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테스코 홈플러스 기업소개
(1) 홈플러스 기업선정배경
(2) 기업슬로건
(3) 홈플러스 기업개요
(4) 기업문화
(5) 홈플러스 현재상황
2. 홈플러스 글로벌 경영전략 연구
(1) 철저한 현지화 전략
(2) 가치 중심경영
(3) 품질관리전략
(4) 사회공헌활동
(5) 물류전략
3. 테스코의 한국 시장 진출 전략
4. 홈플러스 SWOT 분석
5. 홈플러스 STP 분석
6. 홈플러스 마케팅믹스 4P전략
7. 홈플러스 마케팅전략
(1) 서비스마케팅 전략
(2) 부부상대 마케팅전략
(3) 가격차별화 전략
(4) 고객관리전략 (CRM전략)
8. 결론
(1) 홈플러스 기업선정배경
(2) 기업슬로건
(3) 홈플러스 기업개요
(4) 기업문화
(5) 홈플러스 현재상황
2. 홈플러스 글로벌 경영전략 연구
(1) 철저한 현지화 전략
(2) 가치 중심경영
(3) 품질관리전략
(4) 사회공헌활동
(5) 물류전략
3. 테스코의 한국 시장 진출 전략
4. 홈플러스 SWOT 분석
5. 홈플러스 STP 분석
6. 홈플러스 마케팅믹스 4P전략
7. 홈플러스 마케팅전략
(1) 서비스마케팅 전략
(2) 부부상대 마케팅전략
(3) 가격차별화 전략
(4) 고객관리전략 (CRM전략)
8. 결론
본문내용
는 아이템을 설정한다.
(2) 부부상대 마케팅전략
유아가 있는 부부의 경우 대부분 가족단위로 쇼핑을 한다.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아이들을 위한 놀이시설과 주부들을 위한 쉼터 등을 제공하여 쇼핑환경을 문화공간으로 인식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그러나 이뿐만 아니라 홈플러스에서의 쇼핑자체가 하나의 놀이가 되고 즐거움이 될 수 있는 전략이 필요하다. 그래서 생각해본 것이 ‘숨은 제품 찾기’ 전략이다. 숨은 제품 찾기란 특정한 날에 몰래 숨겨놓은 특정 제품을 찾을 경우 무료로 증정하거나 특별할인을 해주는 것으로 새로운 PB상품을 홍보하는 수단으로 사용될 경우 고객들에게 지속적으로 인식시킬 수 있는 좋은 방법인 동시에 아이들과 함께 제품을 찾으면서 즐겁게 쇼핑을 할 수 있는 프로모션 전략이라고 볼 수 있다.
또한 아이들을 위한 무료공연이나 이벤트뿐만 아니라 어른들을 위한 7080콘서트 등을 통해 볼거리를 제공함으로써 홈플러스에 한 번 더 오고 싶도록 만드는 것이 중요하며, 지역 동아리나 모임에 무대를 제공하여 지역주민과의 유대를 높여가는 것도 중요한 촉진전략이라고 볼 수 있다.
광고를 함에 있어서도 단순히 최저가격 홈플러스를 강조하기 보다는 즐거운 쇼핑공간으로서의 홈플러스를 강조하는 방향으로 광고를 해나가는 것이 더욱 효과적이라고 생각한다. 또한 홍보를 함에 있어서도 지금과 같이 사회공헌기업으로서의 이미지를 부각시켜나감으로써 모범이 될 수 있는 이미지를 형성해나가는 것이 필요하다.
