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중국인 여행객 급증 이유
(1) 비자발급 규제완화
(2) SNS의 발달로 인한 활발한 정보 교류
2. 한국 제품 매출 상승 요인
(1) 소비시장을 장악한 한류 열풍
(2) 중국인을 매혹시킨 한국 제품의 우수성
3. 중국인 여행객 특수를 지속시키기 위한 전략
(1) 지역 관광수용태세의 국제화
(2) 우수 관광 상품 개발
Ⅲ. 결론
Ⅱ. 본론
1. 중국인 여행객 급증 이유
(1) 비자발급 규제완화
(2) SNS의 발달로 인한 활발한 정보 교류
2. 한국 제품 매출 상승 요인
(1) 소비시장을 장악한 한류 열풍
(2) 중국인을 매혹시킨 한국 제품의 우수성
3. 중국인 여행객 특수를 지속시키기 위한 전략
(1) 지역 관광수용태세의 국제화
(2) 우수 관광 상품 개발
Ⅲ. 결론
본문내용
위해 여러 가지 복잡한 규제들을 개선 및 완화하고 있으며, 한국관광공사는 SNS를 통해 적극적인 마케팅 활동을 실시하고 있다. 또한 중국 여행객들의 지속적인 한국 유입에는 한류의 영향도 크다. 한국의 음악이나 드라마, 영화 등이 중국으로 넘어가게 되면서 한국과 한국의 제품에 대한 관심도 높아졌다. 한국에 대한 폭넓은 한국 제품을 구입하는 것으로 확대되었고, 한국 방문으로까지 이어지고 있다. 정부에서는 그들을 지속적으로 유치하기 위해 수도권만이 아니라 나머지 지역들에도 관광인프라를 구축하고 더 많은 우수한 관광 상품을 개발해야 한다.
이번 조사는 중국인 소비자의 관점에서 문제를 바라보고 시장 현황을 살피며 판매 전략을 세워보려는 취지에서 시작했다. 특히 스마트폰 이용자들이 증가하면서 구매 정보를 SNS를 통해 검색하는 소비자들이 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소비자들이 모르는 사람이 제공하는 정보보다 지인들의 경험을 더 신뢰한다는 것을 반증한다.
관광객 유치를 위한 적극적인 대안으로 활용할 수 있는 가장 유력한 마케팅 수단은 SNS이다. 위에서 제시한 중국인 유학생의 홍보활동으로는 부족하다. 정부는 한국을 방문하는 중국인 여행객들이 SNS를 이용해 주요 관광지, 먹거리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정보 공유 프로그램을 제작해 배포하는 방안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 또한 기업들은 자신의 제품을 구매하는 여행객들에게 SNS에 제품에 대한 평을 기록하면 사은품을 주는 등 적극적인 이벤트를 실시하는 등 SNS를 적극 활용하는 방안을 마련할 것을 제안한다. 정부, 기업뿐만 아니라 개인의 홍보 활동도 적극 독력할 필요가 있다. 이는 개인 유저들의 참여를 활용하는 것으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앞으로도 중국 관광객들의 한국 방문은 늘어날 것이다. 그들이 한국을 한 번 방문하는 것으로 그치는 것이 아니라 지속적으로 한국을 찾을 수 있는 방안을 끊임없이 모색해야 할 것이다. 그 첫 시작을 SNS의 적극적 활용에서 찾을 것을 제안한다. 그리고 서울에만 국한할 것이 아니라 지역과의 연계를 통한 관광지 개발과, 경쟁력 있는 관광 상품의 개발이 지속적인 관광객 유치를 위한 방안이 되기를 희망한다.
<참고 문헌>
1. 단행본
장병권 등, 『중국관광객 유치를 위한 관광수용태세 개선방안』, 한국문화관광연구원, 2010.
장수형 외 공저, 『중국은 왜 한류를 수용하나』, 학고방, 2004.
2. 신문 기사
“올해 한국 찾는 중국 관광객40% 이상 폭증할 것”, 한겨레신문, 2014.07.14.
“정부, 중국관광객 유치위해 비자 완화 방안 검토…복수비자 대상·기간 확대”, MK뉴스, 2014.08.03.
“중국 20~30대 관광객, SNS서 한국 여행정보 습득”, KBS뉴스, 2013.12.25.
“중국 관광객 81% ‘한국 오는 이유는 쇼핑 때문’”, 경향신문, 2014.03.04.
“중국인 한국화장품 구매이유 1위는 효능”, MK뉴스, 2013.10.29.
“중국에서 부는 'MCM 쇼핑' 한국 관광”, Business post, 2014.08.25.
이번 조사는 중국인 소비자의 관점에서 문제를 바라보고 시장 현황을 살피며 판매 전략을 세워보려는 취지에서 시작했다. 특히 스마트폰 이용자들이 증가하면서 구매 정보를 SNS를 통해 검색하는 소비자들이 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소비자들이 모르는 사람이 제공하는 정보보다 지인들의 경험을 더 신뢰한다는 것을 반증한다.
관광객 유치를 위한 적극적인 대안으로 활용할 수 있는 가장 유력한 마케팅 수단은 SNS이다. 위에서 제시한 중국인 유학생의 홍보활동으로는 부족하다. 정부는 한국을 방문하는 중국인 여행객들이 SNS를 이용해 주요 관광지, 먹거리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정보 공유 프로그램을 제작해 배포하는 방안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 또한 기업들은 자신의 제품을 구매하는 여행객들에게 SNS에 제품에 대한 평을 기록하면 사은품을 주는 등 적극적인 이벤트를 실시하는 등 SNS를 적극 활용하는 방안을 마련할 것을 제안한다. 정부, 기업뿐만 아니라 개인의 홍보 활동도 적극 독력할 필요가 있다. 이는 개인 유저들의 참여를 활용하는 것으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앞으로도 중국 관광객들의 한국 방문은 늘어날 것이다. 그들이 한국을 한 번 방문하는 것으로 그치는 것이 아니라 지속적으로 한국을 찾을 수 있는 방안을 끊임없이 모색해야 할 것이다. 그 첫 시작을 SNS의 적극적 활용에서 찾을 것을 제안한다. 그리고 서울에만 국한할 것이 아니라 지역과의 연계를 통한 관광지 개발과, 경쟁력 있는 관광 상품의 개발이 지속적인 관광객 유치를 위한 방안이 되기를 희망한다.
<참고 문헌>
1. 단행본
장병권 등, 『중국관광객 유치를 위한 관광수용태세 개선방안』, 한국문화관광연구원, 2010.
장수형 외 공저, 『중국은 왜 한류를 수용하나』, 학고방, 2004.
2. 신문 기사
“올해 한국 찾는 중국 관광객40% 이상 폭증할 것”, 한겨레신문, 2014.07.14.
“정부, 중국관광객 유치위해 비자 완화 방안 검토…복수비자 대상·기간 확대”, MK뉴스, 2014.08.03.
“중국 20~30대 관광객, SNS서 한국 여행정보 습득”, KBS뉴스, 2013.12.25.
“중국 관광객 81% ‘한국 오는 이유는 쇼핑 때문’”, 경향신문, 2014.03.04.
“중국인 한국화장품 구매이유 1위는 효능”, MK뉴스, 2013.10.29.
“중국에서 부는 'MCM 쇼핑' 한국 관광”, Business post, 2014.08.25.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