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 건축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중국의 건축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중국건축소개
Ⅱ. 중국건축의 특징
Ⅲ. 중국 건축의 발전단계
Ⅳ. 중국건축과 한국건축의 특성비교
◉ 참고도서 및 참고 site

본문내용

황이 육국을 멸하고 중국 역사상 최초의 중앙 집권적 봉건제국을 세워 대규모의 건축활동을 시작하였다.
5.불교건축의 흥성
진(晉)의 창건과 동진(東晉)의 남천(南遷)으로부터 남북조(南北朝)시대에 이르기까지 316년간은 전쟁이 빈번하여 농업생산이 황폐화 되었지만 건축에는 적지 않은 변화가 있었다.
즉 도시의 계속적인 건설과 궁궐의 건축 이외에 불교건축이 대량으로 흥성하였다.
6.계획화된 도성 - 장안(長安)성
수대는 남북의 분열을 마무리 짓고 35년간 유지 되었으나, 이 짧은 기간 동안 남쪽의 항주에서 시작하여 북방의 탁군에 이르는 남북을 관통하는 1790킬로의 대운하를 건설하였고, 장안 · 낙양 · 강소 등지에 호화롭고 사치스러운 궁전과 원림을 지었다.
장안성은 수대의 대흥성의 기초위에 계속 번영하여 당시 세계 최대의 규모와 엄격한 규획 하에 이루어진 도성이다. 8000여ha의 토지 위에 궁전 · 아서 · 방리 · 시장 · 묘우 ·수도 등의 건축과 시설을 계획하여 배치하였고, 정제되고 계획된 도로계통이 분명하였다.
7.도시건축의 발달
송대(宋代)는 농경면적의 확대, 수리 관개의 개선, 수공업의 분화가 이루어지고, 국내상업과
국제무역이 상당히 활발해짐으로써 중소도시의 수가 이전보다 증대했고 도시 생활도 더욱 번창하였다.
8. 자금성의 건축
9. 조원(造園) 예술의 발달
Ⅳ. 중국건축과 한국건축의 특성비교
우리건축의 특징도 잘 알지 못한 채 중국의 건축을 알려고 한 것이 무리가 있는 듯싶다. 그래서 이 두 나라의 공통된 주제로 특징을 비교하면 이해하기에 도움이 될 것 같아 몇 가지의 세부적인 점을 알아보려고 한다.
1. 기거양식(起居洋式)
중국의 주거 건축은 입식생활을 하므로 좌식생활을 하는 한국의 주거건축과는 여러 면에서 다르게 나타난다. 입식생활은 의자와 탁자, 침대, 가구 등이 자리 잡아 수용인원이 집기에 따라 한정되는 대신에 실의 크기는 보다 커져야 하는 공간적 특성을 가지고 있다. 중국에서 각 실의 공간 배치 특성을 보면 거실, 응접실, 식사실, 부엌 등 공용부분은 1층에 위치시키고 큰 주택에서는 실이 독립적이고 개방적인 공간 구성을 보이고 있으나 소규모 민가건축에서는 여러 용도를 겸용하고 있다. 또한 2층형 주거가 주된 주택형식으로 현재의 농가주택은 거의 2층으로서 1층에는 공공부분을 두고 2층에는 침실을 배치하고 있다.
반면, 한국의 전통적인 주택에서 2층 주택이 거의 없다는 점은 큰 차이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중국건축에서는 1층과 2층에 사용하는 재료에서도 차이를 두고 있는데 1층 바닥에는 전(塼)을 깔아 포장을 하고 2층에는 마루를 깔고 다시 침상을 둔다.
이와같은 기거양식의 차이는 의자식과 좌식의 차이로 인해 나타나는 것으로 의자식은 실의 겸용이 어렵고 융통성이 적으며 신발을 신고 생활하는 착화방식과 좌식의 탈화방식은 근본적으로 상반되는 특성차이를 나타내고 있다.
