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지역사회복지
개념과 특성
구성 체계
목적
연역
실천 현장
사례관리실천의 중요성
2. 용인시 지역사회복지
선정이유
노인복지회관
청소년수련관
3. 느낀 점 및 토론 사항
4. 내용 및 자료 출처
개념과 특성
구성 체계
목적
연역
실천 현장
사례관리실천의 중요성
2. 용인시 지역사회복지
선정이유
노인복지회관
청소년수련관
3. 느낀 점 및 토론 사항
4. 내용 및 자료 출처
본문내용
서예수업은 매우 재미있다, 같이 듣는 다른 학생들도 적극적으로 수업을 잘 따라가려고 한다. 또 노인들은 직접 병원에 찾아가 검진을 받기 번거롭고 힘들기 때문에 무료검진 서비스가 가장 마음에 든다. 시설도 편리하고 괜찮은데 가끔 이용하는 사람들이 몰리거나 많아질 때 불편하다.
Q. 개선했으면 하는 방안이 있으시다면?
A. 좀 더 많은 노인들이 알고 찾아와 편의시설과 서비스를 받았으면 좋겠다. 미용실(파마서비스)이 추첨을 통해 이루어지는 데 좀 더 받을 수 있는 기회를 확대해줬으면 좋겠고 셔틀버스를 증가시켜 다양한 시간대로 늘려주었으면 한다.
3. 청소년 수련관(5월28일 방문)
2005년 8월 개관하였으며 현재는 2010년 (재)용인시청소년육성재단이 출범되어 그 산하에서 운영되고 있으며 용인지역 청소년들과 시민들의 건전한 여가선용과 문화 활동의 공간으로써 자리매김 해 나가고 있다. 용인시 청소년수련관의 가장 중요한 사업과 업무는 청소년들의 문화적 욕구 충족에 필요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제공하는 것이다. 이에 수련관은 매분기마다 유아, 청소년, 성인층 각각을 대상으로 하는 새롭고 다양한 문화 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있으며 수영, 스쿼시, 헬스 등의 사회 체육 프로그램도 개설해 놓고 있다. 조직 구성은 용인시청소년육성재단 아래 관장과 청소년운영위원회가 있으며 관리팀, 수련활동팀, 생활체육팀으로 나뉘어져 있다. 관리팀은 총무, 기획, 회계, 시설관리, 민원통제, 식당 매점 운영, 접수, 수납 등을 담당하며 팀장 외 12명이, 수련활동팀은 청소년 자치활동, 체험활동, 청소년 문화존, 평생교육프로그램을 운영하며 팀장 외 8명이 종사하고 있다. 그리고 생활체육팀은 수영, 스쿼시, 헬스, 체육관 및 GX춤 강좌를 운영하며 팀장 외 17명이 종사하고 있다. 따라서 총 종사 인원은 관장 1명, 관리팀 13명, 수련활동팀 9명, 생활체육팀 18명 등 41명이 종사하고 있다.
3-1 사업안내
*문화교육 프로그램
유아: 예체능, 과학, 외국어
청소년: 예체능, 과학, 외국어, 한자, 컴퓨터
성인: 예체능, 외국어, 컴퓨터, 부모
*생활체육 프로그램
-수영, 아쿠아로빅, 스쿼시, 헬스, 체육관(배드민턴, 축구, 농구), G.X(방송댄스, 댄스스포츠, 발레, 밸리댄스 등), 요가
*청소년 동아리활동(같은 취미, 흥미를 가지고 탐구 및 재능개발)
*청소년 방과후 아카데미(방과후 활동 및 생활관리 종합적으로 지원)
*청소년 자원봉사(연 6회, 헌혈캠페인 및 위안부 문제 해결을 위한 수요 집회 참여 등)
*현장체험학습(연 8회, 예술문화, 국제문화, 직업체험, 자연생태체험 등)
*청소년 아르바이트(5월 중, 청소년근로실태 설문조사, 근로환경개선을 위한 캠페인 활동)
*청소년 스키캠프(2월 중, 수준별 스키 강습 1인 139,000원)
*청소년 동아리활동 지원 사업(연중, 발전가능성 있는 청소년 동아리 선별하여 운영비 100만원 지원)
