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가오루는, 그녀의 심경의 변화가 이해가 되지 않아 다른 남자가 있는 것이 아닌가 하고 의심해 보면서 겐지모노가타리의 길고 긴 이야기가 끝나게 된다. 옛날이야기의 뻔한 패턴인 ‘주인공은 누구누구와 결혼해서 잘 먹고 잘 살았다’로 끝나지 않고, 또 이야기가 완전히 끝나지 않은 것 같은 상태에서 소설을 끝맺음으로서 여운을 남기고, 그것이 소설의 묘미가 된다. 정편에서는 겐지가 사랑하는 부인 무라사키노우에를 잃고 인생의 무상함을 느끼고 출가하고 있고, 또 후편에서는 이렇게 우키후네가 사랑의 삼각관계에 지쳐 출가하는 것으로 이야기를 끝맺고 있다는 건, 앞서 언급했듯이 작자가 삶과 사랑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하는지를 보여준다. 어쩌면 무라사키는 닳고 닳아 헤진 마음, 표정없는 얼굴로 겐지모노가타리를 쓰지 않았을까.
추천자료
근대일본문학에 있어서의「자연」관 : 자연주의문학
일본근대문학에서의 문학장르의식의 탄생과 그 주변 : 일본문학 미문학
고등학교 일본문학교육의 변천
한국에 있어서 나쓰메 소세키(夏目漱石) 문학연구의 현황과 전망 :일본문학
설국(雪國)의 사상적 배경과 일본인의 죽음의식 : 일본문학
일본문학과 한국문학의 비교-일본의 실낙원 vs 한국의 감자
일본근대문학(시,소설)
일본문학과 한국문학의비교(일본의 실낙원과 한국의 감자)
2010년 2학기 일본문학의흐름2 중간시험과제물 I
2010년 2학기 일본문학의흐름2 중간시험과제물 G
일본문학교육
[서평] 원씨물어(겐지 이야기 ; 겐지모노가타리 / 原氏物語)를 읽고 _ 무라사키 시키부 (紫式...
2017년 1학기 일본명작기행 중간시험과제물 공통(상상의 일본문학기행문 쓰기)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