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용어 및 약어
2. 주요 학습내용
1. 정형외과 병동에서 주로 시행하는 특수 검사 전.후 환자 관리
- bmd(골밀도검사)
-척수강 조영술(myelography)
-bone scan
2. 근골격계 수술 전,후5. 재활간호
환자 관리
3. 석고붕대 및 견인 환자 간호
4. 정형외과 보조기 종류
5. 재활간호
6. 정맥수액주입
7. PCA간호
8. Hemovac관리
9. 상처간호
2. 주요 학습내용
1. 정형외과 병동에서 주로 시행하는 특수 검사 전.후 환자 관리
- bmd(골밀도검사)
-척수강 조영술(myelography)
-bone scan
2. 근골격계 수술 전,후5. 재활간호
환자 관리
3. 석고붕대 및 견인 환자 간호
4. 정형외과 보조기 종류
5. 재활간호
6. 정맥수액주입
7. PCA간호
8. Hemovac관리
9. 상처간호
본문내용
과다용량의 투여를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8. Hemovac관리
- 목적 : 수술부위의 과다한 삼출물을 음압의 원리에 의해 배액하기 위함.
- 준비물 : hemovac(200cc,400cc),kelly,소독물품,비닐장갑,눈금있는 용기
- 방법
① 환자가 hemovac을 가지고 있는 동안 배액의 양상, 관의 개방유무, 음압의 상태 등을 매 duty때마다 확인하고, 배액이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관리한다.
② 손을 씻고 준비물품을 가지고 환자에게 간다.
③ 배액량을 확인할 때는 개방하기 전에 공기가 들어가지 않도록 hemovac의 관을 kelly를 이용하여 잠근다.
④ 안전하게 흡인백을 잡아서 눈금있는 용기에 삼출물을 부은 다음, 소독솜을 이용하여 출구를 닦는다.
⑤ hemavac을 완전히 눌러 음압을 형성하여 눌러진 상태로 유지시키고 뚜껑을 닫는다. 배액관이 눌리거나 꼬이지 않도록 고정한다.
⑥ 삼출액의 양을 측정하고 기록한다.
9. 상처간호
[건조-건조 드레싱(dry-to-dry dressing)]
· 1차 치유의 상처를 덮는데 사용된다.
· 상처 보호, 배액의 흡수, 지혈을 위해 압박을 해준다.
· 단점 : 배액이 건조해지는 경우에는 드레싱이 상처 표면에 달라붙는다.
드레싱 제거시 통증과 육아조직의 파열이 초래될 수 있다.
[습기 - 건조 드레싱(wet-to-dry dressing)]
·지저분한 조직의 제거를 해야하며 2차 치유가 필요한, 특히 청결하지 않거나 감염된 상처에 유용
·거즈에 멸균식염수를 적시거나 항균용액을 적신 후 사강이 없도록 상처안에 거즈를 채워넣는다.
·습기있는 드레싱을 건조드레싱으로 덮는다.
3. 주요 질환
1. 골절
- 뼈에 강한 외력이 가해지는 외상 후에 발견되는 것인데, 골절은 직접적인 외상과 간접적인 외상에 의하여 발생하는 경우로 구분된다. 직접적인 외상으로 인한 골절은 교통사고, 타박, 총상 등이 원인이 되고, 간접적인 외상에 의한 골절은 뼈에 붙은 근육이나 인대가 갑작스럽게 힘이 가해지면서 뼈를 잡아당겨 골절이 생기거나 뼈에 회전력 등이 가해져 골절이 발생하는 경우 등을 말한다. 그 밖에 골다공증, 종양, 감염 등으로 약해진 부위에 정상적인 뼈에서는 골절을 유발하기에 약한 힘에 의해 일어난 골절을 병적 골절이라 하며, 종양 이외의 병변 부위에 일어난 병적 골절을 불충분 골절이라고도 한다.
2. 골관절염
- 관절의 연골이 퇴화되고 관절표면의 뼈가 돌기처럼 성장하여 주변조직에 염증을 유발하는 진행성,퇴행성 관절 질환이다. 주로 노인의 골반이나 무릎에 발생하며, 연골의 상실로 관절강이 좁아져서 통증이 발생한다.