3-2 인터뷰
▶청소년 대상 인터뷰
나이: 17세 성별: 남
Q. 언제부터 이용하였나?
A. 작년(2013년) 16세부터
Q. 어떤 시설 이용하였나?
A. 문화프로그램 중 예체능, 현장체험학습(직업 체험)
Q. 이용하여 좋은 점이 있는가?
A. 저렴한 가격으로 다양하고 폭넓은 체험 및 활동 가능
Q. 이곳을 추천하고 싶은가?
A. 그렇다.
Q. 개선해야 할 점이 있다면?
A.없는 것 같다.
03 느낀 점 및 토론사항
▶느낀 점
과제이기 때문에 별 기대 없이 갔던 노인복지관과 청소년 수련관은 상상 이상이었다. 처음엔 그저 노인정보다 좀 더 나은 정도, 혹은 청소년을 위한 스포츠 센터같은 곳이라고 여겼었다. 하지만 방문을 하고 직접 살펴보자 아니라는 것을 깨달았다.
먼저 청소년 수련관은 다양한 프로그램을 토대로 운영되고 있었다. 청소년이라 하여 단순히 중고등학생들만 이용하는 것이 아니라 어린이부터 성인까지 이용할 수 있게끔 되어 있었다. 그 프로그램 또한 다양했으며 청소년 상담이나 방과 후 아카데미 등 실로 청소년들에게 필요한 것들이 잘 구비되어 있었다.
노인복지회관 같은 경우, 비록 우리가 지금 당장 이용할 수 없는 시설이어서 그동안 잘 몰랐는데 생각했던 것 보다 시설이나 운영, 노인 분들께 제공되는 서비스가 잘 되어 있어서 다행이었고 또 놀라웠다. 어딜 가나 노인 분들로 북적거렸고 또 생기와 젊음이 넘쳤다. 또 어린 자원 봉사자 분들도 꽤 계셔서 의외였다. 이렇게 활기가 넘치는 곳이 있는가 하면 다른 한 편으로는 열악한 환경의 노인복지시설이 분명 존재하고 계속 운영되고 있을 것이다. 그래서 이러한 현실에 마음이 아프기도 했다.
▶토론해 볼 사항
고등학교 3학년 중증 중복 뇌병변장애인 딸을 키우고 있는 이정욱 씨.
소아치료실이나 복지관 등에서 제공하는 재활 및 치료는 성인이 되면 이용할 수 없고, 이용할 수 있는 시설이 있다 하더라도 뇌졸중 또는 뇌질환 환자를 위한 치료실이어서 뇌병변장애인에게 큰 도움이 되지 못한다. 지역사회에서 활동 할 수 있는 환경 역시 정부의 인력 지원과 시설 기준에만 맞추다 보니 1대1 돌봄이 필요한 중증 뇌병변장애인의 접근은 ‘배제’되고 있다. 학령기가 지나고 성인 전환기에 들어서는 중증 중복의 뇌병변장애인들이 지역사회가 아닌 가정으로 다시 귀속돼 사회성을 비롯한 정신적·신체적 퇴행을 겪어야 하는 현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지역사회복지가 할 수 있는 일은 무엇이 있을까요?
자료 출처: http://www.welfare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44282
04 내용 및 자료 출처
*지역사회복지 - 권중돈 외 7명(2014). 사회복지개론(2판). 서울:학지사
*용인시 지역사회복지 도표 - 용인통계연보 = Statistical year book of Yongin. 2009(제14회). 국회전자도서관
*용인시 노인복지회관 - www.yiswc.or.kr
*용인시 청소년 수련관 - www.youthyonginsi.com
*한국학중앙연구원 - 향토문화전자대전
*토론관련 기사- http://www.welfare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44282
Q. 개선했으면 하는 방안이 있으시다면?
A. 좀 더 많은 노인들이 알고 찾아와 편의시설과 서비스를 받았으면 좋겠다. 미용실(파마서비스)이 추첨을 통해 이루어지는 데 좀 더 받을 수 있는 기회를 확대해줬으면 좋겠고 셔틀버스를 증가시켜 다양한 시간대로 늘려주었으면 한다.
