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생애
2. 시대적배경
3. 디자인철학
4. Vanner Venturi House
5. 가구
6. 식기디자인
7. 참고내용(로버트벤츄리의 작품 - 길드하우스(라스베가스의 교훈)
2. 시대적배경
3. 디자인철학
4. Vanner Venturi House
5. 가구
6. 식기디자인
7. 참고내용(로버트벤츄리의 작품 - 길드하우스(라스베가스의 교훈)
본문내용
. 그러나 이 큰 회합실 자체는 내부 공간 시스템에서 볼때 예외적이다. 화사드를 보면 하나의 아치선이 속이 빈 발코니의 수직적인 띠 끝에 자리하고 있는 바 그 기초가 되는 것은 장식된 입구이다.
아치, 발코니, 입구가 화사드를 하나로 묶어 주고 거대한 오오더의 경우처럼 6층이라는 것을 왜곡시켜 스케일을 확대하고 정면의 기념비성을 증대시킨다. 또 이거대한 오오더 위에는 건물과는 별로 관계가 없는 화려하고 정면의 기념비성을 증대시킨다.
또 이 거대한 오오더 위에는 건물과는 별로 관계가 없는 화려하고 대칭적인 안테나를 금도금의 알루미늄을 재료로 하여 세워 놓았는데 이것은 리폴드의 추상과 조각을 모방한 것인 동시에 노인을 표상하는 상징이기도 하다.
- 안테나는 노인들이 tv를 보는 행위를 다른방법으로 나타내는 추상적의미이다.
■ 명확 이상 암시의 연상
길드하우스 상징성은 장식을 포함고 있으며 다소 명학한 연상에 의존한다.
길드 하우스의 발코니는 구조적으로 특별한 것은 없고, 난간 레일은 장식이기도 한 동시에, 압형금속판의 재래 패턴을 확대하여 사용한 것이다.
크로포드 메이너라는 순수 건축형태의 상징성은 암시적 연상을 일으킨다.
예를들어 크로포드 메이너의 수직 샤프트는 구조 기둥을 연상케한다. 이기둥은 거친 면으로 마감한 철근콘크리트 구조로서 설비 공간과 배관류를 숨기고 있고, 그 상단부는 배기 설비의 모양으로 끝내기를 하고, 광선 조절용 개구부를 분절화, 유동적 공간 을 구분시키고, 평면의 가장자리에서 민감하게 튀어나온 평면상의 기능들을 또한 분절화한다.
■ 영웅과 독창, 아니면 추악과 진부
기술적으로 덜 발전된 벽돌, 구식의 오르내리 창, 입구 주위의 예쁜재료, 일반적으로 하는 방식과 달리 파라펫 뒤로 숨기지 않은 추악한 안테나. 이 모든 것의 실체는 말할 것도 없고, 그 이미지도 재래적이다. 아니 그 보다는 추악하고 진부하다는 표현이 맞을 것이다.
거대한 오오더로 가장한것, 조각품하나를 얹힌, 세 종류로 구성된 기념비적인 층들로 이루어진(실제로는 6층) 대칭적이며 팔라쪼풍의 구성은 웅대하고 독창적인 어떤것을 암시한다.
이것에 의하여 길드 하우스는 건축가가 한 장식된 쉐드(건축가 없는 건축이 아니라)로 보이게 된다.
아이러닉한 웅대성과 독창성을 시위하는 가우데에서도 문득문득 추악성과 진부함을 보여준다. 그리고 이쉐드는 표면이 벽돌과 창문으로 되어 상징적이기도 하지만, 역시 추악하고 진부하다는 표현이 솔직하다.
장식된 쉐드의 선주적인 예가 과거에 충분히 있을지라도 현대의 가로에 있는 상업 건축-10만불짜리 간판과 1만불짜리 스탠드- 이 우리가 만든 장식된 쉐드의 직접적인 전형이다. 결국 장식된 쉐드에대한 순순한 선언과 크로포드메이너와의 가장 생생한 대조를 바로 길드 하우스의 간판에서 볼 있는 것이다.
