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들어가면서 - 3
Ⅱ. 강의지원 - 3
Ⅲ. 학습지원서비스 - 6
Ⅳ. 학습자 지원서비스 - 9
Ⅴ. 단점과 그 개선점 - 13
Ⅵ. 마무리 - 17
Ⅱ. 강의지원 - 3
Ⅲ. 학습지원서비스 - 6
Ⅳ. 학습자 지원서비스 - 9
Ⅴ. 단점과 그 개선점 - 13
Ⅵ. 마무리 - 17
본문내용
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각 학교의 도움을 받아 가정통신문으로 전북e스쿨사이트를 알리는 등 적극적인 홍보가 필요하며 교사와 학생의 참여율을 증가 시킬 수 있는 제도가 주어져야겠다. 그리고 이를 위해서 재정의 지원이 필요하다.
3. 사교육 중등과정 학습사이트-Mbest
1) 상업적인 사이트 운영
사교육 사이트답게 대부분의 학습자료가 유료이며 고가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정책적으로 가격상한선을 결정할 수 있겠으며, 사이트 자체적으로 저소득층 가정을 위한 제도적 지원이나, 마일리지 해택 등을 제공할 수 있겠다.
비싼 강의료와 불합리한 환불제도
Mbest는 사교육사이트답게 비싼 수강료를 요구한다. 예비 중1을 위한 2009년 국어 강의는 대부분이 육 만원이 넘으며 교재까지 합하면 칠 만원이 훌쩍 넘는다. 외고·특목고 진학을 위한 강의에서는 강의료만 십 만원이 넘는 강의도 많다. 여기에 교재 값까지 한다면 한 달에 강의를 두서너 개만 들어도 그 비용은 쉽게 감당이 되지 않는다. 또한 환불 제도도 불합리하다. 본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강좌에 대한 환불 및 변경제도는 결제 승인일로부터 10일 이내이고 맛보기 강좌를 포함하여 2강 이하로 수강한 경우에 전액 환불이 가능하다. 맛보기 강좌를 빼면 딱 한 강좌만이 남는데 한 강의를 듣고는 이 강의와 강사가 학습자 본인에게 맞는지 정확히 판정하기엔 무리가 있다. 사교육사이트라 어쩔 수 없지만 그 운영 목적에 있어 경제적인 것이 일순위이기 때문에 학생들을 물질적 수단으로 바라보는 경향이 있는 것 같다. 좀 더 교육적 철학을 띠는 목적을 가지고 학습자에게 알찬 정보와 강의를 제공하였으면 한다.
제한된 재생횟수를 가진서비스
PMP다운로드 서비스는 다운 횟수 및 재생횟수가 제한되어 있다. 또한 사이트에서 지원하는 PMP에만 재생이 되며 컴퓨터 하드에 다운은 불법으로 간주된다. 그러므로 다운을 받아 강의를 들을 경우 반복학습에 제한이 있으며, 학습기기도 지원하는 학습기기만 강의를 들을 수 있기 때문에 기존에 학습자가 가지고 있는 다른 학습기기로는 강의를 들을 수 없는 제한이 있다.
다음은 Mbest에서 제공하는 PMP서비스 관련 항목이다.
※ PMP서비스
1. 다운로드 횟수 및 파일 재생 횟수가 남아 있어야만 수강 기간동안 PMP를 통해 수강할 수 있습니다. 다운 로드 횟수 및 파일 재생 횟수가 남아 있지 않은 상태에서는, 수강기간이 남아 있더라도 PMP로는 수강할 수 없으니 이점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동일한 강의 다운로드 횟수와 재생 횟수는 다음과 같습니다.
다운로드 횟수
재생 횟수
1회
10회 재생 가능
2회
5회 재생 가능
3회
3회 재생 가능
※ 종합반 회원은 주 70회로 다운로드 횟수를 제한합니다.