3. 청소년 수련관(5월28일 방문)
2005년 8월 개관하였으며 현재는 2010년 (재)용인시청소년육성재단이 출범되어 그 산하에서 운영되고 있으며 용인지역 청소년들과 시민들의 건전한 여가선용과 문화 활동의 공간으로써 자리매김 해 나가고 있다. 용인시 청소년수련관의 가장 중요한 사업과 업무는 청소년들의 문화적 욕구 충족에 필요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제공하는 것이다. 이에 수련관은 매분기마다 유아, 청소년, 성인층 각각을 대상으로 하는 새롭고 다양한 문화 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있으며 수영, 스쿼시, 헬스 등의 사회 체육 프로그램도 개설해 놓고 있다. 조직 구성은 용인시청소년육성재단 아래 관장과 청소년운영위원회가 있으며 관리팀, 수련활동팀, 생활체육팀으로 나뉘어져 있다. 관리팀은 총무, 기획, 회계, 시설관리, 민원통제, 식당 매점 운영, 접수, 수납 등을 담당하며 팀장 외 12명이, 수련활동팀은 청소년 자치활동, 체험활동, 청소년 문화존, 평생교육프로그램을 운영하며 팀장 외 8명이 종사하고 있다. 그리고 생활체육팀은 수영, 스쿼시, 헬스, 체육관 및 GX춤 강좌를 운영하며 팀장 외 17명이 종사하고 있다. 따라서 총 종사 인원은 관장 1명, 관리팀 13명, 수련활동팀 9명, 생활체육팀 18명 등 41명이 종사하고 있다.
3-1 사업안내
*문화교육 프로그램
유아: 예체능, 과학, 외국어
청소년: 예체능, 과학, 외국어, 한자, 컴퓨터
성인: 예체능, 외국어, 컴퓨터, 부모
*생활체육 프로그램
-수영, 아쿠아로빅, 스쿼시, 헬스, 체육관(배드민턴, 축구, 농구), G.X(방송댄스, 댄스스포츠, 발레, 밸리댄스 등), 요가
*청소년 동아리활동(같은 취미, 흥미를 가지고 탐구 및 재능개발)
*청소년 방과후 아카데미(방과후 활동 및 생활관리 종합적으로 지원)
*청소년 자원봉사(연 6회, 헌혈캠페인 및 위안부 문제 해결을 위한 수요 집회 참여 등)
*현장체험학습(연 8회, 예술문화, 국제문화, 직업체험, 자연생태체험 등)
*청소년 아르바이트(5월 중, 청소년근로실태 설문조사, 근로환경개선을 위한 캠페인 활동)
*청소년 스키캠프(2월 중, 수준별 스키 강습 1인 139,000원)
*청소년 동아리활동 지원 사업(연중, 발전가능성 있는 청소년 동아리 선별하여 운영비 100만원 지원)
3-2 인터뷰
▶청소년 대상 인터뷰
나이: 17세 성별: 남
Q. 언제부터 이용하였나?
A. 작년(2013년) 16세부터
Q. 어떤 시설 이용하였나?
A. 문화프로그램 중 예체능, 현장체험학습(직업 체험)
Q. 이용하여 좋은 점이 있는가?
A. 저렴한 가격으로 다양하고 폭넓은 체험 및 활동 가능
Q. 이곳을 추천하고 싶은가?
A. 그렇다.
Q. 개선해야 할 점이 있다면?
A.없는 것 같다.
03 느낀 점 및 토론사항
▶느낀 점
과제이기 때문에 별 기대 없이 갔던 노인복지관과 청소년 수련관은 상상 이상이었다. 처음엔 그저 노인정보다 좀 더 나은 정도, 혹은 청소년을 위한 스포츠 센터같은 곳이라고 여겼었다. 하지만 방문을 하고 직접 살펴보자 아니라는 것을 깨달았다.
