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스타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파스타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파스타란?

파스타의 기원

유래

파스타의 종류

파스타의 역사

파스타와 토마토의 만남

파스타를 사랑하는 사람들

본문내용

대량 생산하게 되었다. 시칠리아 사람들은 마케로니 대식가라는 별명을 갖게 되었는데 오늘날까지 시칠리아는 이탈리아에서 파스타를 가장 많이 먹는 곳이다.
파스타의 대중화
그 후 파스타는 제노바가 위치한 리구리아 지방과 나폴리에도 전해졌고 16세기 부터는 해상무역의 거점이었던 제노바가 건조파스파를 생산, 수출하는 주요 지역으로 떠오르게 되었다.
뜨거운 태양과 베수비오 산에서 불어오는 건조한 열풍, 지중해를 건너온 습한 해풍등 파스타 건조에 유리한 삼박자를 모두 갖추고 있는 나폴리는 파스타를 받아들여 다양한 형태로 발전시키고 서민적인 음식으로 퍼뜨려 파스타를 전국으로, 전 세계로 퍼뜨리는데 큰 공헌을 하였다.
파스타가 대중들의 식생활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기 시작한 것은 17세기 초로, 그 중심지는 바로 나폴리 왕국이었다. 18세기에 이르러서는 건조파스타가 전문적으로 생산되기 시작했고 19세기 초에는 나폴리를 중심으로 파스타 산업이 크게 번성하게 되었다.
시칠리아와 제노바, 나폴리 이 세 지방은 건조파스타의 역사를 이야기할때 빼놓을 수 없는 곳이다. 그런데 많은 곳 중 왜 하필 이지역이냐하면 이 세 지역의 공통점은 모두 바다에 인접해 있다는 것이다. 파스타를 자연 건조하던 시절, 바다로부터 불어오는 해풍은 파스타가 쉽게 건조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했다
파스타 제조의 기계화
산업화와 함께 자동화 바람이 불면서 손으로 만들어지던 파스타는 17세기 초부터 기계로 만들어 지기 시작했다. 하지만 18시게 중반까지는 수작업이 훨씬 많았는데, 반죽통에 사람이 맨발로 들어가 밟아서 반죽을 한 다음 압축기에 넣고 국수모양으로 뽑아낸 후 햇볕에 널어 말렸다. 이렇게 비위생적인 제조과정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체자레 스파타치니는 반죽기를 발명했고, 그 후 압축기도 사람이나 당나귀가 직접 돌리는 것이 아닌 전동기나 증기기관으로 작동하는 방식으로 바뀌었다.
19세기에는 동으로 된 다이스가 만들어졌다. 다이스를 만드는 장인들은 동에 다양한 모양의 구멍을 뚫어 새로운 모양의 파스타를 만들어 내기 시작했는데 그 당시 이미 200 여가지 정도의 모양을 만들어 냈다고 한다. 20세기초에는 인공건조기가 발명되었고,1933년에는 브라이반테 형제가 혼합,반죽,성형,건조까지 일체의 생산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지는 연속식 제조설비를 개발했다
파스타와 토마토의 만남
파스타를 생각하면 빼놓을 수 없는 것이 빨간 토마토이다. 이제 토마토는 파스타를 대표하는 이미지이자 이탈리아 요리 전체를 대표하는 이미지가 되었다. 토마토를 기초로 해서 만든 다양한 소스들은 우리 입맛에도 잘 맞아 누구에게나 사랑받고 있다. 하지만 파스타 요리에 토마토를 사용하기 시작한 것은 그리 오래된 일이 아니다.
토마토가 이태리에 들어온 것은 17세기 였으나 토마토가 바로 파스타 요리에 사용되었던 것은 아니었다. 토마토는 신세계의 정복자들에 의해 스페인에 전해졌고, 그 후 유럽 전역에 전파되었는데 처음 이탈리아에서는 토마토를 장식적인 식물로만 취급하였으며, 심지어 독성이 있다고 생각하기까지 하였다.
