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목차>
1. 아동 면접시 알아두어야 할 것
1) 인내, 관계형성
2) 아동발달에 대한 지식
3) 짧은 문장과 단순한 언어사용
4) 침묵을 이해하고 사용
5) 지지와 칭찬
6) 진술한 말 그대로 기록
7) 중립적 상태로 인터뷰(편들지 말기)
8) 구체적인 언어사용
9) 용기주기
10) 재치나 유머사용
11) 아동의 수준에 맞는 길이와 빠르기 사용
2. 아동 면접시 해서는 안 되는 것
1) 유도심문
2) 뇌물, 위협, 칭찬, 보상을 통해 대답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하기
3) 교육하지 말기
4) 좌절감을 느끼거나 짜증나게 하지 말기
5) 무슨 일이 일어날지 약속하지 말기
6) 아이에게 중요한 사람(보호자)에 대한 선입견을 갖고 묻지 말기
7) 상담자의 견해와 판단을 아동에게 강요하지 말기
8) 거짓말을 하거나 억제하고 있다고 느끼더라도 대답을 강요하지 말기
9) 폐쇄형 질문
1. 아동 면접시 알아두어야 할 것
1) 인내, 관계형성
2) 아동발달에 대한 지식
3) 짧은 문장과 단순한 언어사용
4) 침묵을 이해하고 사용
5) 지지와 칭찬
6) 진술한 말 그대로 기록
7) 중립적 상태로 인터뷰(편들지 말기)
8) 구체적인 언어사용
9) 용기주기
10) 재치나 유머사용
11) 아동의 수준에 맞는 길이와 빠르기 사용
2. 아동 면접시 해서는 안 되는 것
1) 유도심문
2) 뇌물, 위협, 칭찬, 보상을 통해 대답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하기
3) 교육하지 말기
4) 좌절감을 느끼거나 짜증나게 하지 말기
5) 무슨 일이 일어날지 약속하지 말기
6) 아이에게 중요한 사람(보호자)에 대한 선입견을 갖고 묻지 말기
7) 상담자의 견해와 판단을 아동에게 강요하지 말기
8) 거짓말을 하거나 억제하고 있다고 느끼더라도 대답을 강요하지 말기
9) 폐쇄형 질문
본문내용
려고 하는 심정을 갖게 할 수 있다.
5) 무슨 일이 일어날지 약속하지 말기
아동복지실천과정이 진행되어 가더라도 아동이나 그 가정에게 일어날 일은 정해진 것이 아니다. 일어나지도 않은 일을 미리 약속함으로 실제에서 진행에 다르게 되면 더 이상의 진행이 어려워질 수 있다.
6) 아이에게 중요한 사람(보호자)에 대한 선입견을 갖고 묻지 말기
아동에게 중요한 사람에 대한 선입견을 가지고 묻는다면 아동은 그 선입견 때문에 감정이 상하게 된다. 그러면 진실성이나 적극적인 자세가 약해질 수 있다. 사회복지사가 가져야할 정보를 얻는데에 어려움을 가질 수 있다.
7) 상담자의 견해와 판단을 아동에게 강요하지 말기
면접은 아동에게 일어난 일들을 사실적으로 파악하고 그 사실에 기초해서 합당한 개입을 하기 위한 것이다. 옳고 그름을 판단하거나 아이가 잘못되었다는 것을 알려주기 위한 것이 아니다. 강요적인 분위기는 아동의 심리를 위축시켜 만족한 진행을 어렵게 한다.
8) 거짓말을 하거나 억제하고 있다고 느끼더라도 대답을 강요하지 말기
여러 요인으로 인하여 아동이 거짓을 말할 수도 있고, 말하고 쉽지 않아 억제할 수도 있다. 이 때에 대답을 강요하는 것은 또 다른 거짓을 말하거나, 사실과 다른 것을 말하게 할 수도 있다. 또 감정적으로 말하기 어렵게 만드는 사실에 대해 강요하면 오히려 아동의 심리를 더욱 불안하게 하기도 한다.