2. PMP 강의를하드에 저장할 경우 불법 복제로간주되어 수강할없습니다.
① 엠베스트 메니저로 접속하여 강의를 PMP로 전송합니다.
② PMP의 강의를 PC 하드에 저장합니다.
③ 다시 PMP 메니저에 접속할 때, 기존에 PC로 저장한 강의는 기간이 만료된 강의로 표시되며 강의는 수강할 수 없습니다.
학습자지원서비스도 유료 제공
일부사이트에서 무료로 제공하는 인성검사 및 적성검사 역시 돈을 받고 제공하고 있다. 사교육사이트라 어쩔 수 없지만 그 운영 목적에 있어 경제적인 것이 일순위이기 때문에 학생들을 물질적 수단으로 바라보는 경향이 있는 것 같다. 좀 더 교육적 철학을 띠는 목적을 가지고 학습자에게 알찬 정보와 강의를 제공하였으면 한다.
2) 사이트 전체가 하나의 광고이다.
사이트를 보면 곳곳에 자신의 강의를 홍보하는 영상이나 글이 올라와있다. 그리고 대부분의 강의가 추천강의라고 지정되어 있어 어느 강의가 정말로 좋은 강의인지 알 수 없다. 그리고 맛보기 강의를 보아도 자신들의 강의를 들으면 100%성적이 오늘 것이라는 말을 하고 있다. 사이트 전체가 학습자들이 객관적으로 판단하고 들을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주관적인 홍보로 이루어져 자칫 잘못된 믿음으로 학습자들이 사이트에 의존할 수 있게 만들고 있다.
3) 교사중심과 강의 중심적 수업
Mbest는 강의 형태가 전형적인 학교 식 수업으로 교사와 칠판이 화면의 전부이다. 앞선 EBSi 같은 경우에는 강의 중간 중간 다양한 영상의 삽입이나 효과음, 학습과 관련된 자료, 컴퓨터 그래픽을 이용한 도표 등으로 강의의 내용이 다채롭다. 하지만 Mbest는 앞서 말했듯이 교사가 칠판에 판서를 하는 것이 전부이다. 몇몇 강의에서는 프로젝터를 이용하여 칠판에 PPT화면을 보여주나 카메라가 다시 그 모습을 잡은 화면을 학습자에게 제공하기 때문에 선명하지 않은 모습을 보여준다. 이에 대하여 Mbest는 기술적인 측면에서 학습자가 강의에 더 집중할 수 있고 효율적으로 학습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강의 형식의 변화가 요구된다.
Ⅵ. 마무리
세 사이트를 비교해본 결과 세 사이트 모두 자신들만의 특징을 살려 학습자를 위한 원격교육을 실시하고 있다는 것을 알았다. EBSi는 국가의 지원을 받아 사교육사이트 못지않은 다양한 컨텐츠를 제공하고 있으며 그 질도 결코 뒤떨어지지 않았다. 전북e스쿨은 학습자에게 다양한 학습지원을 서비스함으로써 수요를 이끌어 냈으며 Mbest는 다양한 컨텐츠 제공과 함께 학습지원서비스도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었다. 하지만 각 사이트마다 나름대로 한계점을 가지고 있었다. 먼저 앞선 두 공교육 사이트는 학습자지원서비스가 이루어지고는 있었으나 많은 학습자들의 글에 응하지 못하는 모습을 보였다. 전북e스쿨 같은 경우는 홍보 및 지원 부족으로 사이트가 원활히 돌아가지 못하는 모습을 보이기도 했다. 이러한 공교육사이트에 대하여 행적적 차원으로 많은 인적·재정적 지원이 요구된다. 또 사교육사이트인 Mbest는 비싼 수강료를 요구하고 있어 학습자들이 원격교육을 받는데 부담을 가질 수 있었다. 수익을 극대화하는 기업차원에서는 어쩔 수 없겠지만 교육을 행하는 기업으로써 교육의 본질적 가치를 살리며 동시에 저소득층 가정을 위한 제도가 필요하겠다. 그리고 앞의 모든 사이트는 지속적으로 변화하고 증가하는 학습자들의 요구에 발 빠르게 발맞추어 변화할 수 있는 모습이 요구된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각 학교의 도움을 받아 가정통신문으로 전북e스쿨사이트를 알리는 등 적극적인 홍보가 필요하며 교사와 학생의 참여율을 증가 시킬 수 있는 제도가 주어져야겠다. 그리고 이를 위해서 재정의 지원이 필요하다.