3. 척추질환(강직성 척추염, 추간판탈출증)
- ‘강직성 척추염’은 척추에 염증이 생겨 점점 굳어져서 척추의 움직임이 둔해지는 질환이다. 즉, 척추에 염증이 생기고 그 염증으로 인해 움직임이 둔해지는 병이라고 한다.
관절 외에도 다른 장기에 침범할 수 있다. 옛날에는 남자에게 많이 발생하는 질환으로 알려져 있었지만, 최근에는 여성환자의 비율도 늘어나고 있다고 한다.
‘추간판탈출증’은 척추사이의 판이 노화됨에 따라 추간판의 가장자리를 둘러싸고 있는 섬유륜에 원심성의 균열과 방사성 파열이 발생하게 되는데, 특히 무거운 물건을 들어 옆으로 옮겨 놓으려고 하면 과다 굴곡된 상태에서 압박력과 염전력을 받아 추간판 중앙의 수핵은 더 이상 섬유륜에 쌓여있지 못하고 방사성 균열 사이로 비집고 나오면서 발생하는 것이다.
4. 골다공증
- 뼈의 무기질,단백질이 감소하여 뼈의 치밀도가 감소해서 비정상적으로 뼈 안에 빈 공간이 생기는 상태로, 요통이나 골절 등이 나타나며 폐경기 여자에게 주로 발생한다.
5. 절단술
- 악성종양, 순환장애, 변형, 감염, 외상 등에 대해서 마지막 최선책으로 실시하는 것인데, 즉, 이들 질환에 있어서 절단하지 않으면 생명에 위험이 생길 염려가 있을 경우에 실시된다. 그러나 이 방법을 시행할 때는 먼저 보존적 요법을 시도하였다가 기능회복이 없는 경우에 시행해야 하며, 마지막 최선책이기 때문에 신중한 결정에 의해 진행되는 수술이다.
6. 수근터널증후군
- 팔목터널증후군이라고도 한다. 키보드나 마우스를 사용 하는 등 손의 과도한 사용으로 인해서 발생하는 반복성 긴장성 손상의 대표적인 질환이다. 정중신경이 손목의 인대,뼈,힘줄을 지나갈 때 정중신경을 압박하여 생기는 통증,작열감을 느낀다. 중년 여성에게 많이 발생하며, 반복적으로 컴퓨터의 손목운동 과잉, 과절염, 뼈의 비대, 손목의 종창으로 인하여 발생한다.
8. Hemovac관리
- 목적 : 수술부위의 과다한 삼출물을 음압의 원리에 의해 배액하기 위함.
- 준비물 : hemovac(200cc,400cc),kelly,소독물품,비닐장갑,눈금있는 용기
- 방법
① 환자가 hemovac을 가지고 있는 동안 배액의 양상, 관의 개방유무, 음압의 상태 등을 매 duty때마다 확인하고, 배액이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관리한다.
② 손을 씻고 준비물품을 가지고 환자에게 간다.
③ 배액량을 확인할 때는 개방하기 전에 공기가 들어가지 않도록 hemovac의 관을 kelly를 이용하여 잠근다.
④ 안전하게 흡인백을 잡아서 눈금있는 용기에 삼출물을 부은 다음, 소독솜을 이용하여 출구를 닦는다.
⑤ hemavac을 완전히 눌러 음압을 형성하여 눌러진 상태로 유지시키고 뚜껑을 닫는다. 배액관이 눌리거나 꼬이지 않도록 고정한다.
⑥ 삼출액의 양을 측정하고 기록한다.
9. 상처간호
[건조-건조 드레싱(dry-to-dry dressing)]
· 1차 치유의 상처를 덮는데 사용된다.
· 상처 보호, 배액의 흡수, 지혈을 위해 압박을 해준다.
· 단점 : 배액이 건조해지는 경우에는 드레싱이 상처 표면에 달라붙는다.
드레싱 제거시 통증과 육아조직의 파열이 초래될 수 있다.