먼저 청소년 수련관은 다양한 프로그램을 토대로 운영되고 있었다. 청소년이라 하여 단순히 중고등학생들만 이용하는 것이 아니라 어린이부터 성인까지 이용할 수 있게끔 되어 있었다. 그 프로그램 또한 다양했으며 청소년 상담이나 방과 후 아카데미 등 실로 청소년들에게 필요한 것들이 잘 구비되어 있었다.
노인복지회관 같은 경우, 비록 우리가 지금 당장 이용할 수 없는 시설이어서 그동안 잘 몰랐는데 생각했던 것 보다 시설이나 운영, 노인 분들께 제공되는 서비스가 잘 되어 있어서 다행이었고 또 놀라웠다. 어딜 가나 노인 분들로 북적거렸고 또 생기와 젊음이 넘쳤다. 또 어린 자원 봉사자 분들도 꽤 계셔서 의외였다. 이렇게 활기가 넘치는 곳이 있는가 하면 다른 한 편으로는 열악한 환경의 노인복지시설이 분명 존재하고 계속 운영되고 있을 것이다. 그래서 이러한 현실에 마음이 아프기도 했다.
▶토론해 볼 사항
고등학교 3학년 중증 중복 뇌병변장애인 딸을 키우고 있는 이정욱 씨.
소아치료실이나 복지관 등에서 제공하는 재활 및 치료는 성인이 되면 이용할 수 없고, 이용할 수 있는 시설이 있다 하더라도 뇌졸중 또는 뇌질환 환자를 위한 치료실이어서 뇌병변장애인에게 큰 도움이 되지 못한다. 지역사회에서 활동 할 수 있는 환경 역시 정부의 인력 지원과 시설 기준에만 맞추다 보니 1대1 돌봄이 필요한 중증 뇌병변장애인의 접근은 ‘배제’되고 있다. 학령기가 지나고 성인 전환기에 들어서는 중증 중복의 뇌병변장애인들이 지역사회가 아닌 가정으로 다시 귀속돼 사회성을 비롯한 정신적·신체적 퇴행을 겪어야 하는 현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지역사회복지가 할 수 있는 일은 무엇이 있을까요?
자료 출처: http://www.welfare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44282
04 내용 및 자료 출처
*지역사회복지 - 권중돈 외 7명(2014). 사회복지개론(2판). 서울:학지사
*용인시 지역사회복지 도표 - 용인통계연보 = Statistical year book of Yongin. 2009(제14회). 국회전자도서관
*용인시 노인복지회관 - www.yiswc.or.kr
*용인시 청소년 수련관 - www.youthyonginsi.com
*한국학중앙연구원 - 향토문화전자대전
*토론관련 기사- http://www.welfare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44282
추천자료
사회복지실천 사례관리
[일본 지역사회복지][한국 지역사회복지실천][지역사회복지]일본의 지역사회복지 사례를 통해...
(사회복지실천기술론) 심리사회적 사정 ; 사례관리 중심으로
[사회복지실습] 사례관리 계획서 - 지역아동센터
지역사회복지의 실천개입 사례와 집단설정 개입프로그램 보고서
사회복지실천에서 사례관리자의 역할
사회복지실천 개별실천과 사례관리의 접근방법에 대해 서술하시고 차이점을 서술하시오
사회복지 실천론에서 사례관리를 기술하시오
사회복지실천 개별실천과 사례관리의 접근방법에 대해 서술하시고 차이점을 서술하시오
[사회복지실천기술론] 사례관리의 개념과 목적 및 원칙, 사례관리의 역사와 발달, 사례관리자...
지역사회복지 이념 중 정상화 이념을 설명하고 장애인의 경우 이 이념 실천이 중요한 이유와 ...
(사회복지실천기술론) 사례관리 이론정리 보고서 (사례관리 기본개념, 사례관리의 목적 및 기...
[사회복지실천론] 사회복지실천 사례관리2- 사례관리의 목적과 원칙
사회복지실습 사례관리 지역아동센터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