■ 장식 : 싸인과 상징, 외연과 내포, 문장과 인상, 의미와 표현
외연 : 하나의 개념에 부합되는 것의 전체
길드하우스의 현관에 있는 간판은 달려가는 자동차에서 쉽게 식별할 수 있을만큼 큰 싸인은 명학히 상업적인 연상을 불러 일으키기 때문에 특히 추악하고 진부하다.
크로포드 메이너는 노인을 위한 하우징임을 어떤 식으로 표현할려는, 순수 건축 형태의 인상에서 보여주는 식의 암시적인 내표를 통해 이룩되는 것이다. (현대 아파트또한 간판이없다)
GUILD HOUSE라는 싸인은 그 단어들을 통하여 그의미를 외연한다. 이싸인은 그자체가 “우수한”문장적 요소가 되는 것이다. 그러나 그 문자의 실체는 사회 사업체로서의 권위를 내포하는 동시에, 모순적이지만 그 문자의 크기로서 상업주의도 내포한다.
결론 :
근대건축의 건축가들이 건축에서 장식을 배제하기 시작했을 때, 그들은 자신도 모르게 그 자체로 장식인 건물들을 디자인했을 것이다. 근대 건축의 가장 큰 실패는, 사회 개선을 위해 힘쓰는 듯 보였으나 실제로는 취향 형성자인 중산층에게 외면당한 미학으로 이도 저도 아닌 실패한 노동자 주거만 양산한 꼴이 되어 버린 것이다. 저자들은 라스베이거스를 근대 건축이 선호해온 공간론(Forms-in-Space)을 이겨 내고, 상징이 다시금 중심을 차지한 도시의 전형으로 간주한다. 그리고 이에 19세기말 건축가 퓨진을 인용해 말한다. “이제 건물을 장식하는 것은 괜찮지만, 장식을 건축하는 것은 안된다” 오늘날 평범해 보이는 건축물에 쓰이는 상징성을 싸인이나 심볼 같은 요소가 바로 오늘의 건축(이 책이 출간된 1970년대의 건축)이 지극히 타당하다는 것이다.
에피소드 :
삼십년이 지난 지금의 라스베이거스는 1972년에 벤추리가 예상한 것과는 다른방향으로 발전했다. 이제 라스베이거스의 중심은 자동차 중심의 중심가로가 아니라, 호텔과 컨벤션 센터를 중심으로 한 거리이다. 디즈니 풍의 보행자 도로가 중심이 된 라스베이거스는 이제 각종 야외 쇼가 펼쳐지는 또 다른 테마 파크가 되었다. 각 호텔들은 이제 간판으로 장식된 데코레이티드 셰드가 아니라, 건축 그 자체로 버추얼한 경험을 제공하는 맨해튼이나 베네치아로 변했다. 이를 오리로 다시금 회기한 것으로 봐야 할지, 아니면 테마파크화 혹은 몰화하는 도시문화의 변종으로 봐야할 지는 지금 단계에서 확언할 수 없다.
- 출 처 -
라스베가스의 교훈
주거건축으로 본 근·현대 건축 (지호정)
모더니즘 이후의 현대 건축의 동향 (최두길, 선진 공역)
20세기 현대건축론 (진경돈,남경훈 편역)
modern architecture since 1900 (wiliam j r curtis)
Architecture in the twentieth century
현대건축론 (m.lampuhnani)
- www.vsba.com
- www.greatbuildings.com/gbc/architects/Robert_Venturi.html
- www.openscale.net/s/venturibbs/board_view.asp?
number=2&cpage=1&fnum=0&searchkey=&searchtext=
- www.greatbuildings.com/gbc/architects/Robert_Venturi.htm
- www.knoll.com/
- www.oepa.or.kr/posco/
아치, 발코니, 입구가 화사드를 하나로 묶어 주고 거대한 오오더의 경우처럼 6층이라는 것을 왜곡시켜 스케일을 확대하고 정면의 기념비성을 증대시킨다. 또 이거대한 오오더 위에는 건물과는 별로 관계가 없는 화려하고 정면의 기념비성을 증대시킨다.
