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지만 한복처럼 민중들에게 소외되기 보다는 사랑받는 의상이다. 기모노 역시 불편하기는 마찬가지 이지만 시대에 맞춰서 현대적인 감각으로 화려하고 불편했던 옷을 간소화시켜서 현대인의 생활에 큰 지장 없이 발전시켰고 기모노가 \'동양의 신비\'로까지 받아들여지면서 새롭게 탄생하며 일본 문화를 전 세계로 전파하고 있다. 1970년대 야마모토 요지 등 일본 디자이너들이 기모노의 넓은 소매와 오비 등을 변형시킨 의상으로 파리에 진출한 이후 \'기모노 스타일\'이란 새로운 복식 형태로 자리 잡고 있다. 또, 1971년 4월 파리컬렉션에서 \"일본인이 파리를 수놓았다\"는 극찬을 받은 다카다 겐조 역시 기모노를 세계로 알린 디자이너다. 기모노의 선을 변형시킨 의상을 꾸준히 발표해 \'기모노슬리브\' 라는 용어를 패션용어사전에 실리게 했고 1997년 발렌티노를 시작으로 현대 패션 스타일로 성장했으며 1999년 장 폴 고티에는 \'저패니즘\'을 테마로 기모노를 변형한 의상과 게다, 게이샤의 머리 스타일을 연상시키는 독특한 헤어스타일도 선보여 동양의 신비를 담아낸 의상으로 세계 패션계의 주목을 받고 있다.
< 과거의 기모노> <현대의 기모노 스타일> 우리나라에도 한복을 알리려는 디자이너가 있다. 바로 이영희라는 한복 디자이너이다.
한복은 치마와 저고리가 기본이라 단순한 편이지만, 그렇기 때문에 제한적일 수밖에 없는 디자인으로 더 어렵기도 하다. 현대적 감각으로 옷을 디자인하여 아름다움을 추구하지만 그것엔 한계가 있으므로 결국 색상으로 한계를 돌파해야 한다는 것이 이영희의 생각이다. 게다가 이영희는 자연의 아름다움을 옷에다 적용 시키려고 노력했다. 그 결과는 자연염색과 재래식염색, 화학염색을 겸해 독창적인 색깔을 낼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며 따라서 직선과 원이 조화된 한복만의 선을 살리는 것으로 드러난다.
지에 실린 이영희의 작품> <컬렉션에 나온 작품들>
하지만 우리옷의 아름다움과 현대적 감각은 우리나라도 아직 실용화하지 못하고 외국에서도 그러하다 .이것을 분명히 드러내는 예가 있다. 7년 동안 준비한 93년 당시 파리 컬렉션에 진출한 우리 디자이너 이영희의 의상이 프랑스판 <마리 끌레르> 표지를 장식했다. 한복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한 붉은색의 그 의상은 그야말로 동양의 신비를 강렬하게 내뿜고 있었다. 거기까지는 좋았는데, 사진 설명에 기모노 스타일이라고 되어 있었다.나중에 정정되긴 했지만 한복에 대해 알고 있었다면 이러한 일은 벌어지지 않았을 것이다.
현재 우리 사회에서 다양한 한복을 접할 수 있는 기회가 없다는 것도 우리의 한복에 대해 다시 한번 생각해 보게 한다. 우리의 정서와 전통이 반영되어 있는 다양한 전통 의상들이 사람들에게 친숙해 질 수 있도록 우리의 한복을 접할 수 있는 기회가 좀 더 마련되었으면 한다. 이번에 미스 유니버스대회에서 우리나라의 미스코리아 진인 이하늬가 한복의 아름다움을 외국에 알리고 온 것은 현재 우리에게 귀감이 된다. 또한 드라마나 영화에 나오는 화려한 궁중 의상들이 지금 보기에도 현대의 어떠한 의상 못지않게 아름답다는 것은 대부분 사람들이 공감할 것이다. 나부터도 한복의 아름다움을 이해하고 세종대왕이 자연과의 조화를 이루고자 했던 한복의 아름다움을 다시 한 번 사람들에게 알리는 기회를 가져야 겠다.
<참고자료 >
-------------------------------------------------------------------------------------
권오창, 『조선시대 우리 옷』, 현암사.
