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8
141.99
77
88
1.14
59.57
60.35
121.06
84
74
0.96
49.46
51.45
101.87
91
62
0.81
41.59
43.29
85.69
98
54
0.70
34.84
36.42
71.96
표에서 알수 있듯이 도달시간은 이며 첨두 감소량은 임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저수지 홍수추적과는 달리 하도 홍수추적에 의한 유출수문곡선의 첨두량은 유입 홍수 수문곡선과 겹치는 시간에 발생하지 않는다.
Solve an example 11.6 for K=3.0 hrs.
계수값 계산
검토 :
유입략 의 계산
위의 정보들을 가지고 를 계산한다.
(1)
(2)
(3)
(4)
(5)
(6)
시간()
시간-면적 주상도
I
(6)
IUH
(4)+(5)
0
0.00
1
15
41.67
12.08
0.00
12.08
2
36
100.01
29.00
8.58
37.58
3
81
225.02
65.26
26.68
91.94
4
49
136.12
39.48
65.28
104.75
5
28
77.78
22.56
74.37
96.93
6
9
25.00
7.25
68.82
76.07
7
54.01
54.01
8
38.35
38.35
9
27.23
27.23
10
19.33
19.33
11
13.73
13.73
12
9.74
9.74
13
6.92
6.92
14
4.91
4.91
15
3.49
3.49
16
2.48
2.48
17
1.76
1.76
(6)란 :
141.99
77
88
1.14
59.57
60.35
121.06
84
74
0.96
49.46
51.45
101.87
91
62
0.81
41.59
43.29
85.69
98
54
0.70
34.84
36.42
71.96
표에서 알수 있듯이 도달시간은 이며 첨두 감소량은 임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저수지 홍수추적과는 달리 하도 홍수추적에 의한 유출수문곡선의 첨두량은 유입 홍수 수문곡선과 겹치는 시간에 발생하지 않는다.
Solve an example 11.6 for K=3.0 hrs.
계수값 계산
검토 :
유입략 의 계산
위의 정보들을 가지고 를 계산한다.
(1)
(2)
(3)
(4)
(5)
(6)
시간()
시간-면적 주상도
I
(6)
IUH
(4)+(5)
0
0.00
1
15
41.67
12.08
0.00
12.08
2
36
100.01
29.00
8.58
37.58
3
81
225.02
65.26
26.68
91.94
4
49
136.12
39.48
65.28
104.75
5
28
77.78
22.56
74.37
96.93
6
9
25.00
7.25
68.82
76.07
7
54.01
54.01
8
38.35
38.35
9
27.23
27.23
10
19.33
19.33
11
13.73
13.73
12
9.74
9.74
13
6.92
6.92
14
4.91
4.91
15
3.49
3.49
16
2.48
2.48
17
1.76
1.76
(6)란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