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화학적 산소요구량 BOD 실험(예비, 결과)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생화학적 산소요구량 BOD 실험(예비, 결과)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예비리포트>
1. 실험날짜
2. 실험목표
3. 실험기구 설명
4. 실험방법

<결과리포트>
1. 실험결과
2. 고찰

본문내용

소 수치 추정등에 매우 중요한 지표이다.
이번 실험 결과의 BOD 수치와 수질환경기준과 비교해보면 분수대 물은 3급수이며 미대앞 연못은 2급수이다. 생각보다 BOD가 낮게 나왔는데 아마도 시료채취 후 보관, 실험에서 오차가 발생한 것 같다.
오차의 원인으로는 BOD 시료의 채취시간과 분석시간 간의 시간 경과에 따른 미생물에 의한 유기물 분해, 시료를 BOD 병에 담을 때 기포 발생, 5일간 건조로 인해 증발되어 안에 공기가 들어가 있을 경우 적정액이 필요 이상으로 많이 들어간 경우이다.
또한 우리 조는 5일 BOD 측정 시 300 mℓ에서 100mℓ를 빼서 200mℓ일 때 전분 지시약을 넣지 않고, 300mℓ에서 전분 지시약을 넣고 난 후 200mℓ를 취하는 등 실험순서오인이 있었다.
BOD는 오류가 많은 수질지수로 보고에 따르면 동일한 샘플에 대해서도 전문연구기관 조차도 차이가 많이 난다고 한다. 살아있는 미생물을 대상으로 결과를 얻는 것이기 때문에 COD 에 대해 훨씬 더 많은 변수가 개입될 수밖에 없다. 따라서 세세한 배려를 해주지 않으면 결과가 차이가 나게된다.
BOD는 생물이 직접적으로 분해할 수 있는 유기물의 양을 나타내는 것이기 때문에 없어서는 안될 중요한 지표이다. 가능한 오류를 최소화 시킬 수 있도록 많은 주의가 필요하며 이번실험에서처럼 실험 순서를 오인하는 일은 없어야겠다.
산소가 많을수록 갈색침전물이 생기며 물이 더러울수록 산소 소비량이 많아 5일 후에는 갈색침전물이 적어지며 흰색에 가까워진다.
직접 5일전과 비교해서 침전물이 확연하게 준 것을 보니 매우 신기했으며 실험이 재미있었다.
  • 가격8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15.11.26
  • 저작시기2007.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8841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