9) 폐쇄형 질문
“예”나 “아니오”의 답을 요구하는 질문은 유도성 질문이 되기 쉽다. 또한 아동의 마음을 열게 하는 데에 어려움이 있다. 가능하면 자신의 일을 간단하게 라도 서술할 수 있도록 질문한다.
5) 무슨 일이 일어날지 약속하지 말기
아동복지실천과정이 진행되어 가더라도 아동이나 그 가정에게 일어날 일은 정해진 것이 아니다. 일어나지도 않은 일을 미리 약속함으로 실제에서 진행에 다르게 되면 더 이상의 진행이 어려워질 수 있다.
6) 아이에게 중요한 사람(보호자)에 대한 선입견을 갖고 묻지 말기
아동에게 중요한 사람에 대한 선입견을 가지고 묻는다면 아동은 그 선입견 때문에 감정이 상하게 된다. 그러면 진실성이나 적극적인 자세가 약해질 수 있다. 사회복지사가 가져야할 정보를 얻는데에 어려움을 가질 수 있다.
7) 상담자의 견해와 판단을 아동에게 강요하지 말기
면접은 아동에게 일어난 일들을 사실적으로 파악하고 그 사실에 기초해서 합당한 개입을 하기 위한 것이다. 옳고 그름을 판단하거나 아이가 잘못되었다는 것을 알려주기 위한 것이 아니다. 강요적인 분위기는 아동의 심리를 위축시켜 만족한 진행을 어렵게 한다.
8) 거짓말을 하거나 억제하고 있다고 느끼더라도 대답을 강요하지 말기
여러 요인으로 인하여 아동이 거짓을 말할 수도 있고, 말하고 쉽지 않아 억제할 수도 있다. 이 때에 대답을 강요하는 것은 또 다른 거짓을 말하거나, 사실과 다른 것을 말하게 할 수도 있다. 또 감정적으로 말하기 어렵게 만드는 사실에 대해 강요하면 오히려 아동의 심리를 더욱 불안하게 하기도 한다.
9) 폐쇄형 질문
“예”나 “아니오”의 답을 요구하는 질문은 유도성 질문이 되기 쉽다. 또한 아동의 마음을 열게 하는 데에 어려움이 있다. 가능하면 자신의 일을 간단하게 라도 서술할 수 있도록 질문한다.
키워드
추천자료
교육심리학의 연구 방법 - 자료수집 기법 : 관찰, 면접, 질문지, 발달연구, 일기법, 소시오메...
이혼 가정의 자녀보호 (부제: 양육비와 면접교섭권)
수학- 평가방법: 관찰법, 면접법
[사회복지실천론] Garret 사회사업 면접 방법
아동권리의 이해 - 아동권리의 특성과 내용, 발전과정 및 유엔 아동권리협약, 우리나라 아동...
국제연합아동권리협약(유엔아동권리협약, UN아동권리협약) 특징, 국제연합아동권리협약(유엔...
말더듬아동(말더듬아), 학습장애아동(학습장애아), 미숙아동(미숙아), ADHD아동, 주의력결핍...
주요시사(일반뉴스,영화) 분석정리 - 오바마 건강보험개혁, 북촌방향, 뫼비우스, 면접, 전교...
[유아수/과학지도] 유아수학교육의 평가 - 수학교육 평가의 목적과 내용, 포트폴리오를 통한 ...
사회복지실천모델 중 한 이론을 정하여 자신이 정한 대상자에게 직접 면접해보고 느낀 점을 ...
편입) 성균관대 편입학 전공면접 대비 질문정리&요약
사회복지실천모델 중 한 이론을 정하여, 자신이 정한 대상자에게 직접 면접해보고 느낀 점을 ...
청소년 게임중독에 대한 사례관리에서 초기 면접지를 어떤 식으로 적어야 합니까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