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사회복지실천에서 상담의 정의
2. 본인이 내방자와 사회복지사라고 가정하고 일인이역을 통한 현재 고민거리 해결
3. 해결방안에 대한 평가
Ⅲ 결론
Ⅳ 참고문헌
Ⅱ 본론
1. 사회복지실천에서 상담의 정의
2. 본인이 내방자와 사회복지사라고 가정하고 일인이역을 통한 현재 고민거리 해결
3. 해결방안에 대한 평가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사람에게는 이러한 전문용어 사용은 자칫 거부감이 발생할 수 있어 마음에 와 닿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내방자는 남편이 가족상담에 응하지 않고 있다고 하였는데 해결방안으로 건강지원센터 등에서의 프로그램 참가를 권유하고 있다. 즉 남편을 어떻게 상담에 임하게 할 수 있을 지에 대한 방법이 흠결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해결방안은 근본적인 문제해결에 미흡한 것이라 평가할 수 있겠다.
Ⅲ 결론
이상과 같이 본인이 내방자(방문자 혹은 클라이언트)와 사회복지사라고 가정하고 일인이역을 통하여 현재의 고민거리 중 하나를 선택하여 해결방안에 대해 살펴보았다. 위 상담에서 잘한 점은 사회복지사가 비약해서 결론을 유도하지 않고 내방자가 안정되게 면담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하는 분위기를 유도하였다는 것이다. 하지만 남편에 대한 적극적인 상담참여 방법에 대해 해결방안을 제시하지 않아 내방자 입장으로서는 근본적인 문제 해결에 다가설 수 없었다는 문제점을 내포한 상담이었다고 평가할 수 있겠다.
Ⅳ 참고문헌
- 엄명용외, “사회복지실천의 이해”, 학지사, 2008
- 김기태외, “사회복지실천론”, 양서원, 2006
- 장수미외, “사회복지실천기술론”, 학지사, 2011
Ⅲ 결론
이상과 같이 본인이 내방자(방문자 혹은 클라이언트)와 사회복지사라고 가정하고 일인이역을 통하여 현재의 고민거리 중 하나를 선택하여 해결방안에 대해 살펴보았다. 위 상담에서 잘한 점은 사회복지사가 비약해서 결론을 유도하지 않고 내방자가 안정되게 면담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하는 분위기를 유도하였다는 것이다. 하지만 남편에 대한 적극적인 상담참여 방법에 대해 해결방안을 제시하지 않아 내방자 입장으로서는 근본적인 문제 해결에 다가설 수 없었다는 문제점을 내포한 상담이었다고 평가할 수 있겠다.
Ⅳ 참고문헌
- 엄명용외, “사회복지실천의 이해”, 학지사, 2008
- 김기태외, “사회복지실천론”, 양서원, 2006
- 장수미외, “사회복지실천기술론”, 학지사, 2011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