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과학 고전 읽기-세종 원년 10월 ~ 3년 1월까지의 주요 사건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사회 과학 고전 읽기-세종 원년 10월 ~ 3년 1월까지의 주요 사건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세종 원년 10월~3년 1월
가장 흥미로운 점.

본문내용

못하는 자에게 강제로 징수하지 못하도록 함.
23日 - 일본이 국교를 끊으려고 함이 분명해지자, 일본에서 상선이 올 때에 그 일에 대해 알아오라고 명한다.
가장 흥미로운 점.
가장 흥미로웠던 점은 날씨에 관한 관심과 중요도이다. 실록에는 날씨에 대한 이야기가 빠짐없이 기록되어 있다. 비가 온 것, 번개가 친 것 상세하게 기록되어 있고, 비가 오지 않을 시엔 기우제를 지내는 등 큰 노력을 기울인다. 가뭄이 심할 시에는 금주까지 명하기도 하였고(세종 원년 5월 19일), 임금은 가뭄이 자신의 탓이라고 책임을 자신에게 전가하기도 하였다. 이러한 이유로 자연스럽게 기우제도 발달하게 된 것 같다. 지금은 찾아 볼 수도 없는 행사이지만, 옛날에는 중요한 행사로 여겨졌고, 때로는 비가 내릴 때까지 쉬지 않고 지낼 정도로 그 중요성이 컸다. 또한 반대로 장마가 계속되어도 예를 지내는 등 또 다른 노력을 기울였다. 이러한 노력들은 농사를 짓는 백성에 대한 애민 정신이 엿보이는 듯하다. 또한 이로 인해 과학도 진보할 수 있는 발판이 마련되었다. 날씨에 대한 지속적 관심은 측우기를 만들 수 있는 원동력이 되었으며 이는 지금까지도 훌륭한 발명품으로 손꼽히고 있기 때문이다.
  • 가격9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16.01.16
  • 저작시기2016.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9241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