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실험목적
2. 실험기구
3. 실험 방법
4. 실험 결과
2. 실험기구
3. 실험 방법
4. 실험 결과
본문내용
수를 흡입시킨후 blank dial로 0을 맞춘다.
11) 표준용액을 흡입시킨 후 sensitivity의 fine, coarse를 이용하여 양의 값 (최대값이 되도록)이 되도록 한다.
12) Fuel adjust를 시계방향으로 돌려 peak(최고치)값을 가지도록 한다.
13) 표준용액을 순서대로 9)~11)과정을 반복하여 값을 읽는다.
(시료 측정 전에 매번 증류수를 흡입시켜 0이 되는지 확인 후 실험-증류 수로 영점조절)
14) 미지시료(이온음료, 생수, 수돗물)의 값을 측정한다.
15) 마지막으로 calibration curve로 부터 미지시료 농도를 알아낸다.
16) 증류수를 흡입시켜 깨끗이 한다. (10분 정도)
17) 열이 식을 때 까지 air를 공급하여 준다. (30분 정도)
<< 주의 및 참고사항 >>
☆ 값을 다시 얻거나 농도를 변화시킬 때는 증류수로 0점을 항상 맞춘다.
☆ 잠시라도 사용하지 않을 때는 tube를 증류수에 담가두고 증류수가 빨리 줄기
때문에 수시로 확인하고 공급해준다.
☆ 표준용액을 취할 때는 반드시 사용할 양 만큼 비커에 부어서 사용해야한다
(이유 : 표준용액의 오염을 막기 위해 )
☆ 모든 용액은 3번씩 측정한다.
4. 실험 결과
가. standard solution의 Na 수치 값
1) 5ppm : 0.42
2) 10ppm : 0.84
3) 15ppm : 1.15
나. 미지시료의 Na 수치 값
1) 이온 음료 : 9.02
2) 수돗물 : 1.85
3) 정수기 물 : 2.33
다. 미지시료 중 가장 Na가 많이 포함되어있는 시료 : 이온 음료.
11) 표준용액을 흡입시킨 후 sensitivity의 fine, coarse를 이용하여 양의 값 (최대값이 되도록)이 되도록 한다.
12) Fuel adjust를 시계방향으로 돌려 peak(최고치)값을 가지도록 한다.
13) 표준용액을 순서대로 9)~11)과정을 반복하여 값을 읽는다.
(시료 측정 전에 매번 증류수를 흡입시켜 0이 되는지 확인 후 실험-증류 수로 영점조절)
14) 미지시료(이온음료, 생수, 수돗물)의 값을 측정한다.
15) 마지막으로 calibration curve로 부터 미지시료 농도를 알아낸다.
16) 증류수를 흡입시켜 깨끗이 한다. (10분 정도)
17) 열이 식을 때 까지 air를 공급하여 준다. (30분 정도)
<< 주의 및 참고사항 >>
☆ 값을 다시 얻거나 농도를 변화시킬 때는 증류수로 0점을 항상 맞춘다.
☆ 잠시라도 사용하지 않을 때는 tube를 증류수에 담가두고 증류수가 빨리 줄기
때문에 수시로 확인하고 공급해준다.
☆ 표준용액을 취할 때는 반드시 사용할 양 만큼 비커에 부어서 사용해야한다
(이유 : 표준용액의 오염을 막기 위해 )
☆ 모든 용액은 3번씩 측정한다.
4. 실험 결과
가. standard solution의 Na 수치 값
1) 5ppm : 0.42
2) 10ppm : 0.84
3) 15ppm : 1.15
나. 미지시료의 Na 수치 값
1) 이온 음료 : 9.02
2) 수돗물 : 1.85
3) 정수기 물 : 2.33
다. 미지시료 중 가장 Na가 많이 포함되어있는 시료 : 이온 음료.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