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문화사회와 교육] 다문화적 다양성과 시민성에 대한 이해 및 간문화교육과 시민교육의 교차점(다문화시대에 요청되는 시민교육의 목표와 과제, 간문화교육의 목표와 과제)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다문화사회와 교육] 다문화적 다양성과 시민성에 대한 이해 및 간문화교육과 시민교육의 교차점(다문화시대에 요청되는 시민교육의 목표와 과제, 간문화교육의 목표와 과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목차

1. 다양성과 시민성

2. 간문화교육과 시민교육의 교차점
1) 다문화시대에 요청되는 시민교육의 목표와 과제
2) 간문화교육의 목표와 과제

참고문헌

본문내용

서 적절하게 기능(機能)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지식 기능(技能) 태도를 갖추도록 하는 데 도움을 주어야 한다. 다양한 세계사회는 오늘날 급속한 세계화를 경험하고 있으며, 다른 한편으로는 이 세계사회에서 다양한 민족 문화 언어 종교를 대표하는 집단들이 인정과 포함을 추구하고 있다. 시민교육은 또한 세계를 보다 더 정의로운 사회로 만들기 위하여 학습자들이 세계를 변화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는 자질과 능력, 그리고 가치 태도를 갖추도록 하는 데 있어서도 역시 도움을 주어야 한다”(Banks, 2004, 292; Georgi, 2008, 84-85에서 재인용).
요컨대, "다양성이 없는 통일성은 결과적으로 문화적 억압과 패권(權)을 낳는다. 거꾸로 통일성이 없는 다양성은 소국분할의 현상과 국민국가의 분열을 가져온다. 따라서 다양성과 통일성은 민주적인 다문화적 국민국가에서 미묘하고 처리하기 어려운 균형을 이루면서 공존해야 한다”(Banks, 2004, 291; Georgi, 2008, 85에서 재인용). 여기서 "교육적 도전은 구별과 차이가 어떻게 공유된 이해와 공동의 투쟁을 개발하는 데 사용될 수 있는가를 결정하는 일이다. 공유된 이해가 부재한 상태에서는 프로이트(Freud)가 우려한 '작은 차이의 자기도취증세’가 움직이기 시작할 것이며, 집단간의 격차와 구분을 심화시킬 것이다”(Gundara, 2008, 193).
우리는 다문화주의와 시민성에 대한 서로 다른 여러 가지 접근방안을 평가하고 재고하는 과정을 통해서 바로 다양성과 통일성의 미묘하고 처리하기 어려운 균형을 수립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물론 교육의 사실적인 정치적 사회적 영향력을 과대평가해서는 안 되지만, 다양성 평등 포함을 동시에 아우르는 방향으로 나아갈 때, 간문화교육과 시민교육은 통일성과 다양성 사이에서 적절한 균형을 잡는데 있어서 중요한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그러한 균형은 결국 사회적 결속과 민주주의를 강화시키는 데 도움을 줄 것이다(Georgi, 2008, 85).
참고문헌
서덕희, 김옥선 외 저, 다문화사회와 교육, 교육과학사 2015
이형하, 박상희 외 저, 다문화사회와 다문화교육의 이해, 공동체 2015
오정미 저, 다문화사회에서의 한국의 옛이야기와 문화교육, 한국문화사 2015
조원탁, 박순희 외 저, 다문화사회의 이해와 실천, 양서원 2014
최영민, 이기영 외 저, 다문화사회복지론, 학지사 2015
  • 가격2,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6.01.07
  • 저작시기2016.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9169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