2. 건물배치
중국 민가건축에서는 겹집이 많고 대규모 저택에서는 독립된 건물동을 평행으로 배치하고 건물동 사이에 조그마한 뜰을 두고 있다. 건물과 뜰이 앞뒤로 계속 중첩 반복되는 시루떡 같은 방식이 일반화 되어 있다. 이는 한국의 민가건축에서 마당과 뜰을 에워싸는 ㄱ자, ㄷ자, ㅁ자의 배치방법과는 전혀 다르다.
3. 공간의 폐쇄성
중국건축은 외부에 대해 극히 폐쇄적이다. 우리들은 흔히 기후가 온난한 지역은 개방적인 공간구성을, 추운 북방지역에서는 극히 폐쇄적인 공간구성을 하는 것으로 이해하고 있다. 이는 비교적 온화한 동남부지역의 자연환경 조건보다는 인문사회적 요인에 따른 영향이 큰 것으로 해석된다. 평야지대인 중국에서는 자연지형의 요새를 활용할 수 없으므로 마을이나 개별 주택별로 방어적인 보호장치를 할 필요성이 크기 때문으로 여겨진다. 이에 반하여 한국에서는 구릉지가 많고 크고 작은 강과 하천이 많으며 능선으로 된 방어의 길목이 많아 마을이나 주택에는 비교적 개방적 공간구성을 할 수 있으므로 한국민가에서는 담의 높낮이가 낮을 뿐 아니라 방어적인 목적보다는 외부공간의 구획수단으로 허전함을 줄이고 시각적 보호, 경계의 표시, 가축의 관리 등의 필요성을 보다 중요하게 생각하여 낮은 담장으로 구획하고 각 건물은 개방된 마당으로 쉽게 연결되도록 되어 있는 것이다.
4. 구조와 재료
중국민가 건축은 대부분 조적조와 목조가 혼합된 구조로 되어 있다. 즉, 외벽은 거의 조적조로 되어 있으며 전후면 및 대부간살은 목조로 되어있다. 지붕은 모두 기와로 덮여 있는데 암수기와의 구별 없이 혼용하는 경우가 많고 단위기와의 길이가 짧으므로 매우 많이 겹치게 되어 두툼한 의장효과를 나타내고 있다. 바닥은 돌(화강석)로 규격화하여 포장하고 있으며 대형판석을 사용하는가 하면 도자기 파편으로 모자이크로 장식한 경우도 있으며 대규모 건조물에서부터 소규모 민가건축에 이르기까지는 물론 유명한 황산의 등산로에도 빠짐없이 모두 멀리서 운반, 가공한 돌이 깔려있다. 즉 , 바닥은 매우 철저하게 포장하고 있다.
한국의 민가는 마당이 흙바닥이며 바닥을 석재로 포장하는 경우는 극히 이례적(고궁의 중심마당)이다.
Ⅴ. 맺음말
건축을 전공하고 있긴 하지만 중국 건축에 대해서는 전혀 아는 바가 없는 문외한이기 때문에 중국 건축을 다른 비전공자에게 설명하기란 쉽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오히려 내가 이렇게 몇 자를 옮겨 말하는 것보다, 직접 중국에 가서 그 땅을 밟고 그들의 건축물을 눈에 담아봤던 이들에게 더 쉬웠을 내용인 것 같다.
이번 준비를 통해서 오히려 내가 더 공부할 수 있었던 시간이 되었던 것 같아서, 미약하고 부족하기 이를 데 없어서 부끄럽지만 내겐 매우 유익한 시간이 되었다.
그래서 어쩌면 건축파트에 대해서 발표하기로 생각한 게 아닌가 한다.
참고도서 및 참고 site
- 중국 고건축 기행1, 러우칭시 저, 이주노 옮김, (주)북 21컬처라인, 2000
- 중국 고전건축의 원리, 리원허 저, 이상해외 3인 옮김, 시공사, 2000
- 넓게 본 중국의 주택 / 깊게 본 중국의 주택
손세관 저, 열화당 미술책방, 2001
- (건축잡지) plus 96년 10월판, plus 97년 6월판
- (건축잡지) 建築 97년 8월판
  • 가격1,6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16.01.22
  • 저작시기2016.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9277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