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문헌고찰
대상자 사정
검사수치
약물
간호진단 1개
대상자 사정
검사수치
약물
간호진단 1개
본문내용
목적
WBC
8.92
4~10 K/uL
- 백혈구 수 증가 질환
충수염(맹장염), 폐렴, 백혈병, 편도선염, 세균성뇌막염, 종기, 복막염, 궤양, 신생아, 임신 시 등
- 백혈구 수 감소 질환
홍역, 독감, 장티푸스, 홍반성 난창증, 단백질요법, 방사선치료, 약물치료 등
RBC
3.38
4.5~6.3 M/uL
- 적혈구 증가 : 진성다혈증, 탈수, 쇼크, 등
- 적혈구 감소 : 각종 빈혈, 출혈 시 등
HGB
9.5
12~17 g/UL
- Hb(혈색소) 증가 질환 : 적혈구 증다증, 만성 일산화탄소 중독증, 심한탈수 등
- Hb(혈색소) 감소 질환 : 빈혈, 백혈병, 출혈 등
HCT
28.0
38~52%
- Hct 증가 질환 : 구토 설사 선천성 심장질환, 고산병, 폐기종 등
- Hct 감소 질환 : 각종 빈혈, 출혈 등
MCV
82.8
fL
RBC(적혈구),Hemoglobin(혈색소),Hematocrit의 결과치 사이의 상호관계를 비교하여 절대치로 나타낸 것으로서 각종 빈혈의 종류를 감별한다.
적혈구 한 개당 평균 용적을 나타낸 것이다.
적혈구 한 개에 포함된 혈색소량의 평균치를 나타낸것이다.
적혈구내에 있는 혈색소의 평균농도를 나타낸 것이다.
MCH
28.1
pg
MCHC
33.9
g/dL
PLT
110
140~440 K/uL
- 혈소판 증가 질환
일차적증가 : 골수증식성질환, 원발성혈소판 증가증, 진성다혈증, 만성과립구성 백혈병
이차적증가 : 급성출혈후, 운동후,임신이나 월경중, Adrenalin주사후, 감염증, 전이암, 비절제, 스트레스(수술후)
- 혈소판 감소 질환
생산의 감소 :
(1)골수에서의 생성 저하: 재생불량성 빈혈, 방사성 노출
(2)골수의 악성 침윤: 백혈병, 암의 전이
(3)골수 섬유증, 다발성 골수종, 거대적아구성빈혈
(4)선천성 혈소판 이상: Bernard-Soulier 증후군, 면역결핍증, Wiskott-Aldrich증후군
▣ 응급화학검사
항목
수치
기준치
목적
BUN
28.5
5~24 mg/dl
증가 : 신장질환, 요도폐쇄, 신장결핵, 만성통풍
감소 : 임신후반기, 신진대사 저조
CRE
1.56
0.9~1.5 mg/dl
증가 : 신장기능장애, 신부전, 울혈성심부전, 말 단비대증
감소 : 근이영양증, 요붕증
Na
140
135~145 mmol/L
나트륨농도의 상승 : 수분결핍, 요붕증 감소로 고지혈증
나트륨농도의 감소 : 고단백혈증, 고혈당, 심부전, 간병변
K
5.18
3.5~5.5 mmol/L
칼륨농도의 상승으로 급.만성 신부전, 산혈증, 인슐린결핍 ->Heparine 치료
칼륨농도의 감소로 구토, 설사, 하제과잉, 악성고혈압 -> 갑작스런 k변화는 심장마비를 일으킨다.&긴급보고치 2.7이하 6.0이상
ALB
1.9
3.1~5.2 g/dl
증가 : 쇼크
감소 : 출혈
t-bil
0.80
0.2~1.5 mg/dl
증가 : 폐쇄성 황달, 간세포성 황달, 용혈성 황달
감소 : 소구성 저혈색소성 빈혈
간호진단
진단 : 부동과 관련된 피부손상 위험성
- 의미있는 자료
S : “하루 종일 같은 자세로 누워있으려니
온몸이 아프고 피부가 짓눌리는 느낌이야”
“허리가 아프니까 움직일 수가 없어”
O : 장시간 체위를 변경하지 않는다.
