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렌드 코리아 2015 독후감 감상문 서평 김난도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트렌드 코리아 2015 독후감 감상문 서평 김난도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된 삶을 추구하며 인생을 즐기고 있다. 게다가 할머니들은 새로운 것을 받아들이고 이해하는 세련된 사고까지 갖추었다. 꽃 할머니들은 \"인생은 60부터\"를 행동으로 실천한다. 그래서 이제는 어모털리터의 시대라고 불릴 만하다.
어모털리티(amortality)는 ‘영원히 살 수 없는’이라는 뜻의 mortal에 부정의 접두사 a를 붙여 ‘영원히 늙지 않는’이라는 의미로 《타임》지의 유럽 총괄 편집장인 캐서린 메이어가 만든 신조어다. 어모털리티는 10대 후반부터 죽을 때까지 똑같은 방식으로 똑같은 수준을 유지하며 살아가고, 거의 대체로 똑같은 일을 하고 똑같이 소비하는 것을 의미한다. 기업의 마케팅도 이러한 점에 주목하고 수행해야 될 것이다. 다만, 그 접근방식은 나이의 구분이 아니라 나이의 경계를 무너뜨리고 나이를 잊게 만들어, 할머니들도 충분히 젊다는 방식이어야 한다는 것이다. 이는 시니어 시장이 확대되고 있는데도 불구하고 백화점에서는 5060세대를 위한 브랜드가 점점 사라지고 있는 이유와 일맥상통한다. 고령자를 위한 옷이 아니라 오히려 젊은 사람들이 입는 옷인데 나한테도 잘 어울린다는 심리가 이들의 구매 욕구를 자극하는 것이다. 결론적으로 건강 지향성이나 고령 친화성은 목표가 아니라 수단일 뿐이라는 점을 명심해야 한다.
Playing in hidden alleys 숨은 골목 찾기
골목길과 도로를 끼고 있는 대로는 상반된 이미지를 준다. 그러나 이제는 그 골목길이 새롭게 각광받으며, 낙후되고 촌스럽던 이미지를 벗고 개성 넘치는 미학으로 변신해 새로운 트렌드를 선도하고 있다. 이제 골목길은 젊음이 넘치는 공간으로 바뀌고 있다. 젊은 예술가들과 젊은 사업가들이 골목길에서 예술과 비즈니스의 가능성을 새롭게 실험하고 있는 것이다. 도로를 끼고 있는 큰 길이 디지털 감성을 자극한다면, 골목길은 아날로그 감성을 자극한다. 그래서 현대인들의 향수를 자극하는 도심 속 오아시스가 된 것이다.
특히 서울 도심의 뒷골목은 아직도 원형의 모습을 가지고 있는 곳이 많아서, 최소의 자금으로 효율적인 창업이 가능한 공간들이 있다. 대표적인 사례가 연남동이다. 이곳에서는 5년간 월세 동결이라는 조건으로 상인들의 생존권을 보장하고, 공유경제의 공간을 실현하고 있다. 나만이 아니라 함께 오래 잘 살자라는 구호를 모토로 커뮤니티를 형성해, 그들이 보유한 콘텐츠를 지속 가능한 무대 위에서 안정적으로 대중에게 선보일 수 있는 플랫폼을 구상한 것이다.
지금까지 2014년 회고와 함께 2015년 트렌드의 주요 내용을 정리해 보았다. 여전히 경제는 2014년에 이어 내년도 쉽지 않을 전망이다. 저자가 예상하고 있는 2015년 한 해의 기저에 깔려 있는 가장 큰 핵심은 “치열한 경쟁”이라는 말로 간단히 정리할 수 있을 것이다. 적어도 내년 한 해는 더 기업도 개인도 생존을 위한 치열함을 숙명처럼 받아들이고 살아야 할 것 같다. 그럼에도 그것이 썩 바람직하지는 않은 일이지만, 소비자들은 그 속에서 나름의 지혜를 발휘하고 기업들은 이런 소비자들의 동향을 면밀히 파악해 대응할 것이다.
  • 가격2,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4.12.20
  • 저작시기2014.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9129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