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들어가며.
- ‘시간 인식의 급격한 변화’, 그 속에서 등장한 산업혁명
◈ 본론.
- 산업 혁명의 배경
- 산업 혁명의 과정
“정치, 경제, 과학기술, 사회, 환경, 문화에 걸친 광범위한 변화에 대하여”
과정 - ‘삶의 진보’를 향하여...
과정 - ‘자기 파괴’를 향하여...
반성 - ‘낭만파’의 부활...
- 산업 혁명의 결과
“새로운 계급 탄생, 사회민주주의의 태동”
◈ 맺음말.
- 산업혁명, 그 ‘환상’을 넘어서
< 참 고 문 헌 >
- ‘시간 인식의 급격한 변화’, 그 속에서 등장한 산업혁명
◈ 본론.
- 산업 혁명의 배경
- 산업 혁명의 과정
“정치, 경제, 과학기술, 사회, 환경, 문화에 걸친 광범위한 변화에 대하여”
과정 - ‘삶의 진보’를 향하여...
과정 - ‘자기 파괴’를 향하여...
반성 - ‘낭만파’의 부활...
- 산업 혁명의 결과
“새로운 계급 탄생, 사회민주주의의 태동”
◈ 맺음말.
- 산업혁명, 그 ‘환상’을 넘어서
< 참 고 문 헌 >
본문내용
관심을 보이고, 이를 주요 정강으로 채택하고 있는 배경도 산업혁명 당시의 결과에 대한 반성에서 시작되었다고 보여 진다.
<맺음말> - 산업혁명, 그 ‘환상’을 넘어서
프랑스의 석학, ‘토크빌’은 산업 혁명의 중심지 맨체스터를 방문하여, 이 도시의 노동자 거주 지역을 가로질러 흐르는, 공장 폐수로 오염된 시커먼 강물을 보면서 맨체스터와 산업 혁명에 대한 자신의 인상을 다음과 같이 쓰고 있다.
"이 더러운 하수구로부터 전 세계를 비옥하게 만드는 인간의 땀의 강물이 흘러나오며 순수한 황금도 흘러나온다. 인간이 가장 애써 이룩한 이 문명이 그 기적을 이루는 바로 이곳에서 인간은 야만인으로 되어 버렸다." 출처: http://www.sejong.hs.kr/jdlee.tip/htm
18세기의 산업혁명에 의해 인류는 거대한 생산수단을 손에 넣었다. 이후, 하나의 도그마로 자리 잡은 ‘진보’의 이데올로기 속에, 인간은 숨 가쁘게 지난 19세기와 20세기를 달려왔고, ‘혁명’의 수혜자가 되었다.
그 눈부신 성과를 인정하기에, 200년간의 일련의 변화는 ‘혁명’으로 인정받고 있다. 산업혁명은 정치, 경제, 과학기술, 환경, 문화에 걸친 광범위한 변화의 역동성을 이끌었다. 대다수 사람들이 이전 세대에는 생각도 못 하던 물질적인 수준을 손에 넣게 되었다. 우리는 시민 부르주아, 산업 자본가의 정치세력이 가져다 준 자유민주주의, 자본주의의 품안에서 살고 있다. 성장과 소비, 생산성 경쟁의 경제체제에 적응하며, 자동화된 사무실, 기계적인 공장에서 일한다. 그리고 화학비료, 유전자 조작 등 자연적이지 않은 소산을 먹으며 초고속 전철, 비행기, 자동차, 휴대폰, 텔레비전, 냉장고 등을 당연하게 여기며 살고 있다. 하지만 지금도 계속되고 있는 이 위대한 변화의 한편에선 이러한 것들에서 철저히 소외당한 자들이 있다. 인간을 제외한 지구의 구성원들, 후진국, 체제에 적응하지 못한 minority들이 바로 그들이다.
환경문제의 관점에서, 산업혁명은 ‘한낱 기계화로서, 화석연료를 대량으로 사용하게 된 에너지 개발, 자연 파괴의 다변화’였을 뿐이다. 비교적 최근에 갑작스럽게 나타난 이 변화는 제한된 세계 에너지 자원과 천연 자원의 엄청난 소비, 공업화로 인한 오염의 확산, 그 밖의 여러 가지 사회 문제를 낳았다. 여기에 각 국가 내에서의 부의 불공평한 분배, 선진국과 제3세계 국가의 생활수준 차이 등의 문제는 산업혁명의 또 다른 인과율을 증명하는 듯 하다. 이제 인류 문명, 문화 발전의 영광은 전 지구적 생존을 담보로 달려가고 있다. 밀랍으로 된 날개를 달고 태양을 넘보던 ‘이카루스’의 교만함처럼 우리는 너무 높이 날아올랐는지도 모른다.
산업혁명, 그 다른 시각에의 평가와 반성이 필요한 시점이다. 새로운 ‘혁명’이 인류사에 발발해야 한다면, 그것은 ‘정보화 혁명’, ‘지식혁명’보다는 ‘인간혁명’, ‘환경혁명’이 되어야 할 것이다. 새로운 ‘인간, 환경의 혁명’의 유령이 떠돌고 있다. 전 지구인들이여, 그 ‘산업화, 진보’의 환상에서 벗어나, 새로운 혁명을 향해 단결할 때이다!