[습기 - 건조 드레싱(wet-to-dry dressing)]
·지저분한 조직의 제거를 해야하며 2차 치유가 필요한, 특히 청결하지 않거나 감염된 상처에 유용
·거즈에 멸균식염수를 적시거나 항균용액을 적신 후 사강이 없도록 상처안에 거즈를 채워넣는다.
·습기있는 드레싱을 건조드레싱으로 덮는다.
3. 주요 질환
1. 골절
- 뼈에 강한 외력이 가해지는 외상 후에 발견되는 것인데, 골절은 직접적인 외상과 간접적인 외상에 의하여 발생하는 경우로 구분된다. 직접적인 외상으로 인한 골절은 교통사고, 타박, 총상 등이 원인이 되고, 간접적인 외상에 의한 골절은 뼈에 붙은 근육이나 인대가 갑작스럽게 힘이 가해지면서 뼈를 잡아당겨 골절이 생기거나 뼈에 회전력 등이 가해져 골절이 발생하는 경우 등을 말한다. 그 밖에 골다공증, 종양, 감염 등으로 약해진 부위에 정상적인 뼈에서는 골절을 유발하기에 약한 힘에 의해 일어난 골절을 병적 골절이라 하며, 종양 이외의 병변 부위에 일어난 병적 골절을 불충분 골절이라고도 한다.
2. 골관절염
- 관절의 연골이 퇴화되고 관절표면의 뼈가 돌기처럼 성장하여 주변조직에 염증을 유발하는 진행성,퇴행성 관절 질환이다. 주로 노인의 골반이나 무릎에 발생하며, 연골의 상실로 관절강이 좁아져서 통증이 발생한다.
3. 척추질환(강직성 척추염, 추간판탈출증)
- ‘강직성 척추염’은 척추에 염증이 생겨 점점 굳어져서 척추의 움직임이 둔해지는 질환이다. 즉, 척추에 염증이 생기고 그 염증으로 인해 움직임이 둔해지는 병이라고 한다.
관절 외에도 다른 장기에 침범할 수 있다. 옛날에는 남자에게 많이 발생하는 질환으로 알려져 있었지만, 최근에는 여성환자의 비율도 늘어나고 있다고 한다.
‘추간판탈출증’은 척추사이의 판이 노화됨에 따라 추간판의 가장자리를 둘러싸고 있는 섬유륜에 원심성의 균열과 방사성 파열이 발생하게 되는데, 특히 무거운 물건을 들어 옆으로 옮겨 놓으려고 하면 과다 굴곡된 상태에서 압박력과 염전력을 받아 추간판 중앙의 수핵은 더 이상 섬유륜에 쌓여있지 못하고 방사성 균열 사이로 비집고 나오면서 발생하는 것이다.
4. 골다공증
- 뼈의 무기질,단백질이 감소하여 뼈의 치밀도가 감소해서 비정상적으로 뼈 안에 빈 공간이 생기는 상태로, 요통이나 골절 등이 나타나며 폐경기 여자에게 주로 발생한다.
5. 절단술
- 악성종양, 순환장애, 변형, 감염, 외상 등에 대해서 마지막 최선책으로 실시하는 것인데, 즉, 이들 질환에 있어서 절단하지 않으면 생명에 위험이 생길 염려가 있을 경우에 실시된다. 그러나 이 방법을 시행할 때는 먼저 보존적 요법을 시도하였다가 기능회복이 없는 경우에 시행해야 하며, 마지막 최선책이기 때문에 신중한 결정에 의해 진행되는 수술이다.
6. 수근터널증후군
- 팔목터널증후군이라고도 한다. 키보드나 마우스를 사용 하는 등 손의 과도한 사용으로 인해서 발생하는 반복성 긴장성 손상의 대표적인 질환이다. 정중신경이 손목의 인대,뼈,힘줄을 지나갈 때 정중신경을 압박하여 생기는 통증,작열감을 느낀다. 중년 여성에게 많이 발생하며, 반복적으로 컴퓨터의 손목운동 과잉, 과절염, 뼈의 비대, 손목의 종창으로 인하여 발생한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