 시작된다. 프로락틴 분비는 지방과 유당의 합성을 자극하고, 양적으로 증가된 선방세포들에 의한 카제인(casein) 합성을 자극하며 젖을 생산하게 된다. 유방에 젖이 충분할 때는 프로락틴 분비가 억제되므로 젖의 생산도 억제된다.
9. 을유가 일어나는 원인은?
유방의 정맥과 림프순환량의 증가 및 유방의 소엽에 젖이 생산되어 채워지기 때문
10. 유즙분비 반사와 관련된 호르몬은?
프로락틴
11. 유즙건조방법은 무엇이 있는가?
모유보관방법은 모유는 젖을 짠 후 48시간 동안은 냉장고에서 안전하다. 24시간 내에 먹이지 않을 경우 냉동고에서 냉동시키면 6개월간 보관이 가능하다. 보관할 때는 보관한 날짜를 기록해서 먼저 짜서 보관한 것부터 먹이도록 한다. 냉동된 모유는 중탕하거나 냉장고에서 녹여야 한다. 냉동된 모유를 전자레인지에서 녹이거나 다시 냉동시켜서는 안되고 24시간 이내에 먹여야 한다.
12. 산후 소극기의 특징은?
이 시기는 새로 어머니가 된 산모가 보살핌과 보호적인 간호를 요구하는 시기로, 그들은 수동적이고 의존적인 경향이 짙으며 모든 행동이나 사고는 자기중심적이다. 산모는 자신이 겪은 경험을 누구에게나 이야기하고 싶어하며 힘들었던 분만으로 인하여 의존적 경향을 지니고 애정과 주의를 받고 싶은 욕망을 갖는다.
13. 언제부터 통목욕이 가능한가?
탕목욕은 출산 1개월 후 진찰해보아 이상이 없을 때에라야 안전하다. 또한 깨끗한 물이라 해도 오fot동안 탕 속에 있으면 감염에 노출 될 수 있으며, 기운을 떨어뜨려 쉽게 피로하게 만들기 때문에 오랜 입욕은 삼가는 것이 좋다.
14. 조기이상의 이점은?
조기이상은 순환을 돕고 혈전 정맥염의 위험을 감소시킨다. 방광과 장 기능도 증진되기 때문에 도뇨관 삽입의 필요성 또는 복부팽만, 변비 등이 감소하는 효과가 있다.
15. 월경은 언제 돌아오는가?
출산 후의 배란과 월경의 재개는 산모가 모유수유를 하는 지의 여부에 따라 크게 영향을 받는다. 비수유부의 40~45%, 수유부의 15%에서 산후 6주까지 월경이 회복이 되고, 산후 12주까지는 비수유부의 65~70%, 수유부의 30~45%에서 회복율을 보인다.
참고문헌
여성건강간호학Ⅰ,Ⅱ(제 6판 모성간호학) - 수문사
네이버 지식 iN
  • 가격2,5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5.10.03
  • 저작시기2013.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8321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