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목차
Ⅰ서론 - 가정폭력이란 무엇인가?
1. 가족폭력의 정의
2. 가정폭력의 형태
Ⅱ 본론 - 가정폭력의 실태
- 가정폭력의 유형별 분류
1. 아내에 대한 폭력 → 사례 1, 2
→ 폭력발생 요인
2. 아동학대 → 사례 1, 2
→ 폭력발생 요인
3. 노인 학대 → 사례 1, 2
→ 폭력발생요인
4. 남편에 대한 폭력 → 사례 1, 2
→ 폭력발생 요인
- 가정폭력의 대안
1. 가정폭력 예방을 위한 대안 → 의료적 노력, 지속적 교육
2. 가정폭력 발생 시 해결을 위한 대안 → 사회적 통념의 변화, 사후관리, 단기중재
Ⅲ 결론
Ⅳ 부록
→ 참고문헌
Ⅰ서론 - 가정폭력이란 무엇인가?
1. 가족폭력의 정의
2. 가정폭력의 형태
Ⅱ 본론 - 가정폭력의 실태
- 가정폭력의 유형별 분류
1. 아내에 대한 폭력 → 사례 1, 2
→ 폭력발생 요인
2. 아동학대 → 사례 1, 2
→ 폭력발생 요인
3. 노인 학대 → 사례 1, 2
→ 폭력발생요인
4. 남편에 대한 폭력 → 사례 1, 2
→ 폭력발생 요인
- 가정폭력의 대안
1. 가정폭력 예방을 위한 대안 → 의료적 노력, 지속적 교육
2. 가정폭력 발생 시 해결을 위한 대안 → 사회적 통념의 변화, 사후관리, 단기중재
Ⅲ 결론
Ⅳ 부록
→ 참고문헌
본문내용
로 조사하고, 각각의 특징과 문제점을 파악하여 중재하되, 가정폭력 사건의 기소는 보류하는 것 등을 주된 내용으로 하여야 할 것이다.
가해자와 피해자의 특징과 문제점에 근거하여 가정폭력 사건을 중재하기 위해서 필요한 것은 상담을 전공한 사람이 검찰의 요청에 따라 검찰의 조사과정에서 단기적으로나마 가해자와 피해자를 상담해 주는 것이다. 이런 대안이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면 검사가 간단하게 사용할 수 있는 상담 프로그램을 구성하여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피해자의 남녀평등 의식이 사건에 대한 피해자의 대처에 영향을 준다면 남녀평등 의식과 관련된 자료를 제공하거나 실제 자신의 의식에 대한 평가를 할 수 있는 인지적 과제를 내어주는 것도 하나의 방법일 것 이다. 이러한 일회적인 상담요법의 적용은 피해자뿐만 아니라 가해자에 대해서도 반드시 실시되어야 할 것이다.
결론
가정폭력의 심각성에 대해 무뎌진 탓인지 가정폭력에 대해 아무런 생각을 가지고 있지 않다가 심각한 수준에 이르렀다는 것을 인식하게 된 동기는 우연히 ‘SOS긴급출동 24’라는 프로그램을 보고 난 이후였다. 그 프로그램에서 가장 충격 먹었던 장면은 한 때 이슈가 되었던 ‘매 맞는 남편’편 이였다. 현실사회의 심각성을 인식한 이후, 눈살을 찌푸리면서도 관심을 갖고 그 프로그램을 보게 되었다. 정말 내가 살고 있는 사회에서 이러한 일들이 일어나고 있다는 것이 믿기지 않을 정도였다. 그것도 머나먼 나라에서 일어나는 것이 아니라 바로 내 주변에서 이러한 일들이 펼쳐지고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되니 더 끔직하였다. 그래서 이번 주제를 ‘가정폭력’으로 결정하고 조사를 하였다. 조사과정 속에서 많은 것을 느낄 수가 있었다. 사회생활에 첫 발걸음을 내딛고 있는 나로서는 우리나라의 모든 생활 속에서 불편함을 느끼기 보다는 편안함만 느끼고 거의 모든 것이 완벽한 그 자체라고 생각해 왔다. 하지만 나는 이번 기회를 통해서 현실을 넓게 보지 않고 파악하지 못하는 우물 속의 개구리였다는 것을 느꼈다. 그러면서 나보다도 어린 아동들의 학대 사례들을 조사하는 과정에서 내가 정말 좋은 가정 속에서 자라왔다는 것을 느꼈고, 부모님께 감사함을 느꼈다. 모든 것을 다 해주시는 부모님께 작은 거 하나라도 내 마음에 들지 않으면 투정을 부렸던 내 모습을 떠올리니 부끄럽고, 죄송스럽기도 했다. 조사를 통해서 깨달은 사실 중 하나는 이혼율이 급증하고 결혼을 피하는 경향이 가정폭력과 전혀 무관하다고 할 수 없는 것 같다. 사회의 가장 기본적인 울타리라 할 수 있는 가정의 문제가 전반적인 사회 문제가 될 수 있음을 새삼 느낄 수 있는 기회가 되었다. 