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리학과 심리치료] 가족치료에 대한 개관적 이해(철학적 전제, 성격모델, 건강모델, 이상모델, 심리치료모델)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심리학과 심리치료] 가족치료에 대한 개관적 이해(철학적 전제, 성격모델, 건강모델, 이상모델, 심리치료모델)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목차

1. 철학적 전제와 성격모델
2. 건강모델
3. 이상모델
4. 심리치료모델

참고문헌

본문내용

262)에 따르면, 이런 접근은 부부 갈등이 심각하거나 자녀들이 서로 경쟁하거나 세대 간에 갈등이 있거나 관계상의 어려움이 있을 때 가장유용하다. 한 명이상의 구성원이 파괴적이거나 폭력적이거나 심리적으로 취약한 경우에는 가족 전체가 상담하러 모이는 것은 바람직하지 못한 것 같다.
가족치료사들이 채택하는 방식은 서로 다르지만 치료의 일차적인 목표에 따라 그 방식이 결정되는 경향이 있다. 정신의학증진그룹(Group for the Advancement of Psychiatry: GAP 1970)의 자료에 의하면 가장 중요한 치료 목표는 의사소통의 개선과 자율성과 개별화다. 그 다음으로 중요한 목표는 공감능력의 증진, 유연한 리더십 스타일, 합의된 역할 분담의 개선, 갈등의 감소, 그리고 개인적인 증상의 개선과 임무 수행 능력의 개선이다. 모델에 따라서 가족 과정보다 개인의 정신역동성을 강조하기도 한다. 그와 같은 모델에 속한 치료사는 역할모델, 촉진자, 교사, 또는 변화 추진자의 역할을 한다. 평가 강조에서도 모델별로 상당히 차이가 있다. 평가가 필수적이며 유용한 것이라고 보는 모델이 있는가 하면 평가를 잠재적으로 파괴적이며 방해적인 것으로 간주하는 모델도 있다. 일부 치료사들은 창의적이면서도 새로운 평가 전략을 개발하기도 하였다(예 Haley 1976).
당혹스러울 만큼 많은 개입 방안들이 가족치료 관련 저술과 자료에 등장해왔다. 빌스와 퍼버(Beels & Ferber 1969)가 표현하였듯이 일부 가족치료사들은 비지시적이며 수동적인 태도를 취함으로써 반응기 같은 역할을 하는 반면에 다른 치료사들은 모든 치료 단계에서 매우 능동적이며 지시적이어서 지휘자 같은 역할을 한다. 후자에 속하는 가족치료사들이 더 창의적이며 혁신적인 기법들을 많이 개발한 것이 사실이다. 일반적으로 후자에 속하는 이들은 치료 과정에서 내담자 가족을 협력자로 보기보다는 가족에게 직접 개입하여 치료한다. 이 접근의 전제는 가족시스템은 역기능적인 항상성을 유지하려는 비합리적인 실체이기 때문에 그 시스템과 합작하여 치료한다는 것은 별로 유익하지 않다는 것이다.
가족치료기법 중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며 자주 논란을 야기하는 것 중의 하나는 '재구성하기’ 다. 이는 문제 증상을 새로운 시각으로 해석하는 기법이다. 예를 들면, 부모에게 불안을 호소하는 자녀가 실은 부모의 부부 간의 해결하지 못한 갈등을 분산시키는 역할을 한다며 아이에게 감사하라고 말하는 경우다. 두 번째 기법은 '증상 처방법’으로, 가족들이 가장 파괴적으로 다틀 가능성이 큰 늦은 저녁 시간에 말다툼 시간을 약속하여 의식적으로 다투라고 요구하는 것이다(Deschenes & Shepperson 1983). 증상 처방법은 '역설적’ 치료기법의 한 형태인데 이 장의 마지막 부분에서 다룰 것이다. 세 번째 기법은 '메타포’와 '비유’를 창의적으로 이용하는 기법이다. 가족구성원 각자가 자신을 규정하는 새로운 '이야기’를 만듦으로써 가족 내에서 자신이 맡는 기능을 새롭게 이해하는 것을 지향한다(Boghosian 1983). 마지막으로, '가계도’ 를 시용하는 기법은 가족 구성원들의 현재 관계에서 고질화된 문제 패턴이 어떤 식으로 반복되는지를 도형으로 묘사한다(Goldenberg & Goldenberg 1985).