또 이 거대한 오오더 위에는 건물과는 별로 관계가 없는 화려하고 대칭적인 안테나를 금도금의 알루미늄을 재료로 하여 세워 놓았는데 이것은 리폴드의 추상과 조각을 모방한 것인 동시에 노인을 표상하는 상징이기도 하다.
- 안테나는 노인들이 tv를 보는 행위를 다른방법으로 나타내는 추상적의미이다.
■ 명확 이상 암시의 연상
길드하우스 상징성은 장식을 포함고 있으며 다소 명학한 연상에 의존한다.
길드 하우스의 발코니는 구조적으로 특별한 것은 없고, 난간 레일은 장식이기도 한 동시에, 압형금속판의 재래 패턴을 확대하여 사용한 것이다.
크로포드 메이너라는 순수 건축형태의 상징성은 암시적 연상을 일으킨다.
예를들어 크로포드 메이너의 수직 샤프트는 구조 기둥을 연상케한다. 이기둥은 거친 면으로 마감한 철근콘크리트 구조로서 설비 공간과 배관류를 숨기고 있고, 그 상단부는 배기 설비의 모양으로 끝내기를 하고, 광선 조절용 개구부를 분절화, 유동적 공간 을 구분시키고, 평면의 가장자리에서 민감하게 튀어나온 평면상의 기능들을 또한 분절화한다.
■ 영웅과 독창, 아니면 추악과 진부
기술적으로 덜 발전된 벽돌, 구식의 오르내리 창, 입구 주위의 예쁜재료, 일반적으로 하는 방식과 달리 파라펫 뒤로 숨기지 않은 추악한 안테나. 이 모든 것의 실체는 말할 것도 없고, 그 이미지도 재래적이다. 아니 그 보다는 추악하고 진부하다는 표현이 맞을 것이다.
거대한 오오더로 가장한것, 조각품하나를 얹힌, 세 종류로 구성된 기념비적인 층들로 이루어진(실제로는 6층) 대칭적이며 팔라쪼풍의 구성은 웅대하고 독창적인 어떤것을 암시한다.
이것에 의하여 길드 하우스는 건축가가 한 장식된 쉐드(건축가 없는 건축이 아니라)로 보이게 된다.
아이러닉한 웅대성과 독창성을 시위하는 가우데에서도 문득문득 추악성과 진부함을 보여준다. 그리고 이쉐드는 표면이 벽돌과 창문으로 되어 상징적이기도 하지만, 역시 추악하고 진부하다는 표현이 솔직하다.
장식된 쉐드의 선주적인 예가 과거에 충분히 있을지라도 현대의 가로에 있는 상업 건축-10만불짜리 간판과 1만불짜리 스탠드- 이 우리가 만든 장식된 쉐드의 직접적인 전형이다. 결국 장식된 쉐드에대한 순순한 선언과 크로포드메이너와의 가장 생생한 대조를 바로 길드 하우스의 간판에서 볼 있는 것이다.
■ 장식 : 싸인과 상징, 외연과 내포, 문장과 인상, 의미와 표현
외연 : 하나의 개념에 부합되는 것의 전체
길드하우스의 현관에 있는 간판은 달려가는 자동차에서 쉽게 식별할 수 있을만큼 큰 싸인은 명학히 상업적인 연상을 불러 일으키기 때문에 특히 추악하고 진부하다.
크로포드 메이너는 노인을 위한 하우징임을 어떤 식으로 표현할려는, 순수 건축 형태의 인상에서 보여주는 식의 암시적인 내표를 통해 이룩되는 것이다. (현대 아파트또한 간판이없다)
GUILD HOUSE라는 싸인은 그 단어들을 통하여 그의미를 외연한다. 이싸인은 그자체가 “우수한”문장적 요소가 되는 것이다. 그러나 그 문자의 실체는 사회 사업체로서의 권위를 내포하는 동시에, 모순적이지만 그 문자의 크기로서 상업주의도 내포한다.
