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① 실험목적(Object)
② 이론(theory)
③ 실험장치(Experimental Device)
④ 실험방법(Experimental method)
⑤ 결과(result)
⑥ 고찰(discussion)
⑦ 참고문헌 (reference)
② 이론(theory)
③ 실험장치(Experimental Device)
④ 실험방법(Experimental method)
⑤ 결과(result)
⑥ 고찰(discussion)
⑦ 참고문헌 (reference)
본문내용
없어서 고무마개를 사용하였다. 코르크 마개를 사용하는 이유는 마개 사이에 구멍이 있어 그 사이로 기체가 나가는 것인데 고무마개는 뚫려 있지 않아서 중간중간 마개를 열어 가스를 방출 시켰다.
⑨ 만들어진 액체의 수율을 계산한다.
→ 노란빛의 용액이 생성되었다.
⑤ 결과(result)
플라스크 + nitrobenzene 의 무게 플라스크의 무게
얻은 nitrobenzene의 무게 : 250.1 g 206.0 g = 44.1 g
HNO3
H2SO4
C6H6
nitrobenzene
사용량
35ml
40ml
29ml
-
분자량
63.01 g/mol
98.08 g/mol
78 g/mol
123 g/mol
밀도
1.5
1.83
0.87
1.2
이론적 수득률은 39.72 g 인데 우리조는 그 값을 뛰어 넘는 44.1g이 얻어졌다.
또한 반응 전후에 남아 있어야할 CaCl2가 용해 되었다.
⑥ 고찰(discussion)
이번 실험 초반 부터 산에 산을 가하는 실험이라 흄 후드 안에서 시행하였다. 처음 질산을 넣고 후에 황산을 넣어야 하는데 이 반응은 발열 반응이라 수조에 찬물을 담아 그 속에서 시행하였다. 질산에 황산을 한번에 부으면 열이 크게 발생하므로 스포이드로 소량씩 가하면서 플라스크를 흔들어 주었다.
그 후 벤젠을 적하깔대기를 통하여 위 용액에 소량씩 가해 주어야 하는데 이때의 주의사항은 온도가 60도 이하를 유지해야 했었다. 하지만 우리조는 깔대기의 밸브를 확인하지 않고 실험을 시행하다 밸브가 헐거워져서 구멍을 막았음에도 불구하고 벤젠이 다 쏟아져 나왔다. 자세히 온도는 보지 못했지만 연기도 나고 아마 100도 정도 올라갔을 것이다.
벤젠의 끓는점은 약 80도 인데 온도가 저만큼 올라갔으니 아마 벤젠도 증발했을 것이고 다른 반응도 일어나 이번 실험결과에 영향을 미쳤을 것이다.
한조씩 실험을 하다 보니 시간이 많이 지체 되서 조교님 허락 하에 후드 밖 에서 벤젠을 가하였지만 이는 잘못된 행동이었던 거 같다. 실험실 주의사항 대로 가스가 발생할 수 있는 물질을 다룰때에는 반드시 흄후드 안에서 해야 된다.
용액에 탄산나트륨 용액을 가하여 산을 중화시킬 때 처음에 ph시험지를 넣어보니 빨간색으로 산성이었다. 후에 탄산나트륨을 가하고 다시 시험지를 넣어보니 강염기가 되어 있어서 너무 많이 넣었나 싶었는데, 전체적으로 잘 혼합한 뒤에 다시 ph를 재보니 연두빛으로 중성이 되었다.
반응 종료후 플라스크에 염화칼슘을 넣고 40분정도 기다렸는데 염화칼슘이 녹아버렸다. 조사한 바로는 염화 칼슘은 수분을 제거하는 역할이므로 반응 전후에 그대로 남아있었어야 했다. 하지만 우리조는 무슨 영문인지 용해 되어 버렸다.
조사를 해 보았지만 염화칼슘이 용해된 이유를 알지 못했다. 다른조와 비교해 볼 때 다른점이라고는 앞서 벤젠을 가할 때 온도 가 크게 올라갔다는 것이다. 이 때문에 다른 반응이 일어났을 수도 있다.
