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ectrofluorometry (형광분석법) (결과보고서)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spectrofluorometry (형광분석법) (결과보고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실험목적

[2] 실험 시약 &기구

[3] 실험방법

[4] 실험 결과

본문내용

사용되어 왔다. 대부분의 분광형광계에서는 회절발 단색화장치를 적어도 한쪽에 또는 때때로 양쪽에 사용한다.
- Transducers (변환기): 보통 발광신호의 세기는 약하기 때문에 이것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크게 증폭해야 한다. 따라서 감도 좋은 형광기기에서는 광전증배관이 가장 흔히 사용된다. 광전증배관은 향상된 신호-대-잡음비를 얻기 위해 광자 계수방식으로 작동된다.
- Cells and cell Compartments (셀 및 셀 설치실): 유리 또는 실리카로 만든 원통형 또는 사각형 셀 모두가 형광을 측정할 때 사용된다. 검출기에 산란복사선이 들어가지 못하도록 셀 설치실을 설계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 종종 빛살차단막을 설치하기도 한다. 흡광도 측정에서보다도 더 셀에 지문이 묻지 않도록 하는 것이 중요한데 이는 피부기름이 종종 형광을 내기 때문이다.
② Measurement example
: 시료 중의 형광물질에 의하여 방출된 형광강도는 시료 중의 형광물질의 농도와 비례한다. 그러므로 위의 식 (6) F = Kc 에서 비례상수 K 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는 앞에서도 설명한 바와 같이 몰흡광계수, 양자수율, 시료의 단면적, 입사광선의 강도 등이 있다. 하지만 형광물질을 정량 분석하는데 있어서 이 비례상수에 대한 구체적인 지식은 반드시 필요한 것이 아니기 때문에 구체적으로 알려고 할 필요가 없다. 다만 우리는 흡광 광도법에서와 같이 표준용액을 조제, 주어진 조건하에서 표준용액의 형광강도를 측정, 표준 검량선 작성, 표준 검량선에서 시료의 형광강도 비교, 그리고 계산의 과정을 통하여 시료 중의 형광물질을 정량분석 할 수 있다. 형광광도계를 이용하여 형광물질을 정량분석 할 때에는 표준 검량선을 작성하기 위한 여러 가지 농도를 지니는 표준용액을 조제한 후, 이 중에서 가장 높은 농도를 지니는 용액과 공시료(blank test)를 이용하여 형광광도계가 최대의 수치(100)와 0을 읽도록 보정하여야 한다. 그러므로 모든 시료용액은 0과 최대점(100)사이에서 형광광도가 측정되어 진다. 가장 높은 농도를 지니는 표준용액이 지시기의 최대 수치(100)를 읽도록 조절하는 것은 흡광단색화장치의 entrance slit의 개폐정도를 조절하여 시료를 들뜨게 하는 흡수광(입사광)의 강도를 증가시키기 위한 것이다. 그러므로 이와 같은 조작은 위 식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형광강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 중의 하나를 조절하는 것이다.
  • 가격5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5.10.10
  • 저작시기2014.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8397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