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독교와 심리치료] 실존주의치료에 대한 기독교적 평가(철학적 전제, 성격모델, 이상모델, 건강모델, 심리치료모델)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기독교와 심리치료] 실존주의치료에 대한 기독교적 평가(철학적 전제, 성격모델, 이상모델, 건강모델, 심리치료모델)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목차

1. 철학적 전제와 성격모델
2. 이상모델
3. 건강모델
4. 심리치료모델

참고문헌

본문내용

향한 행동과 건전한 관계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것만큼 강조되어야 한다. 마찬가지로 자신의 외부에 존재하는 영이신 하나님께 기반을 두면서 자신의 역사와 유산이 중요하다는 것을 인식해야 할 것이다.
임상가들의 저술에는 실존주의 치료가 지닌 장점과 단점을 평가하면서 공통적인 주제가 나온다. 널리 사용되는 타당도 방법에 의해서 평가된 효과성이 증명된 것이 별로 없기 때문에 실존주의치료를 직관적으로는 설득력이 있는 접근이나 태도라고 보지만 심리치료 이론으로 간주하지 않는 이들도 있다. 실존주의치료는 개입치료 면에서는 구체적인 도움을 거의 주지 못하고 있다. 명료화된 상담 과정 모델이 없는 실존주의치료는 어떤 식으로 해도 관계없다는 무질서 상태로 이어질 수 있다. 메이(May 1961) 자신조차 초기 저술에서 이 점을 우려하였다.
실존주의치료에 내재된 과학철학은 어느 정도의 비합리주의나 유아(唯我)론으로 이어질 수밖에 없다. 이것은 치료사의 경험이나 내담자의 경험의 상대적 가치를 측정할수 있는 아무런 '객관적’ 방법이 없다는 딜레마를 야기한다. 놀크로스(Norc腿 1987, 63)는 다음과 같이 경고하였다: “앞으로 실존주의치료는 무엇이든지 더 능동적이거나 긍정적인 면에서 설명하려는 노력을 해야 한다. 동시에 실존주의치료의 정체성은 일관성이 있으면서도 유용한 이론적 구조에 확고하게 뿌리를 내려야 한다. 더 중요한 사실은 실존주의치료사들의 임상 활동을 치료 과정과 성과라는 특정한 참조점을 염두에 두고 연구해야 한다는 점이다.”
부젠탈(Bugental 1978)은 이 도전을 어렵지만 불가능한 것은 아니라고 본다. 진지한과학적 평가를 어떤 형태로든지 하는 것을 거부하는 실존주의치료는 그것이 지닌 독특한 강조점을 진지하게 연구하려고 할 때 어떻게 접근하는 것이 가장 좋은지 연구자로 하여금 헤매게 한다. 인간성의 깊은 차원을 측정하는 검사지나 측정법을 개발하는 데 열심히 노력하며 창의적으로 노력할 필요가 있다.
정신역동치료사들은 실존주의치료가 복합적인 정신역동을 제대로 다루지 못한다고 비판한다. 특히 치료사와 내담자사이에서 일어나는 복합적인 관계의 역동성이 지닌 결정적인 중요성을 다루지 못한다고 비판한다. 개인적인 차원에서 증상에 대한 책임성과 공동체 차원에서 사회질서를 위한 책임성에 있어서 자유와 선택은 분명히 한계가 있다. 인간은 특히 삶의 법칙을 선택할 때 극단적으로 자유로워서는 곤란하다. 그 결과는 혼란뿐이다(Prochaska 1984). 일반적인 실존주의치료는 이를 악물고 견디라는 것 외에 더는 위로를 제공하지 못하면서 고뇌와 절망과 죽음에 너무 관심을 둔다고 비평하는 이들도 있다.