1778년에 빈첸조 코라도 (Vincenzo Corrado)는 그의 책 “Cuoco galante (The Gentlemen’s Chef) ”에서 최초로 토마토 소스에 대해 언급하였는데, 이 때도 파스타의 소스로 이용했던 것은 아니었다. 1800년대도에 접어들면서 파스타는 드디어 토마토와 만나게 되었다. 그 전까지 파스타는 아무런 소스도 첨가하지 않은 채로 먹거나 치즈를 곁들여 먹는 간단한 형태였는데, 토마토 소스와 만나게 되면서 파스타 요리의 맛에는 엄청난 변화가 생기게 되었다. 소금과 바질잎을 넣고 끓여 만드는 토마토 소스는 1800년대 초부터 남부 지방에서 파스타에 사용하기 시작하였다. 파스타와 토마토의 만남으로 이탈리아의 파스타 요리는 더욱 다양하고 풍부해졌으며, 식생활에도 커다란 변화를 가져왔다.
파스타의 세계 정복
파스타는 17세기 후반이 되어서 이탈리아에서 유럽 각지로 퍼지게 되었다. 그 후 미국으로 건너가면서 세계적인 메뉴로 자리잡는데 성공했다. 토마스 제퍼슨 미국 대통령이 유럽을 방문했을 때 대접받은 파스타에 반해 파스타를 수입하기 시작했으며, 19세기 말에는 이탈리아인들의 미국으로의 이민이 급증하면서 그 영향으로 대량의 파스타를 수입하게 되었다. 오늘날에는 미국 국내에서도 본격적으로 경질밀을 생산하여 파스타를 만들고 있어, 이탈리아에 이어 세계 제 2의 생산국가가 되었다,
이탈리아의 파스타가 전세계적인 인기를 얻고 있음은 이탈리아의 파스타의 수출량이 꾸준히 증가하는 것을 보면 알 수 있다.
요즈음 미국인들의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파스타는 더욱더 인기를 끌고 있다. 미국에서는 70년대 후반부터 지중해 다이어트에 대해 관심을 기울이기 시작했는데, 지중해 다이어트란 바로 파스타가 대표한다. 미국 정부가 일명 문명화 질병(비만이나 이에 따른 각종 질병들)에 대처하기 위해 연구한 결과 이탈리아의 식생활이 모델이 되었는데, 이는 이탈리아가 곡물과 올리브유를 많이 소비하기 때문이다. 이로 인해 미국인들은 파스타를 지중해식 다이어트 음식으로 부른다.
파스타를 사랑하는 사람들
파스타를 가장 많이 먹고 또 가장 많이 생산하는 나라는 단연코 이탈리아이다. 2000년도에 이탈리아가 생산한 파스타의 양은 2,872,000톤이었다. 이중 1,299,000톤을 해외로 수출하였으니 이탈리아는 파스타 하나만으로도 많은 돈을 벌고 있다고 할 수 있다. 그 다음으로 파스타를 많이 생산한 나라는 미국으로 1,164,000톤이었다. 우리의 이웃나라 일본에서도 2000년에 138,130톤의 파스타를 생산하였다. 하지만 파스타 생산량이 많다고 해서 국민들이 파스타를 많이 먹는다고 할 수 없으므로 국민 1인당 년간 소비하는 파스타량을 살펴보면 이탈리아가 28kg으로 하루평균 77g정도의 파스타를 먹고 있어 당연히 세계에서 파스타를 가장 많이 먹는 나라이며, 2위는 베네수엘라로 12.7kg, 3위는 튜니지아로 11.7kg이다. 미국의 경우 9kg으로 5위에 그쳤으며, 아시아 국가중에서는 일본이 파스타를 가장 많이 먹는데, 1.7kg으로 27위를 차지하였다.
  • 가격1,4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15.10.28
  • 저작시기2015.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8575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