더 나아가 가정 내의 크고 작은 폭력들을 해소함으로서 우리 사회가 더 밝고 건전해 질 수 있다는 사실을 생각해 보면 더 이상 가정폭력범죄를 간과할 수 없다는 사실을 우리 모두가 인식해야 되는 시점이라고 생각한다. 또 느낀 것은 가정폭력에 대한 예방법이나 발생 후 대안법이 매우 부실하다는 생각이 들었다. 많은 사람들이 좀 더 관심을 가지고 해결책을 강구하여 하루빨리 가정폭력이 없는 웃음소리만 가득한 가정만 있었으면 좋겠다. 여러 가지의 가정폭력 유형 중에서 가장 조사하기 힘들었던 부분은 ‘노인 학대’ 유형 이였다. 그 이유는 사례들을 읽으면서 나도 모르게 나와 우리 부모님으로 연관시켰고, 가슴이 너무 뭉클해지고 아팠다. 다른 모든 유형들도 ‘어떻게 저런 짓을 할 수 있을까?’ 하는 생각이 들고 심각한 수준이었지만 내가 아동학대를 받았던 적도 없고, 아이를 낳아보지도 않았고, 아내가 되어 보지 않았기 때문인지 다른 요인들보다 ‘노인 학대’가 가장 와 닿았던 것 같다. 그리고 어떻게 지금까지 훌륭하게 키워주신 부모님께 그렇게 행동을 할 수 있는지 의문도 들었다. 하지만 사람일은 모르는 것이기 때문에 나또한 조심해야 할 것 같고, 지금 느끼고 있는 감정을 잊지 않았으면 좋겠다. 앞으로 나 역시 한 가정을 이루고 가장이 되었을 때 오늘의 이러한 교훈을 가슴에 담고 잘못된 권위주의적 사고에서 벗어나 화목한 가정을 이루도록 노력해야겠다.
부록 - 참고문헌
위키 백과 한국어 판 - http://ko.wikipedia.org/
보건복지가족부 - http://www.mw.go.kr/
그랜드마틴,「가정폭력과 학대」,『두란노』, 2002
‘최진실 사건’ 헤럴드 경제 연예면 2004년08월03일자
김재엽,「한국의 가정폭력」,『학지사』, 2007
‘남편구타로 가정파탄 70대 할머니 이혼소 승소’ 문화일보 1999년01월16일자
‘아동학대’ 세계일보 2002년07월 24일자
버넌R.위헤,「아동학대 문제 다루기」,『교문사』, 2006
강원도아동보호전문기관 http://www.1391.org/ > 어린이 지킴이 자료실
부산아동 청소년 상담 센터 http://www.counseling.ne.kr 고향생각 2005.09.09
한국 노인 학대 연구회 http://eiderbuse.or.kr
중앙노인보호전문기관 http://www.noinboho.or.kr/
한은주, 「노인학대의 원인에 대한 생태학적 연구」, 『한국학술정보』
이영호, 「노인학대」, 『한국학술정보』, 2005
양옥남외,「노인복지론」,『공동체』, 2006
‘남편폭력’, 대전일보, 2002년02월01일자
강민홍, 건치신문, 2007년 10월 29일자
경찰청 http://www.police.go.kr/main/index_info.do
김영화,「현대사회와 여성복지」,『양서원』,2002
이동명, 「가정폭력의 본질에 관한 고찰」, 『한국법학회』, 2006
이은희,「노인 학대 연구」,『한국학술정보』, 2007
‘매맞는 남편’ 부부클리닉>사랑과 전쟁>제232화
하경미, ‘남편 피해원인’, 경북일보, 1009년 11월 06일자
최영, 「정신과적 측면에서 본 가정폭력」
조흥식외 4명, 「가정복지학」,『학지사』, 1998
1988년 사회문제론 학생 보고서
이승렬, 「부산여성의 전화」1999년
한겨례 http://www.habi.co.kr
Javad H.Kashani,「가정폭력이 아동 및 청소년에게 미치는 영향」,『21세기사』, 2005
가해자와 피해자의 특징과 문제점에 근거하여 가정폭력 사건을 중재하기 위해서 필요한 것은 상담을 전공한 사람이 검찰의 요청에 따라 검찰의 조사과정에서 단기적으로나마 가해자와 피해자를 상담해 주는 것이다. 이런 대안이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면 검사가 간단하게 사용할 수 있는 상담 프로그램을 구성하여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피해자의 남녀평등 의식이 사건에 대한 피해자의 대처에 영향을 준다면 남녀평등 의식과 관련된 자료를 제공하거나 실제 자신의 의식에 대한 평가를 할 수 있는 인지적 과제를 내어주는 것도 하나의 방법일 것 이다. 이러한 일회적인 상담요법의 적용은 피해자뿐만 아니라 가해자에 대해서도 반드시 실시되어야 할 것이다.