3. 사교육 중등과정 학습사이트-Mbest
1) 상업적인 사이트 운영
사교육 사이트답게 대부분의 학습자료가 유료이며 고가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정책적으로 가격상한선을 결정할 수 있겠으며, 사이트 자체적으로 저소득층 가정을 위한 제도적 지원이나, 마일리지 해택 등을 제공할 수 있겠다.
비싼 강의료와 불합리한 환불제도
Mbest는 사교육사이트답게 비싼 수강료를 요구한다. 예비 중1을 위한 2009년 국어 강의는 대부분이 육 만원이 넘으며 교재까지 합하면 칠 만원이 훌쩍 넘는다. 외고·특목고 진학을 위한 강의에서는 강의료만 십 만원이 넘는 강의도 많다. 여기에 교재 값까지 한다면 한 달에 강의를 두서너 개만 들어도 그 비용은 쉽게 감당이 되지 않는다. 또한 환불 제도도 불합리하다. 본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강좌에 대한 환불 및 변경제도는 결제 승인일로부터 10일 이내이고 맛보기 강좌를 포함하여 2강 이하로 수강한 경우에 전액 환불이 가능하다. 맛보기 강좌를 빼면 딱 한 강좌만이 남는데 한 강의를 듣고는 이 강의와 강사가 학습자 본인에게 맞는지 정확히 판정하기엔 무리가 있다. 사교육사이트라 어쩔 수 없지만 그 운영 목적에 있어 경제적인 것이 일순위이기 때문에 학생들을 물질적 수단으로 바라보는 경향이 있는 것 같다. 좀 더 교육적 철학을 띠는 목적을 가지고 학습자에게 알찬 정보와 강의를 제공하였으면 한다.
제한된 재생횟수를 가진
PMP다운로드 서비스는 다운 횟수 및 재생횟수가 제한되어 있다. 또한 사이트에서 지원하는 PMP에만 재생이 되며 컴퓨터 하드에 다운은 불법으로 간주된다. 그러므로 다운을 받아 강의를 들을 경우 반복학습에 제한이 있으며, 학습기기도 지원하는 학습기기만 강의를 들을 수 있기 때문에 기존에 학습자가 가지고 있는 다른 학습기기로는 강의를 들을 수 없는 제한이 있다.
다음은 Mbest에서 제공하는 PMP서비스 관련 항목이다.
※ PMP서비스
1. 다운로드 횟수 및 파일 재생 횟수가 남아 있어야만 수강 기간동안 PMP를 통해 수강할 수 있습니다. 다운 로드 횟수 및 파일 재생 횟수가 남아 있지 않은 상태에서는, 수강기간이 남아 있더라도 PMP로는 수강할 수 없으니 이점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동일한 강의 다운로드 횟수와 재생 횟수는 다음과 같습니다.
다운로드 횟수
재생 횟수
1회
10회 재생 가능
2회
5회 재생 가능
3회
3회 재생 가능
※ 종합반 회원은 주 70회로 다운로드 횟수를 제한합니다.
2. PMP 강의를하드에 저장할 경우 불법 복제로간주되어 수강할없습니다.
① 엠베스트 메니저로 접속하여 강의를 PMP로 전송합니다.
② PMP의 강의를 PC 하드에 저장합니다.