가족치료 운동은 지난 50여 년에 걸쳐서 매우 성장해왔다. 대부분의 가족치료사들은 개인 상담 접근을 하던 이들이었으며 따라서 개인 심리치료적인 관점을 가족시스템적인 관점의 이론과 실제에 통합시켰다. 많은 가족치료사들은 가족치료가 효과적이며 효율적인 치료라는 신념이 있지만, 이론적인 기반이 그렇게 확고하지 못하다고 보는 것이 공정한 평가일 것이다(Bednar, Burlingame & Masters 1988). 하지만 어떤 문제를 다룰 때 가족시스템을 치료 대상으로 보고 개입한다는 가족치료의 개념은 직관적이면서도 본연적으로 매우 설득력이 있다. 가족 구성원들이 원가족에 대한 느낌을 직면하며, 혼란스럽게 얽힌 관계에서 자유롭게 되며, 자신의 필요와 원하는 것을 직접적이면서도 분명하게 의사소통할 수 있게 되는 경우에 가족치료의 개념은 특히 더 매력적이다(Korchin, 1976).
지난 50여 년에 걸친 가족치료의 성장과 발달은 심리치료 이론 및 실제와 연구의 흐름을 가장 뛰어나게 관찰한 학자들에게까지 깊은 인상을 남길 정도였다. 이 성장은 1979년에 결성된 미국 결혼 및 가족치료사 협회(AAMFT) 등의 협회 전문가들이 배 이상으로 증가한 사실과 Family Process와 같은 전문 저널과 서적, 그리고 정신 건강 전문가들의 정기 총회 모임에서 발표되는 논문들의 수가 증가한 것에서 더욱 분명하게 드러난다. 1989년에 결혼 및 가족치료는 미국 보건사회부로부터 정신의학, 심리학, 사회사업학, 그리고 간호학과 더불어 '핵심’ 정신 건강학문의 한분야로 인정받는 수준까지 성장하였다.
패러다임 변환을 시도하는 단계에서 예측할 수 있는 현상으로 많은 치료모델이 넘쳐나고 있다(Jacobson 1985). 가족치료분야에서 공통적인 이론배경이나 임상적 평가와 치료 전략의 핵심 레퍼토리나 또는 질적 수준이 높은 과정이나 결과에 대한 리서치를 위하여 다른 심리치료 전통들과 상호 작용하는 특정 모델들을 옹호하는 이들을 보기가 어렵다는 것은 안타까운 일이다. 프로카스카(Prochaska 1984)의 파악대로, 가족치료사들이 출판물이나 강연을 통해서 가족치료의 방법과 기법은 매우 다양한 문제를 지닌 집단이나 사람들에게 적용될 수 있다고 주장하는 것은 너무나 흔한 일이다. 따라서 규모가 점점 커지는 가족치료 운동이 합리적인 수준의 책임성이나 의견 수렴을 하려고 한다면 비교 연구 방법을 도입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참고문헌
권석만 저, 현대 심리치료와 상담이론, 학지사 2012
천성문, 김진숙 외 저, 심리치료와 상담이론 개념 및 사례, CengageLearning 2013
윤순임 저, 현대상담 심리치료의 이론과 실제, 중앙적성출판사 2011
에릭 존슨 저, 심리학과 기독교 어떤 관계인가, 부흥과개혁사 2012
샹 양 탠 저, 상담과 심리치료(기독교적 관점), 이레서원 2014

추천자료

  • 가격2,5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16.01.22
  • 저작시기2016.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9288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