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1.1. 실험 목적
1.2. 이론
2. 실험
2.1. 실험기구 및 시약
2.2. 실험 방법
3. 실험결과 및 고찰
3.1. 실험결과
3.2. 고찰
4. 결론
5. 사용기호
6. 참고문헌
1.1. 실험 목적
1.2. 이론
2. 실험
2.1. 실험기구 및 시약
2.2. 실험 방법
3. 실험결과 및 고찰
3.1. 실험결과
3.2. 고찰
4. 결론
5. 사용기호
6. 참고문헌
본문내용
의미가 없음을 예측할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의미를 갖는 부분인 60ml의 증류물의 온도를 측정 했을 때 실험을 종료시켜야 할 것이다.
4. 결론
실험 결과를 보면 증류물의 누적부피가 증가할수록 증류물의 온도가 증가함을 알 수 있다. 분별 증류관을 통해 농도가 진한 메틸 알코올이 증류되어 메스실린더에 모이는 모습을 볼 수 있었고, 이 때 5ml 간격으로 증류물을 회수하였기 때문에 보다 정확한 온도를 확인 할 수 있었다. 또한 누적 시키며 모으는 경우 발생할 수 있는 실험시간 내의 휘발에 의한 오차를 최소화 할 수 있었다. 농도가 진한 메틸 알코올이 증류되어 나오기 때문에 혼합물의 농도는 점점 묽어졌을 것이고, 혼합용액의 끓는점도 증류수의 끓는점인 에 가까워지는 경향을 볼 수 있었다. 열 세 번째 5ml 시료를 얻어내는 순간 온도가 인 점을 보는 것만으로도 혼합용액의 농도가 굉장히 묽어졌음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은 점을 미루어 보았을 때, 실제 분별증류 과정에서 Fig. 3.처럼 온도가 급작스럽게 증가하는 부분은 의미가 없는 부분이다. 하지만 실제 공정이라면 증류수-메틸 알코올 혼합용액이 지속적으로 공급될 것이기 때문에 저러한 급작스러운 온도 상승은 볼 수 없을 것이다. 결론적으로 순수한 메틸 알코올은 아니지만 어느정도 고 농도의 메틸 알코올을 분별증류를 통해 분리하는데 성공한 실험이었다.
= the relative volatility of the more volatile component 1 to the less volatile component 2
= the vaporliquid equilibrium concentration of component 1 in the vapor phase
= the vaporliquid equilibrium concentration of component 1 in the liquid phase
= the vaporliquid equilibrium concentration of component 2 in the vapor phase
= the vaporliquid equilibrium concentration of component 2 in the liquid phase
5. 사용기호
6. 참고문헌
[1] J. M. Smith, H. C. Van Ness and M. M. Abbott, Introdution to Chemical Engineering Thermodynamics (7th edition), 316, McGraw-Hill education Korea.[2] 양성봉 외 3인, 유기화학실험, 1판, 113, 대웅, 서울 종로구 낙원동 280-1, (1990).[3] Ian Guch, 홍훈기 옮김, 쉬운 화학, 73, 교문사, (2005).[4] Peter atkinsJulio de Paula, 안운선 옮김, Chemistry Physical(8th edition), 1056, OXFORD(교보문고), (2010). [5] 한국고시회편집부, 화학공학일반, 133, 한국고시회, (2000).
4. 결론
실험 결과를 보면 증류물의 누적부피가 증가할수록 증류물의 온도가 증가함을 알 수 있다. 분별 증류관을 통해 농도가 진한 메틸 알코올이 증류되어 메스실린더에 모이는 모습을 볼 수 있었고, 이 때 5ml 간격으로 증류물을 회수하였기 때문에 보다 정확한 온도를 확인 할 수 있었다. 또한 누적 시키며 모으는 경우 발생할 수 있는 실험시간 내의 휘발에 의한 오차를 최소화 할 수 있었다. 농도가 진한 메틸 알코올이 증류되어 나오기 때문에 혼합물의 농도는 점점 묽어졌을 것이고, 혼합용액의 끓는점도 증류수의 끓는점인 에 가까워지는 경향을 볼 수 있었다. 열 세 번째 5ml 시료를 얻어내는 순간 온도가 인 점을 보는 것만으로도 혼합용액의 농도가 굉장히 묽어졌음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은 점을 미루어 보았을 때, 실제 분별증류 과정에서 Fig. 3.처럼 온도가 급작스럽게 증가하는 부분은 의미가 없는 부분이다. 하지만 실제 공정이라면 증류수-메틸 알코올 혼합용액이 지속적으로 공급될 것이기 때문에 저러한 급작스러운 온도 상승은 볼 수 없을 것이다. 결론적으로 순수한 메틸 알코올은 아니지만 어느정도 고 농도의 메틸 알코올을 분별증류를 통해 분리하는데 성공한 실험이었다.
= the relative volatility of the more volatile component 1 to the less volatile component 2
= the vaporliquid equilibrium concentration of component 1 in the vapor phase
= the vaporliquid equilibrium concentration of component 1 in the liquid phase
= the vaporliquid equilibrium concentration of component 2 in the vapor phase
= the vaporliquid equilibrium concentration of component 2 in the liquid phase
5. 사용기호
6. 참고문헌
[1] J. M. Smith, H. C. Van Ness and M. M. Abbott, Introdution to Chemical Engineering Thermodynamics (7th edition), 316, McGraw-Hill education Korea.[2] 양성봉 외 3인, 유기화학실험, 1판, 113, 대웅, 서울 종로구 낙원동 280-1, (1990).[3] Ian Guch, 홍훈기 옮김, 쉬운 화학, 73, 교문사, (2005).[4] Peter atkinsJulio de Paula, 안운선 옮김, Chemistry Physical(8th edition), 1056, OXFORD(교보문고), (2010). [5] 한국고시회편집부, 화학공학일반, 133, 한국고시회, (2000).
추천자료
우리나라 무기 화학 공업의 현황
녹는점 측정 - 유기화학
[유기화학] 카르보닐기의 환원반응 (예비+결과레포트)
유기화학의 발달
PEET 유기화학 이론 완벽 정리
유기화학 - 알코올의 탈수[Dehydration of Alcohols]
염료 화학 공업
[유기 화학]para red의 합성
[유기 화학] Aldol condensation(알돌축합) : 디벤잘아세톤을 벤즈알데히드와 아세톤을 이용...
[식품분석화학] 사과와 귤의 유기산 정량
전자공업(電子工業)과 석유화학 공업(石油化學工業)
[유기화학] 녹는점 측정(Determination of Melting Points)
[유기화학] 알코올의 반응 : Lucas(루카스) 시약을 통해 1차, 2차, 3차 알코올의 반응과 구...
[화학 보고서] 산-염기 반응, 산화-환원 반응, 에너지와 탄화수소, 유기화합물과 고분자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