< 참 고 문 헌 >
군태명, 『세계사의 100대 사건』, 동아출판사, 1995
뽈망두, 『산업혁명사(상)(하)』, 창작과 비평사, 1987
양동휴, 『산업혁명과 기계문명』, 서울대학교 출판부, 1997
이시 히로유키 외, 『환경은 세계사를 어떻게 바꾸었는가? :환경과 문명의 세계사』, 경당, 2003
크리스토프 부흐하임, 『세계의 산업혁명』, 해남, 1998
클라이브 폰팅, 『녹색세계사 : 이제 녹색의 세계사를 읽는다』, 그물코, 2003
프레데릭 들루슈 외, 『새 유럽의 역사』, 까치, 2000
<맺음말> - 산업혁명, 그 ‘환상’을 넘어서
프랑스의 석학, ‘토크빌’은 산업 혁명의 중심지 맨체스터를 방문하여, 이 도시의 노동자 거주 지역을 가로질러 흐르는, 공장 폐수로 오염된 시커먼 강물을 보면서 맨체스터와 산업 혁명에 대한 자신의 인상을 다음과 같이 쓰고 있다.
"이 더러운 하수구로부터 전 세계를 비옥하게 만드는 인간의 땀의 강물이 흘러나오며 순수한 황금도 흘러나온다. 인간이 가장 애써 이룩한 이 문명이 그 기적을 이루는 바로 이곳에서 인간은 야만인으로 되어 버렸다." 출처: http://www.sejong.hs.kr/jdlee.tip/htm
18세기의 산업혁명에 의해 인류는 거대한 생산수단을 손에 넣었다. 이후, 하나의 도그마로 자리 잡은 ‘진보’의 이데올로기 속에, 인간은 숨 가쁘게 지난 19세기와 20세기를 달려왔고, ‘혁명’의 수혜자가 되었다.
그 눈부신 성과를 인정하기에, 200년간의 일련의 변화는 ‘혁명’으로 인정받고 있다. 산업혁명은 정치, 경제, 과학기술, 환경, 문화에 걸친 광범위한 변화의 역동성을 이끌었다. 대다수 사람들이 이전 세대에는 생각도 못 하던 물질적인 수준을 손에 넣게 되었다. 우리는 시민 부르주아, 산업 자본가의 정치세력이 가져다 준 자유민주주의, 자본주의의 품안에서 살고 있다. 성장과 소비, 생산성 경쟁의 경제체제에 적응하며, 자동화된 사무실, 기계적인 공장에서 일한다. 그리고 화학비료, 유전자 조작 등 자연적이지 않은 소산을 먹으며 초고속 전철, 비행기, 자동차, 휴대폰, 텔레비전, 냉장고 등을 당연하게 여기며 살고 있다. 하지만 지금도 계속되고 있는 이 위대한 변화의 한편에선 이러한 것들에서 철저히 소외당한 자들이 있다. 인간을 제외한 지구의 구성원들, 후진국, 체제에 적응하지 못한 minority들이 바로 그들이다.
환경문제의 관점에서, 산업혁명은 ‘한낱 기계화로서, 화석연료를 대량으로 사용하게 된 에너지 개발, 자연 파괴의 다변화’였을 뿐이다. 비교적 최근에 갑작스럽게 나타난 이 변화는 제한된 세계 에너지 자원과 천연 자원의 엄청난 소비, 공업화로 인한 오염의 확산, 그 밖의 여러 가지 사회 문제를 낳았다. 여기에 각 국가 내에서의 부의 불공평한 분배, 선진국과 제3세계 국가의 생활수준 차이 등의 문제는 산업혁명의 또 다른 인과율을 증명하는 듯 하다. 이제 인류 문명, 문화 발전의 영광은 전 지구적 생존을 담보로 달려가고 있다. 밀랍으로 된 날개를 달고 태양을 넘보던 ‘이카루스’의 교만함처럼 우리는 너무 높이 날아올랐는지도 모른다.
산업혁명, 그 다른 시각에의 평가와 반성이 필요한 시점이다. 새로운 ‘혁명’이 인류사에 발발해야 한다면, 그것은 ‘정보화 혁명’, ‘지식혁명’보다는 ‘인간혁명’, ‘환경혁명’이 되어야 할 것이다. 새로운 ‘인간, 환경의 혁명’의 유령이 떠돌고 있다. 전 지구인들이여, 그 ‘산업화, 진보’의 환상에서 벗어나, 새로운 혁명을 향해 단결할 때이다!
< 참 고 문 헌 >
군태명, 『세계사의 100대 사건』, 동아출판사, 1995
뽈망두, 『산업혁명사(상)(하)』, 창작과 비평사, 1987
양동휴, 『산업혁명과 기계문명』, 서울대학교 출판부, 1997
이시 히로유키 외, 『환경은 세계사를 어떻게 바꾸었는가? :환경과 문명의 세계사』, 경당, 2003
크리스토프 부흐하임, 『세계의 산업혁명』, 해남, 1998
클라이브 폰팅, 『녹색세계사 : 이제 녹색의 세계사를 읽는다』, 그물코, 2003
프레데릭 들루슈 외, 『새 유럽의 역사』, 까치, 2000
추천자료
산업혁명 이후 나타난 이상주의자
산업혁명에 관한 보고서
산업혁명과 산업화의 역사적 의미에 관한 고찰
산업혁명결과
산업혁명과 성장
산업혁명의 기반이 된 사회의 총체적 분석
산업혁명시대의 양상과 개혁운동
산업혁명과 질병
영국 산업화 시대의 개념 역사, 유래, 산업혁명 이전의 상황, 식민지, 식민도시개발, 영국 제...
산업혁명의 밑거름으로서의 4혁명
산업혁명 The industrial Revolution
글로벌경제의 3가지 혁명 (1,2,3차 산업혁명과 세계화)
산업혁명의 득과 실_산업화
미국의 경제발전사,산업혁명 이후의 미국의 산업화,미국의 경제성장 성공 요인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