수술 후 의사가 ABR하게 함.
욕창고위험군 진단(12점)
감각인지(약간 제한됨. 3점)
습한정도(매우 습기가 있음.2점)
활동정도(꼼짝못함. 1점)
지동력(매우 제한됨. 2점)
영양상태(부족한 섭취.2점)
마찰과 응전력(잠재적 문제 있음.2점)
- 목표
단기목표 : 대상자는 장시간 부동상태로 있지 않는다.
장기목표 : 대상자는 피부손상이 없고 피부 통합성을 유지한다.
- 계획
체위변경을 자주 한다.
시트를 주름이 지지 않도록 팽팽하게 당겨 유지해준다.
피부조직에 지속적으로 가해지는 압박의 효과를 설명한다.
압박받는 피부의 욕창가능성을 설명한다.
대상자와 보호자에게 피부손상 위험성에 대해 교육하여 피부감염이 없도록 한다.
- 수행
피부 상태를 근무시간 중에 두 번 사정하였다.
4시간 마다 체위를 변경하였다.
피부는 깨끗하고 건조하게 유지하였다.
침대시트에는 주름이 없도록 하였다.
대상자와 간병사에게 욕창가능성을 인지시켰다.
간병사에게 피부손상의 위험성을 교육하고 bed는 항상 청결하게 유지되어야 한다고 말하였다.
- 평가
대상자는 4시간 이상 같은 체위를 취하지 않았다.
피부손상의 증상은 보이지 않았다.
대상자는 압박으로 인한 피부손상 위험성에 대해 알겠다고 하였다.
WBC
8.92
4~10 K/uL
- 백혈구 수 증가 질환
충수염(맹장염), 폐렴, 백혈병, 편도선염, 세균성뇌막염, 종기, 복막염, 궤양, 신생아, 임신 시 등
- 백혈구 수 감소 질환
홍역, 독감, 장티푸스, 홍반성 난창증, 단백질요법, 방사선치료, 약물치료 등
RBC
3.38
4.5~6.3 M/uL
- 적혈구 증가 : 진성다혈증, 탈수, 쇼크, 등
- 적혈구 감소 : 각종 빈혈, 출혈 시 등
HGB
9.5
12~17 g/UL
- Hb(혈색소) 증가 질환 : 적혈구 증다증, 만성 일산화탄소 중독증, 심한탈수 등
- Hb(혈색소) 감소 질환 : 빈혈, 백혈병, 출혈 등
HCT
28.0
38~52%
- Hct 증가 질환 : 구토 설사 선천성 심장질환, 고산병, 폐기종 등
- Hct 감소 질환 : 각종 빈혈, 출혈 등
MCV
82.8
fL
RBC(적혈구),Hemoglobin(혈색소),Hematocrit의 결과치 사이의 상호관계를 비교하여 절대치로 나타낸 것으로서 각종 빈혈의 종류를 감별한다.
적혈구 한 개당 평균 용적을 나타낸 것이다.
적혈구 한 개에 포함된 혈색소량의 평균치를 나타낸것이다.
적혈구내에 있는 혈색소의 평균농도를 나타낸 것이다.
