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카리스웨트 동아오츠카 마케팅 SWOT분석, STP전략 4P, 마케팅 믹스, 느낀점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포카리스웨트 동아오츠카 마케팅 SWOT분석, STP전략 4P, 마케팅 믹스, 느낀점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기업 동아오츠카 소개
1) 철학 및 비전
2) 기업 연혁
3) 주요 상품

2. 제품 포카리스웨트 소개
1) 이온음료 시장의 1위 포카리스웨트

3. 학습이론 지각
1) 지각과정
2) 노출
3) 주의
4) 지각

4. 포카리스웨트의 지각 적용 사례
1) 포카리스웨트의 노출
2) 포카리스웨트의 주의
3) 포카리스웨트의 지각


Ⅲ.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자극적 요인, 개인적 요인에 따라 나누어 보도록 하겠다.
① 자극적 요인
자극적 요소는 주의를 끄는 자극 자체의 특성과 관련된 요소를 말한다. 포카리 스웨트에서 나타나는 자극적 요인은 크게 자극의 강도, 색상, 그리고 즐거움으로 나누었다.
첫 번째, 자극의 강도요인을 보면 광고물의 크기와 주의의 관계는 크기의 제곱근에 비례한다. 또한 자극의 강도 즉 광고 속 밝기가 강할수록 주의를 더 끌게 된다. 포카리스웨트는 밝기가 밝을수록 주의가 더 잘 집중되는 현상을 이용했다.
두 번째, 색상으로 밝은 색상이 더 주의를 끄는 효과를 보여주고 있다.
세 번째, 즐거움을 나타내고 있다. 자극이 소비자에게 즐거움을 제공하게 되면 보다 주의를 집중시키는 결과를 가져온다. 즐거움을 표현하는 데에는 시각적, 음악적 방법 등이 있는데 포카리스웨트에서는 시각적, 음악적 방법이 나타나고 있다. 광고에서 여자주인공이 땀 흘릴 정도의 활동을 한 후 얼음에 담긴 포카리스웨트를 시원하게 마신 뒤 굉장히 마족감을 표정으로 표현해낸다. 또한 포카리스웨트는 2000년 TV광고부터 지금까지 거의 모든 광고에서 사용하는 배경음악이 있다. Blue Breeze Blow라는 곡으로 두 번째 달이라는 그룹의 대표 곡이다. 원곡이 있지만 대부분의 사람에게는 포카리스웨트의 배경음악으로 기억되고 있다.
② 개인적 요인
개인적 요소는 개인이 가지고 있는 욕구나 이를 충족하기 위해 목표와 밀접한 관련해 있거나 자극의 원천이 표적고객과 유사한 경우 주의를 끌기 쉽다. 포카리스웨트에서는 자극의 원천요소가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사람들은 자신과 유사한 사람에게 보다 관심을 가질 수 있는데 이는 자기 세계관을 다른 통하여 확인하고 인정받고 싶은 까닭이다. 그러므로 표적고객을 대표하는 사람을 메시지 전달자로 이용하면 보다 쉽게 주의를 끌게 되는 점을 이용한 것이다. 1987년 출시 광고부터 지금까지 매년 포카리스웨트는 최윤희를 시작해 김혜수, 심은하, 손예진, 문채원, 이연희, 김소은, 이다인까지 20대 청순한 여성모델이 나왔다. 포카리스웨트가 출시할 때 예상 타겟에 맞게 10~20대 여성을 보여주는 것이다.
3) 포카리스웨트의 지각
이렇게 자극에 노출되어 그 자극을 소비자가 관련 자극으로 받아들여 주의를 기울이면 소비자는 단순 자극을 나름의 의미로 받아들이게 된다. 포카리스웨트가 갈증을 해소해 주는 음료라는 등식이 자연스럽게 성립한 데에는 개인적 특성을 이용한 예로 이 제품의 파란색 패키지가 한 몫을 했다. 일체의 다른 색은 쓰지 않고 오직 파란 색과 흰색 글씨만으로 이루어진 포카리스웨트 패키지는 시원한 느낌, 갈증을 해소시켜주는 차가운 음료라는 이미지를 심어주는데 성공한 것이다. 배경에서 나타나는 장소는 이 음료의 이미지에 맞게그리스 산토리니와 미노코스 섬으로 선정되었다. 섬 안의 골목과 건축물들은 흰눈이 내린 것처럼 하얗고, 어게해의 코발트 빛 바다는 마치 섬 자체가 포카리스웨트 촬영을 위해 존재하는 것과 같은 느낌을 준다.
