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스탄티누스 대제의 업적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콘스탄티누스 대제의 업적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목차-

Ⅰ. 머리말
Ⅱ. 콘스탄티누스 대제는 누구인가?
Ⅲ. 콘스탄티누스 대제의 업적
1. 기독교 정책
2. 수도이전과 체제개혁
Ⅳ. 맺음말
Ⅴ. 참고문헌

본문내용

평의회의 수장인 아르콘에게 프로콘술의 칭호를 내려주었다. 이는 행정체계 속에서 콘스탄티노플을 황제에게 직접 편입시키는 것으로 이때부터 콘스탄티노플은 아시아 혹은 아카이아 그리스를 지칭.
의 프로콘술과 동등한 지위가 되었다.
4) 군대 개혁
콘스탄티누스는 제국 방어에 상당히 신경을 썼다 김차규,「콘스탄티누스의 니케아 공의회 개최 의미」,『대구사학』,대구사학회, 2003 . p. 189
. 그는 4분체제 때부터 변화해온 군대체제를 312년에서 325년 사이에 완전하게 수정 개편하는 가운데 이민족을 로마군에 편입시켜 군인의 수를 상당히 증가시켰다. 또한 그는 로마친위대를 해산시키고 325년 법령에 따라 제국의 주력 군대를 변경을 담당하는 변경군과 내륙을 담당하는 내륙기동대로 나누어 새롭게 조직화하였다. 이는 군편대의 지위와 칭호가 혼잡하게 섞여 있었던 군체제를 체계화 하는 것이었다. 그 첫 단계의 군대는 변경근처의 도시에 주둔하는 내륙기동대인 코미타텐세스이고 두 번째 지위의 군대는 변경 지역의 요새에 주둔했던 변경군들이었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가장 낮은 단계의 군대는 소규모 군단인 알라레스와 코흐르탈레스였다.
Ⅳ. 맺음말
지금까지 콘스탄티누스 대제의 업적에 초점을 두고 종교적, 정치적으로 나누어 그의 행보를 알아보았다. 콘스탄티누스 대제는 그리스도교 역사에서 중요한 전환점이 되었는데 313년 밀라노 칙령으로 기독교에 대한 관용을 선포하여 기독교에 대한 박해를 끝내고 사실상 정식 종교로 공인하게 되고, 325년 제1차 니케아 공의회를 소집하여 그리스도교 발전에도 크게 기여하였다. 이러한 업적으로 가톨릭과 동방정교에서는 콘스탄티누스를 성인으로 섬기고 있다.
또한 콘스탄티누스 대제는 쇠망의 길로 치닫고 있던 로마제국 재편성에 일환으로 콘스탄티노플을 세웠다. 그 후 체제개혁을 통해 로마 제국을 수습하고 다시 한 번 지중해의 패권을 장악한다. 이후 천년이 넘는 세월동안 콘스탄티노플은 비잔틴 제국의 수도로서 존재하게 된다.
콘스탄티누스 대제가 이룬 로마의 재통합 노력과 일련의 개혁, 그리고 그리스도교의 수용과 적극적인 확산을 지원하는 방안들은 가시적인 성과를 거두며 제국을 한 동안 유지하게 해주나 결국 로마 멸망이란 흐름을 완전히 거스르기에는 역부족이었다. 결국 서로마가 멸망하면서 사실상 전지중해를 아우르던 로마 제국의 시대는 종말을 고하게 된다. 그러나 콘스탄티누스 시절에 펼친 그리스도교 확산책은 결국 이후 중세유럽사회를 완전히 지배하는 그리스도교의 토대를 마련된 시기였다. 결국 콘스탄티누스 대제의 생애와 업적이 가진 의미는 이후 유럽 중세 시대로의 이행이란 측면 속에서 조망해볼 필요가 있다.
Ⅴ. 참고문헌
조인형, 『초기 기독교사 연구』, 한국학술정보(주), 2002
김차규, 「콘스탄티누스의 니케아 공의회 개최 의미」,『대구사학』, 대구사학회, 2003
정기환, 「콘스탄티누스의 종교정책(1)」,『종교와 문화』,서울대학교 종교문제연구소, 1998
정기환, 「콘스탄티누스의 종교정책(2)」,『종교와 문화』,서울대학교 종교문제연구소, 1999
  • 가격1,2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5.10.27
  • 저작시기2015.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8544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