MCH
28.1
pg
MCHC
33.9
g/dL
PLT
110
140~440 K/uL
- 혈소판 증가 질환
일차적증가 : 골수증식성질환, 원발성혈소판 증가증, 진성다혈증, 만성과립구성 백혈병
이차적증가 : 급성출혈후, 운동후,임신이나 월경중, Adrenalin주사후, 감염증, 전이암, 비절제, 스트레스(수술후)
- 혈소판 감소 질환
생산의 감소 :
(1)골수에서의 생성 저하: 재생불량성 빈혈, 방사성 노출
(2)골수의 악성 침윤: 백혈병, 암의 전이
(3)골수 섬유증, 다발성 골수종, 거대적아구성빈혈
(4)선천성 혈소판 이상: Bernard-Soulier 증후군, 면역결핍증, Wiskott-Aldrich증후군
▣ 응급화학검사
항목
수치
기준치
목적
BUN
28.5
5~24 mg/dl
증가 : 신장질환, 요도폐쇄, 신장결핵, 만성통풍
감소 : 임신후반기, 신진대사 저조
CRE
1.56
0.9~1.5 mg/dl
증가 : 신장기능장애, 신부전, 울혈성심부전, 말 단비대증
감소 : 근이영양증, 요붕증
Na
140
135~145 mmol/L
나트륨농도의 상승 : 수분결핍, 요붕증 감소로 고지혈증
나트륨농도의 감소 : 고단백혈증, 고혈당, 심부전, 간병변
K
5.18
3.5~5.5 mmol/L
칼륨농도의 상승으로 급.만성 신부전, 산혈증, 인슐린결핍 ->Heparine 치료
칼륨농도의 감소로 구토, 설사, 하제과잉, 악성고혈압 -> 갑작스런 k변화는 심장마비를 일으킨다.&긴급보고치 2.7이하 6.0이상
ALB
1.9
3.1~5.2 g/dl
증가 : 쇼크
감소 : 출혈
t-bil
0.80
0.2~1.5 mg/dl
증가 : 폐쇄성 황달, 간세포성 황달, 용혈성 황달
감소 : 소구성 저혈색소성 빈혈
간호진단
진단 : 부동과 관련된 피부손상 위험성
- 의미있는 자료
S : “하루 종일 같은 자세로 누워있으려니
온몸이 아프고 피부가 짓눌리는 느낌이야”
“허리가 아프니까 움직일 수가 없어”
O : 장시간 체위를 변경하지 않는다.
수술 후 의사가 ABR하게 함.
욕창고위험군 진단(12점)
감각인지(약간 제한됨. 3점)
습한정도(매우 습기가 있음.2점)
활동정도(꼼짝못함. 1점)
지동력(매우 제한됨. 2점)
영양상태(부족한 섭취.2점)
마찰과 응전력(잠재적 문제 있음.2점)
- 목표
단기목표 : 대상자는 장시간 부동상태로 있지 않는다.
장기목표 : 대상자는 피부손상이 없고 피부 통합성을 유지한다.
- 계획
체위변경을 자주 한다.
시트를 주름이 지지 않도록 팽팽하게 당겨 유지해준다.
피부조직에 지속적으로 가해지는 압박의 효과를 설명한다.
압박받는 피부의 욕창가능성을 설명한다.
대상자와 보호자에게 피부손상 위험성에 대해 교육하여 피부감염이 없도록 한다.
- 수행
피부 상태를 근무시간 중에 두 번 사정하였다.
4시간 마다 체위를 변경하였다.
피부는 깨끗하고 건조하게 유지하였다.
침대시트에는 주름이 없도록 하였다.
대상자와 간병사에게 욕창가능성을 인지시켰다.
간병사에게 피부손상의 위험성을 교육하고 bed는 항상 청결하게 유지되어야 한다고 말하였다.
- 평가
대상자는 4시간 이상 같은 체위를 취하지 않았다.
피부손상의 증상은 보이지 않았다.
대상자는 압박으로 인한 피부손상 위험성에 대해 알겠다고 하였다.
추천자료
case보고서/성인간호학/협심증 대상자에 대한 간호진단
성인간호학 정형외과 골절 케이스 간호진단 및 과정
성인간호학 실습 - 'Thyroid Cancer에대한 Case study'
성인간호학 - 영양간호
성인간호학 - 장루간호(ostomy care)
성인간호학 - 간담도계의 구조와 기능
성인간호학 - 구강과 식도의 구조와 기능
성인간호학 - 덤핑증후군
성인간호학 2017암환자의 영양상태 평가를 위해 관찰과 신체계측법을 활용하고자 한다. 관찰...
성인간호학_암환자의 영양상태 평가를 위해 관찰과 신체계측법을 활용하고자 한다. 관찰할 항...
성인간호학케이스 척추관협착증(Spinal stenosis) - 통증, 피부손상위험성, 낙상위험성
성인간호학 실습 sepsis(패혈증) 문헌고찰 및 간호진단
성인간호학 케이스스터디 - 골절(흉추,천추)
성인간호학 케이스스터디 - 신경계(뇌경색)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