이번실험에서 만들어진 나이트로벤젠의 무게는 44.1g으로 이론적 수득량인 39.729g 보다 훨씬 큰 값이다.
이렇게 오차가 크게 난 이유는 우선 시약을 정확하게 측정하지 않았을 수도 있고, 위 벤젠을 가할 때처럼 반응 조건에 유의 하지 않아 오차가 크게 난 것일 수도 있다.
⑦ 참고문헌 (reference)
- 윤용진, 실험유기화학, 자유아카데미, 1992, p 83~87, 158~159
- 이대수 외3인, 신 유기합성실험, 동명사, 2000, p 40~45
- 양성봉 외3인, 유기화학실험, 도서출판 대웅, 1996, p 213~214
- 정광보 외3인, 유기화학실험, 신광문화사, 2000, p 261~263
- 남기대 외 2인, 최신유기합성실험, 진영사, 1993, p 186~188
[방향족화합물]
- 네이버 두산백과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099645&cid=200000000&categoryId=200000887
-시사상식사전, pmg 지식엔진연구소, 박문각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68394&cid=561&categoryId=561
[친전자성 치환반응]
-화학용어사전, 화학용어사전편찬회, 윤창주, 2011.1.15, 일진사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610076&cid=2905&categoryId=2905
-모발학 사전, 류은주 외, 2003.5.22, 광문각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515750&cid=2905&categoryId=2905
-http://dochoonho.sunchon.ac.kr/Lectures2/OrgChem1/DoOC1LecW10/DoOC1LecW10-ElectrophilSub-introd.html
-http://bh.knu.ac.kr/~minkye/lecture_chem/mechEAS.htm
[나이트로화]
- 네이버 두산백과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078798&cid=200000000&categoryId=200000887
- Basic 화학 용어사전, 서인호, 2002.9.30, (주)신원문화사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945027&cid=3438&categoryId=3438
-TNT
http://lem.ch.unito.it/didattica/infochimica/2008_Esplosivi/TNT.html
[다이나이트로벤젠]
http://chemi1st.egloos.com/10113204
[벤젠 나이트로화]
http://commons.wikimedia.org/wiki/File:Benzene-nitration-overview.png
[벤젠]
-네이버 두산백과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223419&cid=200000000&categoryId=200000889
[나이트로벤젠]
네이버 두산백과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078782&cid=200000000&categoryId=200000889
⑨ 만들어진 액체의 수율을 계산한다.
→ 노란빛의 용액이 생성되었다.
⑤ 결과(result)
플라스크 + nitrobenzene 의 무게 플라스크의 무게
얻은 nitrobenzene의 무게 : 250.1 g 206.0 g = 44.1 g
HNO3
H2SO4
C6H6
nitrobenzene
사용량
35ml
40ml
29ml
-
분자량
63.01 g/mol
98.08 g/mol
78 g/mol
123 g/mol
밀도
1.5
1.83
0.87
1.2
이론적 수득률은 39.72 g 인데 우리조는 그 값을 뛰어 넘는 44.1g이 얻어졌다.
또한 반응 전후에 남아 있어야할 CaCl2가 용해 되었다.
⑥ 고찰(discussion)
이번 실험 초반 부터 산에 산을 가하는 실험이라 흄 후드 안에서 시행하였다. 처음 질산을 넣고 후에 황산을 넣어야 하는데 이 반응은 발열 반응이라 수조에 찬물을 담아 그 속에서 시행하였다. 질산에 황산을 한번에 부으면 열이 크게 발생하므로 스포이드로 소량씩 가하면서 플라스크를 흔들어 주었다.
그 후 벤젠을 적하깔대기를 통하여 위 용액에 소량씩 가해 주어야 하는데 이때의 주의사항은 온도가 60도 이하를 유지해야 했었다. 하지만 우리조는 깔대기의 밸브를 확인하지 않고 실험을 시행하다 밸브가 헐거워져서 구멍을 막았음에도 불구하고 벤젠이 다 쏟아져 나왔다. 자세히 온도는 보지 못했지만 연기도 나고 아마 100도 정도 올라갔을 것이다.
