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인간 본성에 관한 과학 이전의 견해
1. 성악설
2. 성선설
3. 백지설
Ⅲ. 결론
참고문헌
Ⅱ. 인간 본성에 관한 과학 이전의 견해
1. 성악설
2. 성선설
3. 백지설
Ⅲ.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고 있다는 이론과 실질적인 대조를 이루고 있는 입장이며, 나아가서 인간의 역동성과 자주성을 주장하는 입장과도 반대된다. 이처럼 경험을 통하여 인간의 본성이 결정된다고 주장한 로크는 한 걸음 더 나아가 그와 같은 경험은 감각 반사 연상에 의하여 이루어진다고 생각하였다. 그러므로 ‘타불라 라사’는 단순한 카메라와 같이 감각을 통하여 인상지어지는 것을 그대로 기록하기도 하고, 또 과거의 경험을 반사시켜서 새로운 의미를 기록하기도 한다고 생각하였다. 인간의 마음은 특수하게 만들어진 카메라와도 같아서 환경으로부터 오는 경험을 그대로 기록하기도 하고, 어떤 때에는 두 개의 경험을 합쳐서 하나의 사진으로 만들기도 하는 것과 같다는 것이다. 로크 이외에 인간 본성의 중립성을 강조한 대표적인 심리학자로는 욋슨(J. B. Watson, 1878~1958)2]- 스키너(B.F. Skinner, 1904-1990) 등이다.
Ⅲ. 결론
이상에서 고찰한 성악설과 성선설 그리고 백지설은 개인적인 사유와 논법에 따라 전개되었으나 그 중 어느 한 인간관이 특별히 옳고 다른 것은 그르다고 부정할 근거를 제시하기는 어렵다. 따라서 인간의 문제가 끝없이 제기될 수밖에 없는 교육의 입장에서 볼 때 어느 하나도 소홀히 넘겨버릴 수 없는 생각들이다.
참고문헌
박선영 저, 교육학개론, 박영스토리 2015
성태제, 강대중 외 저, 최신 교육학개론, 학지사 2012
김희수, 최정선 외 저, 이해하기 쉽게 쓴 교육학개론, 동문사 2014
박철홍, 강현석 외 저, 현대 교육학개론, 학지사 2013
김도진, 송성순 외 저, 교육학개론, 창지사 2015
Ⅲ. 결론
이상에서 고찰한 성악설과 성선설 그리고 백지설은 개인적인 사유와 논법에 따라 전개되었으나 그 중 어느 한 인간관이 특별히 옳고 다른 것은 그르다고 부정할 근거를 제시하기는 어렵다. 따라서 인간의 문제가 끝없이 제기될 수밖에 없는 교육의 입장에서 볼 때 어느 하나도 소홀히 넘겨버릴 수 없는 생각들이다.
참고문헌
박선영 저, 교육학개론, 박영스토리 2015
성태제, 강대중 외 저, 최신 교육학개론, 학지사 2012
김희수, 최정선 외 저, 이해하기 쉽게 쓴 교육학개론, 동문사 2014
박철홍, 강현석 외 저, 현대 교육학개론, 학지사 2013
김도진, 송성순 외 저, 교육학개론, 창지사 2015
추천자료
과학의 본성, 과학교육사조와 초등과학교육과정
교육심리학의 인간의 이해 교육과 심리의 학문적 접근
[교육학]인간중심 교육사상
최신 교육학 개론 요약
[인간교육][인간교육 원리][인간교육학][인간교육 교사자질][인간교육 추진방안]인간교육의 ...
게놈과 유전자 조작 그리고 인간의 본성
교육의 철학-교육학의 필요성,교육학에 대한 철학,교육 철학의 정의,교육철학의 성격과 역할,...
2017 인간과교육] 후기현대철학적 인간이해의 관점에서 강조되고 있는 인간관의 특징, 종래의...
인간과교육:) 후기 현대철학적 인간이해 관점 인간관의 특징 / 과학적 인간관 비판 / 콜버그...
[인간과 교육 공통] 1. 후기 현대철학적 인간이해의 관점에서 강조되고 있는 인간관의 특징을...
[인간과 교육 공통] 1. 후기 현대철학적 인간이해의 관점에서 강조되고 있는 인간관의 특징을...
인간과교육)1.후기현대철학적인간이해의 관점에서 강조되고있는 인간관 특징, 과학적인간관 ...
인간의 본성과 인간관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