③ 다시 PMP 메니저에 접속할 때, 기존에 PC로 저장한 강의는 기간이 만료된 강의로 표시되며 강의는 수강할 수 없습니다.
학습자지원서비스도 유료 제공
일부사이트에서 무료로 제공하는 인성검사 및 적성검사 역시 돈을 받고 제공하고 있다. 사교육사이트라 어쩔 수 없지만 그 운영 목적에 있어 경제적인 것이 일순위이기 때문에 학생들을 물질적 수단으로 바라보는 경향이 있는 것 같다. 좀 더 교육적 철학을 띠는 목적을 가지고 학습자에게 알찬 정보와 강의를 제공하였으면 한다.
2) 사이트 전체가 하나의 광고이다.
사이트를 보면 곳곳에 자신의 강의를 홍보하는 영상이나 글이 올라와있다. 그리고 대부분의 강의가 추천강의라고 지정되어 있어 어느 강의가 정말로 좋은 강의인지 알 수 없다. 그리고 맛보기 강의를 보아도 자신들의 강의를 들으면 100%성적이 오늘 것이라는 말을 하고 있다. 사이트 전체가 학습자들이 객관적으로 판단하고 들을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주관적인 홍보로 이루어져 자칫 잘못된 믿음으로 학습자들이 사이트에 의존할 수 있게 만들고 있다.
3) 교사중심과 강의 중심적 수업
Mbest는 강의 형태가 전형적인 학교 식 수업으로 교사와 칠판이 화면의 전부이다. 앞선 EBSi 같은 경우에는 강의 중간 중간 다양한 영상의 삽입이나 효과음, 학습과 관련된 자료, 컴퓨터 그래픽을 이용한 도표 등으로 강의의 내용이 다채롭다. 하지만 Mbest는 앞서 말했듯이 교사가 칠판에 판서를 하는 것이 전부이다. 몇몇 강의에서는 프로젝터를 이용하여 칠판에 PPT화면을 보여주나 카메라가 다시 그 모습을 잡은 화면을 학습자에게 제공하기 때문에 선명하지 않은 모습을 보여준다. 이에 대하여 Mbest는 기술적인 측면에서 학습자가 강의에 더 집중할 수 있고 효율적으로 학습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강의 형식의 변화가 요구된다.
Ⅵ. 마무리
세 사이트를 비교해본 결과 세 사이트 모두 자신들만의 특징을 살려 학습자를 위한 원격교육을 실시하고 있다는 것을 알았다. EBSi는 국가의 지원을 받아 사교육사이트 못지않은 다양한 컨텐츠를 제공하고 있으며 그 질도 결코 뒤떨어지지 않았다. 전북e스쿨은 학습자에게 다양한 학습지원을 서비스함으로써 수요를 이끌어 냈으며 Mbest는 다양한 컨텐츠 제공과 함께 학습지원서비스도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었다. 하지만 각 사이트마다 나름대로 한계점을 가지고 있었다. 먼저 앞선 두 공교육 사이트는 학습자지원서비스가 이루어지고는 있었으나 많은 학습자들의 글에 응하지 못하는 모습을 보였다. 전북e스쿨 같은 경우는 홍보 및 지원 부족으로 사이트가 원활히 돌아가지 못하는 모습을 보이기도 했다. 이러한 공교육사이트에 대하여 행적적 차원으로 많은 인적·재정적 지원이 요구된다. 또 사교육사이트인 Mbest는 비싼 수강료를 요구하고 있어 학습자들이 원격교육을 받는데 부담을 가질 수 있었다. 수익을 극대화하는 기업차원에서는 어쩔 수 없겠지만 교육을 행하는 기업으로써 교육의 본질적 가치를 살리며 동시에 저소득층 가정을 위한 제도가 필요하겠다. 그리고 앞의 모든 사이트는 지속적으로 변화하고 증가하는 학습자들의 요구에 발 빠르게 발맞추어 변화할 수 있는 모습이 요구된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