결론
가정폭력의 심각성에 대해 무뎌진 탓인지 가정폭력에 대해 아무런 생각을 가지고 있지 않다가 심각한 수준에 이르렀다는 것을 인식하게 된 동기는 우연히 ‘SOS긴급출동 24’라는 프로그램을 보고 난 이후였다. 그 프로그램에서 가장 충격 먹었던 장면은 한 때 이슈가 되었던 ‘매 맞는 남편’편 이였다. 현실사회의 심각성을 인식한 이후, 눈살을 찌푸리면서도 관심을 갖고 그 프로그램을 보게 되었다. 정말 내가 살고 있는 사회에서 이러한 일들이 일어나고 있다는 것이 믿기지 않을 정도였다. 그것도 머나먼 나라에서 일어나는 것이 아니라 바로 내 주변에서 이러한 일들이 펼쳐지고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되니 더 끔직하였다. 그래서 이번 주제를 ‘가정폭력’으로 결정하고 조사를 하였다. 조사과정 속에서 많은 것을 느낄 수가 있었다. 사회생활에 첫 발걸음을 내딛고 있는 나로서는 우리나라의 모든 생활 속에서 불편함을 느끼기 보다는 편안함만 느끼고 거의 모든 것이 완벽한 그 자체라고 생각해 왔다. 하지만 나는 이번 기회를 통해서 현실을 넓게 보지 않고 파악하지 못하는 우물 속의 개구리였다는 것을 느꼈다. 그러면서 나보다도 어린 아동들의 학대 사례들을 조사하는 과정에서 내가 정말 좋은 가정 속에서 자라왔다는 것을 느꼈고, 부모님께 감사함을 느꼈다. 모든 것을 다 해주시는 부모님께 작은 거 하나라도 내 마음에 들지 않으면 투정을 부렸던 내 모습을 떠올리니 부끄럽고, 죄송스럽기도 했다. 조사를 통해서 깨달은 사실 중 하나는 이혼율이 급증하고 결혼을 피하는 경향이 가정폭력과 전혀 무관하다고 할 수 없는 것 같다. 사회의 가장 기본적인 울타리라 할 수 있는 가정의 문제가 전반적인 사회 문제가 될 수 있음을 새삼 느낄 수 있는 기회가 되었다. 더 나아가 가정 내의 크고 작은 폭력들을 해소함으로서 우리 사회가 더 밝고 건전해 질 수 있다는 사실을 생각해 보면 더 이상 가정폭력범죄를 간과할 수 없다는 사실을 우리 모두가 인식해야 되는 시점이라고 생각한다. 또 느낀 것은 가정폭력에 대한 예방법이나 발생 후 대안법이 매우 부실하다는 생각이 들었다. 많은 사람들이 좀 더 관심을 가지고 해결책을 강구하여 하루빨리 가정폭력이 없는 웃음소리만 가득한 가정만 있었으면 좋겠다. 여러 가지의 가정폭력 유형 중에서 가장 조사하기 힘들었던 부분은 ‘노인 학대’ 유형 이였다. 그 이유는 사례들을 읽으면서 나도 모르게 나와 우리 부모님으로 연관시켰고, 가슴이 너무 뭉클해지고 아팠다. 다른 모든 유형들도 ‘어떻게 저런 짓을 할 수 있을까?’ 하는 생각이 들고 심각한 수준이었지만 내가 아동학대를 받았던 적도 없고, 아이를 낳아보지도 않았고, 아내가 되어 보지 않았기 때문인지 다른 요인들보다 ‘노인 학대’가 가장 와 닿았던 것 같다. 그리고 어떻게 지금까지 훌륭하게 키워주신 부모님께 그렇게 행동을 할 수 있는지 의문도 들었다. 하지만 사람일은 모르는 것이기 때문에 나또한 조심해야 할 것 같고, 지금 느끼고 있는 감정을 잊지 않았으면 좋겠다. 앞으로 나 역시 한 가정을 이루고 가장이 되었을 때 오늘의 이러한 교훈을 가슴에 담고 잘못된 권위주의적 사고에서 벗어나 화목한 가정을 이루도록 노력해야겠다.