현상 세계의 중요성에 대해서 실존주의치료가 강조한 부분은 일부 긍정적으로 평가할 수 있다. 많은 영미(英美) 심리학 이론들은 지나치게 객관적이며 결정론적이거나 '주체’ 또는 ‘주관성’에게서 유리되어 있다(Van Leeuwen 1985). 그러나 실존주의치료는 경험을 인식하는 것과 "현재적’ 경험의 중요성을 과장하는 위험성이 있다(Korchin 1976). 현재 시점에서의 정체성은 과거의 경험을 반영하는 정체성이라는 사실을 무시하는 비역사적 편견의 위험성을 실존주의치료는 분명히 갖고 있다. 과거에 어떻게 대응해왔는지에 깊이 인식하며 더 효과적으로 적응하는 데 필요한 기술과 감수성을 깊이 인식하게 될 때 매일의 삶이 요구하는 것을 처리할 능력은 분명히 향상될 수 있다.
학자들과 내담자들, 상담사들과 연구자들에게 실존주의치료의 핵심 개념을 더 설득력 있게 만들기 위해서는 많은 노력이 필요하다. 이 치료법은 정신장애와 정서장애가 다양한 모습으로 존재하는 반면 이 같은 장애들에 대한 실존주의치료의 치료적 적용성은 매우 제한적이라는 점에 솔직할 필요가 있다. 하지만 얄롬(Yalom 1980)과 부젠탈(Bugental 1978)은 실존주의치료의 핵심 개념이 대부분의 심리요법에 쉽게 연결될 수 있는 강력한 이론이라고 주장하였다.
실존주의치료에서 치료사는 놀랄 만큼 중요한 역할을 한다. 에반스(Evans 1989)의 지적대로 '산파’의 역할 또는 키르케고르의 표현대로 '이상적 산파’의 역할이다. 기독교상담사들은 내담자가자기 관심을 발달시켜 기독교 복음을 실천하며 살아갈 수 있도록 도울 수 있기를 원할 것이다.
각자의 마음에 믿음을 주시는 분은 오직 하나님이시지만 기독교상담사는 어떻게 하면 자신을 통해 내담자가 하나님을 만나게 될 수 있는지를 배워야 한다. 균형 잡힌 실존주의치료는 인간의 가장 근본적 임무가 원자기(Self), 즉 하나님께 뿌리를 박은 자기가 되며 성장해가는 것이라는 점에 각자가 제한된 이해를 한다는 사실이 삶의 문제점의 일부라는 것을 깨닫게 해주는 장점이 있다. 그리스도와 진지하게 직면하는 것은 자신이 누구이며 어떤 사람이 되어야만 하는지에 깊은 통찰을 제공할 것이다. 그 통찰과 인식이 사랑하는 관계와 어우러지며 행동에 대한 강한 강조와 어우러질 때 실제적이며 지속적인 변화가 가능하다(Benner 1988).
그러나 이 마지막 장점은 아울러 단점이 될 수 있다. 실존주의치료사는 치료사로서의 경계선을 넘어서는 역할을 맡는 것은 아닐까? 내담자가 진정성을 출산하도록 하는 산파의 역할을 감당하면서 실존주의치료사는 목회자의 영역으로 너무 깊게 발을 들여놓은 것은 아닐까? 실존주의치료사들은 심리적인 상처를 싸매며 고통을 경감시키는 일상의 목표를 넘어서서 전통적으로 종교적 영역이라고 간주해오던 것까지 포함하는 영역에서 자기를 발달시키는 목표를 지향하는 데 이미 발을 들여놓았다. 이 상담 활동에 대하여 종교계에게 합법적으로 위임을 받았는가? 치료사의 역할은 어디에서 끝나야 하는 것일까? 그리고 영적 지도자의 역할은 어디서부터 시작해야할 것인가?
참고문헌
권석만 저, 현대 심리치료와 상담이론, 학지사 2012
천성문, 김진숙 외 저, 심리치료와 상담이론 개념 및 사례, CengageLearning 2013
윤순임 저, 현대상담 심리치료의 이론과 실제, 중앙적성출판사 2011
에릭 존슨 저, 심리학과 기독교 어떤 관계인가, 부흥과개혁사 2012
샹 양 탠 저, 상담과 심리치료(기독교적 관점), 이레서원 2014

추천자료

  • 가격2,5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16.01.22
  • 저작시기2016.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9288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