유희경, 『한국복식문화사』, 교문사.
금기숙, 『조선복식미술』 , 열화당
민족문화추진회 싸이트
이자이너 이영희 홈페이지
네이버 검색 & 이미지
< 과거의 기모노> <현대의 기모노 스타일> 우리나라에도 한복을 알리려는 디자이너가 있다. 바로 이영희라는 한복 디자이너이다.
한복은 치마와 저고리가 기본이라 단순한 편이지만, 그렇기 때문에 제한적일 수밖에 없는 디자인으로 더 어렵기도 하다. 현대적 감각으로 옷을 디자인하여 아름다움을 추구하지만 그것엔 한계가 있으므로 결국 색상으로 한계를 돌파해야 한다는 것이 이영희의 생각이다. 게다가 이영희는 자연의 아름다움을 옷에다 적용 시키려고 노력했다. 그 결과는 자연염색과 재래식염색, 화학염색을 겸해 독창적인 색깔을 낼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며 따라서 직선과 원이 조화된 한복만의 선을 살리는 것으로 드러난다.
하지만 우리옷의 아름다움과 현대적 감각은 우리나라도 아직 실용화하지 못하고 외국에서도 그러하다 .이것을 분명히 드러내는 예가 있다. 7년 동안 준비한 93년 당시 파리 컬렉션에 진출한 우리 디자이너 이영희의 의상이 프랑스판 <마리 끌레르> 표지를 장식했다. 한복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한 붉은색의 그 의상은 그야말로 동양의 신비를 강렬하게 내뿜고 있었다. 거기까지는 좋았는데, 사진 설명에 기모노 스타일이라고 되어 있었다.나중에 정정되긴 했지만 한복에 대해 알고 있었다면 이러한 일은 벌어지지 않았을 것이다.
현재 우리 사회에서 다양한 한복을 접할 수 있는 기회가 없다는 것도 우리의 한복에 대해 다시 한번 생각해 보게 한다. 우리의 정서와 전통이 반영되어 있는 다양한 전통 의상들이 사람들에게 친숙해 질 수 있도록 우리의 한복을 접할 수 있는 기회가 좀 더 마련되었으면 한다. 이번에 미스 유니버스대회에서 우리나라의 미스코리아 진인 이하늬가 한복의 아름다움을 외국에 알리고 온 것은 현재 우리에게 귀감이 된다. 또한 드라마나 영화에 나오는 화려한 궁중 의상들이 지금 보기에도 현대의 어떠한 의상 못지않게 아름답다는 것은 대부분 사람들이 공감할 것이다. 나부터도 한복의 아름다움을 이해하고 세종대왕이 자연과의 조화를 이루고자 했던 한복의 아름다움을 다시 한 번 사람들에게 알리는 기회를 가져야 겠다.
<참고자료 >
-------------------------------------------------------------------------------------
권오창, 『조선시대 우리 옷』, 현암사.
유희경, 『한국복식문화사』, 교문사.
금기숙, 『조선복식미술』 , 열화당
민족문화추진회 싸이트
이자이너 이영희 홈페이지
네이버 검색 & 이미지
키워드
추천자료
민영화의 장·단점 및 국가 기간산업의 민영화 정책
시장경제와국가경쟁력분석
한국기업의 국가경쟁력 제고방안
최고 경영자의 리더쉽
21세기 한국의 국가전략
세종처럼- 저자가 말하는 핵심내용과 그 감상을 중심으로.
글로벌화에 따른 다양성 경영
국가경쟁력의 정의, 국가경쟁력의 변화요인, 국가경쟁력의 체계, 국가경쟁력의 지표, 국제경...
세종대왕의 리더십
[경쟁력, 대외경쟁력]경쟁력과 대외경쟁력, 세계경쟁력, 경쟁력과 국제경쟁력, 국가경쟁력, ...
[산업경쟁력, 산업입지정책, 산업단지, 사업구조조정]산업경쟁력과 산업입지정책, 산업경쟁력...
유럽의 기업문화-독일을 중심으로-,포드, BMW, 도요타 마케팅사례,독일 문화,지역주의와 국가...
탐스와 남양유업의 기업윤리와 인권경영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