벤젠의 끓는점은 약 80도 인데 온도가 저만큼 올라갔으니 아마 벤젠도 증발했을 것이고 다른 반응도 일어나 이번 실험결과에 영향을 미쳤을 것이다.
한조씩 실험을 하다 보니 시간이 많이 지체 되서 조교님 허락 하에 후드 밖 에서 벤젠을 가하였지만 이는 잘못된 행동이었던 거 같다. 실험실 주의사항 대로 가스가 발생할 수 있는 물질을 다룰때에는 반드시 흄후드 안에서 해야 된다.
용액에 탄산나트륨 용액을 가하여 산을 중화시킬 때 처음에 ph시험지를 넣어보니 빨간색으로 산성이었다. 후에 탄산나트륨을 가하고 다시 시험지를 넣어보니 강염기가 되어 있어서 너무 많이 넣었나 싶었는데, 전체적으로 잘 혼합한 뒤에 다시 ph를 재보니 연두빛으로 중성이 되었다.
반응 종료후 플라스크에 염화칼슘을 넣고 40분정도 기다렸는데 염화칼슘이 녹아버렸다. 조사한 바로는 염화 칼슘은 수분을 제거하는 역할이므로 반응 전후에 그대로 남아있었어야 했다. 하지만 우리조는 무슨 영문인지 용해 되어 버렸다.
조사를 해 보았지만 염화칼슘이 용해된 이유를 알지 못했다. 다른조와 비교해 볼 때 다른점이라고는 앞서 벤젠을 가할 때 온도 가 크게 올라갔다는 것이다. 이 때문에 다른 반응이 일어났을 수도 있다.
이번실험에서 만들어진 나이트로벤젠의 무게는 44.1g으로 이론적 수득량인 39.729g 보다 훨씬 큰 값이다.
이렇게 오차가 크게 난 이유는 우선 시약을 정확하게 측정하지 않았을 수도 있고, 위 벤젠을 가할 때처럼 반응 조건에 유의 하지 않아 오차가 크게 난 것일 수도 있다.
⑦ 참고문헌 (reference)
- 윤용진, 실험유기화학, 자유아카데미, 1992, p 83~87, 158~159
- 이대수 외3인, 신 유기합성실험, 동명사, 2000, p 40~45
- 양성봉 외3인, 유기화학실험, 도서출판 대웅, 1996, p 213~214
- 정광보 외3인, 유기화학실험, 신광문화사, 2000, p 261~263
- 남기대 외 2인, 최신유기합성실험, 진영사, 1993, p 186~188
[방향족화합물]
- 네이버 두산백과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099645&cid=200000000&categoryId=200000887
-시사상식사전, pmg 지식엔진연구소, 박문각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68394&cid=561&categoryId=561
[친전자성 치환반응]
-화학용어사전, 화학용어사전편찬회, 윤창주, 2011.1.15, 일진사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610076&cid=2905&categoryId=2905
-모발학 사전, 류은주 외, 2003.5.22, 광문각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515750&cid=2905&categoryId=2905
-http://dochoonho.sunchon.ac.kr/Lectures2/OrgChem1/DoOC1LecW10/DoOC1LecW10-ElectrophilSub-introd.html
-http://bh.knu.ac.kr/~minkye/lecture_chem/mechEAS.htm
[나이트로화]
- 네이버 두산백과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078798&cid=200000000&categoryId=200000887
- Basic 화학 용어사전, 서인호, 2002.9.30, (주)신원문화사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945027&cid=3438&categoryId=3438
-TNT
http://lem.ch.unito.it/didattica/infochimica/2008_Esplosivi/TNT.html
[다이나이트로벤젠]
http://chemi1st.egloos.com/10113204
[벤젠 나이트로화]
http://commons.wikimedia.org/wiki/File:Benzene-nitration-overview.png
[벤젠]
-네이버 두산백과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223419&cid=200000000&categoryId=200000889
[나이트로벤젠]
네이버 두산백과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078782&cid=200000000&categoryId=200000889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