파란색은 상쾌하고 차분하며 이지적인 색으로 많은 사람들이 좋아한다. 또 파란색은 건강, 불변성, 정적인 이미지를 전하며, 다른 한편으로는 충성심, 신뢰감, 명예도 연상 시키는 색이다. 권영걸, 『색체와 디자인 비즈니스 책』, 국제, 2004, p.226.
이러한 개인적 특성을 이용해 색체를 하나의 광고 컨셉으로 사용해 사람들에게는 포카리스웨트를 보면 산토리니가 생각나고 시원함, 청량함, 순수함을 느낄 수 있도록 했다.
이러한 마케팅과 광고 컨셉을 이용해 포카리스웨트는 제품의 상징을 만들었다. 지각을 응용한 것이다. 포카리스웨트를 청순하고 순수한 여성이라는 상징적 의미로 해석하도록 하고 있다.
Ⅲ. 결론
본고에서는 이온음료시장 1위를 지키고 있는 동아오츠카의 포카리스웨트를 광고사례로 선택해 동아오츠카의 소개, 포카리스웨트를 소개한 후 주요 다루고 있는 학습이론인 지각과정에 결합시켜 설명했다. 소비자에게 제품을 인식시킴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단계는 지각과정단계이다. 수많은 광고에 노출되어 있지만 광고에서 소비자에게 지각과정단계를 만들지 않는다면 소비자는 그 광고를 기억하지 못할 것이다. 지각과정은 소비자가 자극으로부터 정보를 처리하는 과정 즉 개인이 주위 환경에서 얻게 되는 정보를 선택, 조직화, 해석하는 과정을 말하는데 소비자에게 노출되어 있는 자극물들이 감각기관을 통해 감각으로 느껴 주의를 하게 되고 지각을 한 후 기억 및 행동을 한다는 이론이다. 이 각각의 단계에서 소비자는 선택적인 행동을 하게 된다.
먼저 포카리스웨트에서 노출을 시키기 위해 주로 시각적 감각을 사용했다. 경기장, 홍보관, TV등 여러 매체를 지속적으로 노출 마케팅을 펼쳤다. 또 핸드볼 코리아, 인천아시안게임과 같이 스포츠시장에서도 포카리스웨트를 지속적으로 노출시켰다. 주의단계를 살펴보면 자극적 요인과 개인적 요인으로 살펴볼 수 있는데 주의를 끄는 자극자체의 특성과 관련된 요소를 부각하기 위해 포카리스웨트 크기를 크게 보여준다던가 하얗고 파란 색상을 대비시켜 색상으로 자극을 보여주고 제품을 사용한 후 즐거움을 음악으로 표현하는 등 주의를 이끌었다. 개인적 요인으로 살펴보면 자극의 원천이 표적고객과 유사한 경우를 볼 수 있는데, 포카리스웨트는 1987년부터 2014년 까지 항상 10대~20대 청순한 광고모델을 사용했다. 이는 20대 청순한 여성모델이라는 예상 타겟에 맞게 광고 원천을 보여주어 주의를 이끄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포카리는 갈증을 풀어주는 물보다 빠른 음료로 지각을 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한 예로는 파란색 패키지를 볼 수 있는데 광고의 배경부터 시작해 제품의 색상까지 모두 파랑색으로 맞춰 파란색을 보면 포카리스웨트가 생각나게끔 지각을 시켰다.
· 참고문헌
김진한, 『전략적 포지셔닝 이론과 사례』, 와이미디어, 2008.
권영걸, 『색체와 디자인 비즈니스 책』, 국제, 2004.
맹명관, 『이기는 기업은 무엇이 다른가』, 책이 있는 풍경, 2012.
시카모토 게이이치, 『느린 비즈니스로 돌아가라』, 가림출판사, 2002.
포카리스웨트 홈페이지, http://www.donga-otsuka.co.kr/.
  • 가격2,8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15.11.12
  • 저작시기2015.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8673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