부록 - 참고문헌
위키 백과 한국어 판 - http://ko.wikipedia.org/
보건복지가족부 - http://www.mw.go.kr/
그랜드마틴,「가정폭력과 학대」,『두란노』, 2002
‘최진실 사건’ 헤럴드 경제 연예면 2004년08월03일자
김재엽,「한국의 가정폭력」,『학지사』, 2007
‘남편구타로 가정파탄 70대 할머니 이혼소 승소’ 문화일보 1999년01월16일자
‘아동학대’ 세계일보 2002년07월 24일자
버넌R.위헤,「아동학대 문제 다루기」,『교문사』, 2006
강원도아동보호전문기관 http://www.1391.org/ > 어린이 지킴이 자료실
부산아동 청소년 상담 센터 http://www.counseling.ne.kr 고향생각 2005.09.09
한국 노인 학대 연구회 http://eiderbuse.or.kr
중앙노인보호전문기관 http://www.noinboho.or.kr/
한은주, 「노인학대의 원인에 대한 생태학적 연구」, 『한국학술정보』
이영호, 「노인학대」, 『한국학술정보』, 2005
양옥남외,「노인복지론」,『공동체』, 2006
‘남편폭력’, 대전일보, 2002년02월01일자
강민홍, 건치신문, 2007년 10월 29일자
경찰청 http://www.police.go.kr/main/index_info.do
김영화,「현대사회와 여성복지」,『양서원』,2002
이동명, 「가정폭력의 본질에 관한 고찰」, 『한국법학회』, 2006
이은희,「노인 학대 연구」,『한국학술정보』, 2007
‘매맞는 남편’ 부부클리닉>사랑과 전쟁>제232화
하경미, ‘남편 피해원인’, 경북일보, 1009년 11월 06일자
최영, 「정신과적 측면에서 본 가정폭력」
조흥식외 4명, 「가정복지학」,『학지사』, 1998
1988년 사회문제론 학생 보고서
이승렬, 「부산여성의 전화」1999년
한겨례 http://www.habi.co.kr
Javad H.Kashani,「가정폭력이 아동 및 청소년에게 미치는 영향」,『21세기사』, 2005
추천자료
가정 폭력의 개념과 실태
(가정폭력) - 아내폭력의 현실과 실태 및 사회복지적 대책방향 (프레젠테이션 자료)
가정폭력 피해자에 대한 서비스 대책
가정폭력사건에 대한 경찰의 개입
가족문제의 실태(이혼가족, 한부모가족, 가정폭력)
[가정폭력 해결책] 가정폭력의 원인, 실태, 가정폭력의 인식, 가정폭력에 대한 나의 생각 및 ...
[가정폭력 해결책] 가정폭력의 원인, 실태, 가정폭력의 인식, 가정폭력에 대한 나의 생각 및 ...
학교폭력의 원인, 사회적 요인, 가정적 요인, 학교폭력 실태, 의의, 원칙, 피해 사례, 문제점...
가정폭력(가정폭력을당한여성중심으로)문제와 대책
가정폭력 피해자 지원체계의 개선방안
가정폭력
[학교폭력의예방및대책] 현대사회 학교폭력현주소에 대해 설명하고 학교폭력을 예방하기 위한...
가정폭력에 대한 보고서
[가정폭력-망치부인사건] 매 맞는 남편 (가정폭력-매 맞는 남편-의 실태, 매 맞는 남편 원인,...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