결론 :
근대건축의 건축가들이 건축에서 장식을 배제하기 시작했을 때, 그들은 자신도 모르게 그 자체로 장식인 건물들을 디자인했을 것이다. 근대 건축의 가장 큰 실패는, 사회 개선을 위해 힘쓰는 듯 보였으나 실제로는 취향 형성자인 중산층에게 외면당한 미학으로 이도 저도 아닌 실패한 노동자 주거만 양산한 꼴이 되어 버린 것이다. 저자들은 라스베이거스를 근대 건축이 선호해온 공간론(Forms-in-Space)을 이겨 내고, 상징이 다시금 중심을 차지한 도시의 전형으로 간주한다. 그리고 이에 19세기말 건축가 퓨진을 인용해 말한다. “이제 건물을 장식하는 것은 괜찮지만, 장식을 건축하는 것은 안된다” 오늘날 평범해 보이는 건축물에 쓰이는 상징성을 싸인이나 심볼 같은 요소가 바로 오늘의 건축(이 책이 출간된 1970년대의 건축)이 지극히 타당하다는 것이다.
에피소드 :
삼십년이 지난 지금의 라스베이거스는 1972년에 벤추리가 예상한 것과는 다른방향으로 발전했다. 이제 라스베이거스의 중심은 자동차 중심의 중심가로가 아니라, 호텔과 컨벤션 센터를 중심으로 한 거리이다. 디즈니 풍의 보행자 도로가 중심이 된 라스베이거스는 이제 각종 야외 쇼가 펼쳐지는 또 다른 테마 파크가 되었다. 각 호텔들은 이제 간판으로 장식된 데코레이티드 셰드가 아니라, 건축 그 자체로 버추얼한 경험을 제공하는 맨해튼이나 베네치아로 변했다. 이를 오리로 다시금 회기한 것으로 봐야 할지, 아니면 테마파크화 혹은 몰화하는 도시문화의 변종으로 봐야할 지는 지금 단계에서 확언할 수 없다.
- 출 처 -
라스베가스의 교훈
주거건축으로 본 근·현대 건축 (지호정)
모더니즘 이후의 현대 건축의 동향 (최두길, 선진 공역)
20세기 현대건축론 (진경돈,남경훈 편역)
modern architecture since 1900 (wiliam j r curtis)
Architecture in the twentieth century
현대건축론 (m.lampuhnani)
- www.vsba.com
- www.greatbuildings.com/gbc/architects/Robert_Venturi.html
- www.openscale.net/s/venturibbs/board_view.asp?
number=2&cpage=1&fnum=0&searchkey=&searchtext=
- www.greatbuildings.com/gbc/architects/Robert_Venturi.htm
- www.knoll.com/
- www.oepa.or.kr/posco/
추천자료
포스트모더니즘과 교육
포스트모더니즘 발생 배경과 여러 양상
포스트모더니즘시대의 소비문화(컨버전스)
포스트모더니즘-신국원[IVP]
포스트모더니즘에_대하여
포스트모더니즘 재조명
포스트모더니즘과_교육
여성주의, 포스트모더니즘, 이야기, 울트라모더니즘 치료
[윤리교육] 모더니즘과 포스트모더니즘의 관점
포스트모더니즘의 경향과 해결과제
[가족상담 및 치료] 가족치료의 이론적 기초 - 가족치료와 개인치료의 차이, 초기 가족의 치...
도시공간의 모더니즘과 포스트모더니즘postmodernism의 이해(두 이론의 주요 내용을 비교분석)
모더니즘modernism 포스트모더니즘
[포스트모더니즘과 여가 책요약][8장 포스트모던 여가]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