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내가 거주하고 있는 지역사회(경기도 남양주시)를 중심으로 운영되고 있는 복지기관 조사
2. 이들 기관 및 시설들이 지역과 나에게 미치는 영향 (단점 혹은 장점)
3. 지역 복지를 위한 나의 생각
2. 이들 기관 및 시설들이 지역과 나에게 미치는 영향 (단점 혹은 장점)
3. 지역 복지를 위한 나의 생각
본문내용
을 시행하는 것이라 생각된다.
2) 지역사회 복지대상자 선정을 위한 전수조사 강화
-출처 : 남양주시청-
남양주시 전체 인구는 64만 명에 이르고 있다. 특히 남양주시청의 남양주시 內 복지대상자 현황자료에 의하면, 현재 남양주시에는 약 65,601명의 복지대상자가 있다는 것이 밝혀졌고 이는 남양주시 전체 인구 중 약 10%가 복지대상자라는 것을 의미한다. 우리나라 전체 인구 중 사회복지 급여대상자 비율은 16%를 초과한다는 것을 고려해 볼 때 남양주시 복지대상자는 전국 평균보다 적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그만큼 남양주시가 경제적으로 풍요로운 도시라는 것을 의미할 수도 있지만 역설적이게도 그만큼 복지의 사각지대에 놓인 사람들이 많다는 것을 의미할 수도 있다고 본다. 따라서 지역사회에서는 지역복지 증진을 위하여 복지의 사각지대에 놓인 분들은 없는지 전수조사를 시행할 필요도 있다고 본다.
3) 사회복지담당공무원을 충원해야 한다.
-출처 : 남양주시청-
작년 기준으로 남양주시 사회복지직 공무원은 총 131명이였다. 이는 턱없이 적은 수치로, 현재 남양주시 사회복지직 공무원 1인당 관리 주민수는 3,100여명을 초과하게 되었다. 사회복지직 공무원은 지역사회 복지를 구현하는데 첨병과도 같은 역할을 하는 사람이다. 그러나 역설적이게 남양주시 사회복지직 공무원은 강도 높은 업무량으로 사회복지직 공무원 자신이 사회복지서비스 대상자가 되어야 하는 상황에 놓여 있다고 보인다. 따라서 사회복지직 공무원 1인당 관리 주민수를 선진국 수준인 1,000명 이하로 낮출 필요가 있다고 생각하며, 이는 궁극적으로 남양주 지역사회 복지를 강화하는 계기가 될 수 있을 것이다.
4) 지역사회 자활성공률을 더욱 높여야 한다.
남양주시 자활성공률은 45.25%(2014년)으로 4년 전 자활성공률 30.90%보다 무려 15%이상 높게 나타나고 있다. 이는 매우 괄목할 만한 성과로 이러한 추세로 단순 유추해 보았을 때, 2017년 경이면 남양주시 자활성공률은 최대 60%에 육박할 것이라는 계산이 나온다. 특히 다른 지자체에서는 빈약한 자활성공률로 사회복지서비스 실효성에 문제가 제기되고 있는 상황이라는 것을 고려해 보았을 때 남양주시 사회복지서비스는 매우 효과적으로 전개되고 있다고 생각되며, 이에 남양주시에서는 안주하는 것이 아니라 더욱 체계적인 사회복지서비스 시행으로 자활성공률 100%를 달성해야 할 것이라 생각한다.
-출처 : 남양주시청-
2) 지역사회 복지대상자 선정을 위한 전수조사 강화
-출처 : 남양주시청-
남양주시 전체 인구는 64만 명에 이르고 있다. 특히 남양주시청의 남양주시 內 복지대상자 현황자료에 의하면, 현재 남양주시에는 약 65,601명의 복지대상자가 있다는 것이 밝혀졌고 이는 남양주시 전체 인구 중 약 10%가 복지대상자라는 것을 의미한다. 우리나라 전체 인구 중 사회복지 급여대상자 비율은 16%를 초과한다는 것을 고려해 볼 때 남양주시 복지대상자는 전국 평균보다 적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그만큼 남양주시가 경제적으로 풍요로운 도시라는 것을 의미할 수도 있지만 역설적이게도 그만큼 복지의 사각지대에 놓인 사람들이 많다는 것을 의미할 수도 있다고 본다. 따라서 지역사회에서는 지역복지 증진을 위하여 복지의 사각지대에 놓인 분들은 없는지 전수조사를 시행할 필요도 있다고 본다.
3) 사회복지담당공무원을 충원해야 한다.
-출처 : 남양주시청-
작년 기준으로 남양주시 사회복지직 공무원은 총 131명이였다. 이는 턱없이 적은 수치로, 현재 남양주시 사회복지직 공무원 1인당 관리 주민수는 3,100여명을 초과하게 되었다. 사회복지직 공무원은 지역사회 복지를 구현하는데 첨병과도 같은 역할을 하는 사람이다. 그러나 역설적이게 남양주시 사회복지직 공무원은 강도 높은 업무량으로 사회복지직 공무원 자신이 사회복지서비스 대상자가 되어야 하는 상황에 놓여 있다고 보인다. 따라서 사회복지직 공무원 1인당 관리 주민수를 선진국 수준인 1,000명 이하로 낮출 필요가 있다고 생각하며, 이는 궁극적으로 남양주 지역사회 복지를 강화하는 계기가 될 수 있을 것이다.
4) 지역사회 자활성공률을 더욱 높여야 한다.
남양주시 자활성공률은 45.25%(2014년)으로 4년 전 자활성공률 30.90%보다 무려 15%이상 높게 나타나고 있다. 이는 매우 괄목할 만한 성과로 이러한 추세로 단순 유추해 보았을 때, 2017년 경이면 남양주시 자활성공률은 최대 60%에 육박할 것이라는 계산이 나온다. 특히 다른 지자체에서는 빈약한 자활성공률로 사회복지서비스 실효성에 문제가 제기되고 있는 상황이라는 것을 고려해 보았을 때 남양주시 사회복지서비스는 매우 효과적으로 전개되고 있다고 생각되며, 이에 남양주시에서는 안주하는 것이 아니라 더욱 체계적인 사회복지서비스 시행으로 자활성공률 100%를 달성해야 할 것이라 생각한다.
-출처 : 남양주시청-
키워드
추천자료
[사회복지]지역사회와 사회복지관에 대하여
지역사회복지와 지역사회복지관의 역활
[사회복지]사회복지의 현황과 전망 분석(사회복지의 정의, 사회발전안전망, 민간사회복지체계...
지역사회복지의 기능과 활동 및 지역사회복지관 체험을 통한 방문 소감문(A+)
지역사회복지실천 - 사회복지관, 재가복지봉사센터, 사회복지협의회, 공동모금회, 복지협의체
[★우수레포트★][지역사회복지관 소개] 우산종합사회복지관의 소개와 복지서비스
(지역사회복지론) 지역사회복지관과 재가복지센터 보고서
[지역사회복지론] 지역 사회복지관 방문 보고서 - 노인요양복지센터
지역사회복지와 지역사회복지관
본인이 거주하는 인근지역 지역사회복지관에서 제공되는 지역복지서비스를 정리하고 과연 우...
지역사회복지 실천현장(사회복지관, 사회복지협의회, 공동모금회)
[지역사회복지의 환경변화에 따른 지역사회복지관의 바람직한 방향은 어떠한 것이라고 생각하...
지역사회복지의 분야(사회복지관 재가복지봉사센터 사회복지공동모금회 사회복지협의회)
지역사회복지 분야와 서비스(사회복지관 재가복지봉사센터 사회복지공동모금회 사회복지협의회)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