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상심리학] 정신장애의 발생 - 정신장애의 원인(소인, 유인), 증상의 발생과정(스트레스, 대응전략, 방어기제), 증상의 형성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이상심리학] 정신장애의 발생 - 정신장애의 원인(소인, 유인), 증상의 발생과정(스트레스, 대응전략, 방어기제), 증상의 형성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목차

1. 정신장애의 원인
1) 소인
2) 유인

2. 증상의 발생과정
1) 스트레스
2) 대응전략
3) 방어기제

3. 증상의 형성

참고문헌

본문내용

거나 주 공격적이고 지배적인 모습을 지니게 되는 경우다.
(5) 합리화
합리화(rationalization)는 자주 사용되는 방어기제의 하나로서 자신이 지니고 있으면서도 받아들이고 싶지 않은 충동이나 행동 또는 개인적 결함을 정당화시키기 위하여 사회적으로 용납되는 그럴듯한 설명이나 이유를 대는 것이다. 이는 주로 죄책감을 막고 자존심을 유지하며 비판에서 스스로를 보호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예를 들어, 무슨 일로 매우 화가 나 있는데 아이가 잘못된 행동을 하면 이미 매우 화가 나 있는 부모는 아이가 잘못한 것 이상으로 처벌을 내릴 수 있다. 이 경우 이성적이지 못했던 자기 행동에 대한 인식으로 "아이를 강하게 키우려면 때려야 한다.“면서 어른스럽지 못한 자신의 행동을 무마시킨다든가, 너무 많은 돈을 주고 산 옷 때문에 심리적으로 불편한 경우 "비싼 것이 제값을 한다.”고 말하는 것이다.
(6) 대치
얻고자 하는 목적이 좌절되었을 때 다른 것으로 대신하여 만족을 얻는 것을 대치(substitution)라 한다. '꿩 대신 닭’이라든가 '실연당한 사람들이 음식물을 과하게 섭취하는 경우’가 이에 속한다.
(7) 전치
중립적이며 위협적이 아닌 목표물을 향해서 긴장을 해소하거나 또는 증오감을 표현하는 것을 전치(displacement)라 한다. "동쪽에서 뺨 맞고 서쪽에서 화풀이한다.“는 속담처럼 부모에 대해 불만이 많은 형이 동생을 때리며 못살게 군다거나 직장에서 상사에게 자존심이 상한사람이 집에 와서 식구들에게 화를 내는 경우다.
(8) 투사
자기 자신이 지니고 있으면서 자신이 받아들일 수 없는 충동이나 속성을 타인의 것으로 돌리거나 자신의 실패를 타인의 탓으로 여기는 것을 투사(projection)라 한다. 이유 없이 어떤 사람이 매우 싫을 때 그가 자기를 몹시 미워하기 때문에 자신이 그를 싫어한다고 이야기하는 식의 행동에서 볼 수 있다. 착각, 환각은 투사에 의한 현상이다. 또한 관계망상, 피해망상 등을 비롯한 여러 가지 망상형성도 투사에 의해 야기된 기제이기도 하다.
(9) 상징화
억압된 생각이나 충동 또는 소원을 어떤 표상으로 전치시키는 것을 상징화(symbolization)라 한다. 즉, 상징화는 무의식의 언어라고 볼 수 있다. 꿈, 공상, 신화, 농담 등도 상징화의 가장 흔한 예가 된다. 보편적 상징이란 많은 사람들에게 공통적으로 존재하는 상징을 말하는데, 예를 들어 길게 팽창하는 것이나 뱀 등이 남근을 상징한다는 것 등이다.
(10) 분리
고통스러운 불안을 일으키는 느낌을 막아 내기 위하여 감정을 경험하지 않으면서 또는 냉정한 태도를 취하면서 외상적 사건을 기억해 내는 것을 분리(detachment)라 한다. 심하게 구타당한 아내가 그 구타행동들을 담담하게 마치 자신이 경험한 일이 아닌 듯 말하면서 그때 겪었던 분노와 공포의 감정은 못 느끼는 경우다.
(11) 부정
