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성elasticity 비탄성 예비레포트-탄성 및 비탄성 충돌 실험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탄성elasticity 비탄성 예비레포트-탄성 및 비탄성 충돌 실험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실험제목
2. 실험목적
3. 실험 관련 이론
4. 실험기구 및 방법
5. 실험결과
6.분석및 토의
7.참고문헌

본문내용

달려있는 추를 각각 50g, 100g 을 추가하고 실험을
반복한다.
* 측정된 결과를 분석하여, 운동량의 보존, 에너지 보존 등을 각각 비교하여 본다.
5. 실험결과
<탄성과 비탄성충돌>
= 진자가 올라간 각도
(구슬의 질량) = 16g (진자의 질량) = 50g
(질량중심)
탄성 충돌
비탄성 충돌
= 진자의 질량중심
27.1 cm
= 진자+구슬의 질량중심
30.1 cm
= 진자+추 50g 의 질량중심
35.0 cm
= 진자+추 50g+구슬의 질량중심
35.5 cm
= 진자+추 100g 의 질량중심
37.4 cm
= 진자+추 100g+구슬의 질량중심
37.8 cm
실험1) 초속도 구하기
횟수
1
2
3
4
5
평균
44
44
44
43
43
43.6
5.262 m/s
실험2) 비탄성충돌
이론값
실험값
횟수
1
2
3
4
5
평균
0.0537
0.0537
44
44
44
43
43
43.6
횟수
1
2
3
4
5
평균
0.0306
0.0234
19
19
20
20
20
19.6
횟수
1
2
3
4
5
평균
0.0214
0.0158
13
13
13
13
13
13
실험3) 탄성충돌
이론값
실험값
횟수
1
2
3
4
5
평균
0.1627
0.0684
61
60
62
60
62
61
횟수
1
2
3
4
5
평균
0.1054
0.0396
26
28
28
30
27
27.8
횟수
1
2
3
4
5
평균
0.0771
0.0287
19
18
18
19
19
18.6
6.분석및 토의
실험 측정시에는 큰 어려움이 없이 정확한 실험을 시행하였으나, 이론공식을 바탕으로 이론값및 실험값을 구하는 과정에서 약간에 어려움이 있었습니다. 초속도구하기 실험에서 탄성충돌방식으로 잘못이해하고 초속도값을 구해서 이를 바탕으로 탄성및 비탄성충돌의 측정값을 구하는 과정에서 약간에 이상한 점을 발견하여 다시 조원들과 토의해 보고 초속도구하기에서는 탄성충돌을 바탕으로 하는 각도로 구한다는 것을 확인하였습니다.
이를 바탕으로 다시 초속도를 구하여 이를 적용하여 탄성및 비탄성 충돌의 이론값및 실험값들을 모두 구해내었습니다. 그 다음으로 비탄성충돌 실험에서의 약간의 오차가 발생하는데 이는 진자와 합체가되는 Catcher side에 스펀지가 장착되어 있어 충돌시 운동에너지를 흡수하는 역할을 함으로 인해 이론값과 실험값간에 오차가 발생하는 것으로 확인되었습니다. 세 번째 실험으로 탄성충돌 실험에서는 이론값과 실험값에서의 차이에서도 확인되었지만, 진자 충돌시 진자의 운동에너지가 모두다 충돌되는 상대방에 전달되지 않습니다. 이런 오차가 발생하는 첫 번째 이유는 Catcher side의 면에 얇은 고무판이 설치되어 있는데 이부분에 약간의 충격에너지가 흡수되며, 두 번째로 충돌시 발생하는 소리 및 미세 열도 에너지에 일부인데 이런부분이 모두 계산되지 않았습니다. 공기 및 중력이 작용하는 공간에서는 충돌에 대한 100% 에너지 보존은 사실상 어렵다고 볼수 있습니다. 이런 이유로 오차값(200%~400%)이 크게 발생하였다고 이해하였습니다.
7.참고문헌 : 일반물리 (형성출판사)
  • 가격6,3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5.12.01
  • 저작시기2015.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8900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