엄연히 존재하는 위험이나 불쾌한 현실에 눈을 감음으로써 불안을 회피하고 편안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부정(denial)이라 한다. 따라서 이 기제는 자아기능을 분리시킴으로써 나타난다. 예를 들어, 불치병에 걸렸다는 이야기를 들은 후 의사의 진단을 오진이라며 자기 병을 부정하는 경우다.
(12) 승화
원시적이 고용납되지 않는 충동을 충분히 해결하지 못할 때 그 충동에 내재되어 있는 에너지를 변형시켜 사회적으로 용납되는 건설적이고 유익한 목적으로 표출시키는 기제를 승화(sublimation)라 한다. 방어기제 중 가장 건전하고 바람직한 기제다. 승화는 각종 예술, 문화, 종교, 과학 및 직업적 성취를 통해서 나타난다.
(13) 고착과 퇴행
어떤 스트레스에 부닥칠 때 인격발달과정이 중단된 상태를 고착(fixation)이라 한다. 또한 그 스트레스와 상관없는 그 이전의 어린 단계로 되돌아가는 것을 퇴행(regression)이라 한다. 대개 퇴행하게 되는 그 단계를 바로 고착된 단계로 본다. 좋은 예로 소변을 잘 가리던 아이가 동생이 태어난 이후다시 소변이나 대변을 가리지 못하는 경우를 들 수 있다.
(14) 해리
인격의 부분들 간에 의사소통이 잘 이뤄지지 않을 때 괴롭고 갈등을 느끼는 인격의 일부분을 다른 부분과 분리시키는 것을 해리(dissociation)라 한다. 예로서 한 사람 안에서 여러 인격을 보이는 이중인격 또는 다중인격, 몽유병 등을 들 수 있다.
(15) 반복강박
경험으로 배우지 못하고 계속 일정한 병적 행동양상을 반복하는 것을 반복 강박(repetition compulsion)이라 한다. 이는 무의식이 주로 행동을 결정하기 때문이다. 미숙한 자아는 실패를 거듭하면서도 같은 행동양상을 되풀이하기 쉽다. 예를 들어, 구타당하고산 여인이 이혼 후에 다시 때릴 가능성이 많은 남자에게만 매력을 느낀다든지, 계속 결혼에 실패하는데도 전과같이 알코올 중독자와 결혼하는 경우다.
3. 증상의 형성
정신역동적 이론에 의하면 본능적 욕구가 좌절되면 불안이 생기고, 불안을 외적인 환경변화나 대응전략의 방법으로 해소하지 못하게 되면 심리 내적인 방어기제를 동원하게 된다고 한다. 즉, 불안과 그에 따른 방어기제에 의해 증상이 나타나는 것이다. 증상도 스트레스에 대응하려는 자아의 노력이라는 것을 간과해서는 안 된다. 그러나 적응적이지 않은 방향으로의 시도는 사람은 병이 들게 된다. 즉, 스트레스가 감당할 수 없을 정도로 크게 되면 이에 압도되고 무력해지며 불안이 심해져 대응전략을 사용하는 데 실패하고, 그 결과 미숙한 여러 방어기제를 통해 회피하다가 신경중과 정신병으로 가게 된다. 잘못된 적응상태에서 물질남용에 빠지거나 인격장애를 보일 수도 있다. 그러나 이것도 자기 나름대로는 스트레스 이전의 편안했던 상태로 돌아가고자 하는 시도로 볼 수 있다. 정신장애란 결국 적응이 잘못된 결과다.
참고문헌
권석만 저, 현대 이상심리학, 학지사 2013
김청송 저, 사례중심의 이상심리학, 싸이북스 2015
김명희 저, 아동 청소년 이상심리와 상담, 교문사 2013
천성문, 김진숙 외 저, 심리치료와 상담이론 개념 및 사례, CengageLearning 2013
윤순임 저, 현대상담 심리치료의 이론과 실제, 중앙적성출판사 2011

추천자료

  • 가격2,5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16.01.22
  • 저작시기2016.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9287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