(3) 가격차별화 전략
할인점의 가격전략은 업체마다 크게 틀을 벗어나지 않는다. 현재 할인점 시장 2, 3위를 차지하고 있는 홈플러스와 롯데마트 역시 근본인 저가격전략을 중심으로 하되 후발주자로서 이마트의 가격전략을 상당 수 벤치마킹했기 때문에 대체로 비슷한 편이다. 이마트가 ‘저가격전략’에 충실히 주력하는 편이라면, 홈플러스는 ‘경쟁제품중심 가격결정법’(1.2.3.)의 ‘시장가격중심’에 주력하는 편이다. 이중에서도 특히 ‘상대적 저가격정책’을 쓰는데 이에 따른 부작용이 크다. 이마트는 몇 차례 ‘가격파괴’라고 내세우며 파격적인 가격할인을 내놓곤 한다. 그러나 이는 무턱대고 하는 것이 아니라 오랜 기간 동안 은밀하면서도 철저하게 전략을 짜고 매출액과 재고량 등을 예측해서 내놓은 것이기 때문에, 단기적인 것이 아니라 최소 1년간 제시한 가격할인을 유지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마트 주도의 가격할인 행사에 대해서 시장점유율 2,3위를 차지하는 홈플러스와 롯데마트는 갑작스런 이마트의 공격에 대책 없이 무리한 가격대응을 하기 때문에 일시적으로는 손님을 끌 수 있으나 궁극적으로는 매출감소를 초래한다. 준비되지 않은 가격할인은 그 할인율을 계속해서 유지할 수 없고 소비자는 가격의 감소보다 증가에 더 민감하게 반응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현재 홈플러스가 차별화를 두기 위해 시행하고 있는 전략이 ‘철저한 가격차별화 전략’이다. 홈플러스 매출에서 가장 높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PB상품들을 품질별로 “Good-Better-Best”로 나누어 가격을 달리하는 것이다. ‘Good’에 해당하는 PB상품들은 업계 최저가격을 지향하며, ‘Better’는 NB브랜드(제조업체 브랜드)와 동일하거나 비슷한 품질의 상품을 20%정도 가격을 낮추어 판매하는 것이고, ‘Best’제품은 백화점 상품과 견주어도 뒤지지 않는다는 고품질의 상품으로 고가격에 판매하는 것이다. 그 외에도 쓰고 있는 전략으로 영국 테스코에서 시행하는 ‘가격투자정책(price investment policy)’을 2003년부터 한국에서 실시하고 있다. 가격투자란 고객들이 선호하는 상품, 이른 바 ‘바스켓 아이템’으로 소비자가 가장 많이 찾는 600가지 아이템에 한정하여 영구적으로 가격을 인하하는 것으로, 일시적으로 가격을 인하하였다가 다시 환원하는 일시적·가변적 가격할인과는 전혀 다른 정책이라 할 수 있다.
(4) 고객관리전략 (CRM전략)
홈플러스는 고객에 대한 전략에도 크게 초점을 맞추었는데 이것이 고객 의회 전략이다. 홈플러스는 고객이 무엇을 원하고 바라는지 고객의 마음 속 깊은 곳까지 듣기 위해 다양한 도구를 동원하고 있다. 홈플러스의 부서에는 타 기업과는 차별화된 조직이 하나 있는데 바로 CIU (Customer Insight Unit)팀이다. 말 그대로 고객의 Insight를 찾아내어 회사의 운영이나 마케팅전략에 반영하는 일을 전담하는 일을 주로 한다. CIU팀에서 실시하는 조사가 1년에 수천여 회 는 될 정도로 정성적, 정략적으로 고객의 니즈와 욕구를 파악하는데 많은 투자를 하고 있다. 이렇게 조사된 결과물들은 그 자체로서 끝나는 것이 아니라, Customer Plan이라는 실천계획으로 연결 된다. Customer Plan은 전사적으로 운영되는 프로젝트로 경영의 최우선 순위에 있으며, 우선순위에 따라 중점추진과제를 선정하여 진행한다.
8. 결론
홈플러스의 가장 큰 장점은 자신들이 후발주자임을 인식하고 후발주자로서의 위험을 최대한 배제시킴과 동시에 한국시장 현지사정에 맞도록 현지화 정책을 적절하게 잘 펼쳤다. 먼저 국제적인 인지도는 높지만 한국 시장 내에서는 인지도가 매우 낮았던 점을 감안하여 국내에서 높은 성과와 이미지를 갖고 있던 삼성과 전략적 제휴를 통해 한국 시장에 진입하였고 당시 이마트가 먼저 국내 대형마트 시장에 진출해 있었기 때문에 홈플러스는 이마트와의 경쟁을 피하기 위해 입지 시 고려점이 주변에 경쟁자가 없는 곳에 입지하여 실제로 그들이 입지 지역에서 선도기업과 같은 효과를 내었다. 또한 기존의 외국 테스코 매장은 내부 인테리어에 거의 신경을 쓰지 않은 반면, 한국 홈플러스는 내부를 깔끔하고 고급스럽게 함으로써 고객들에게 편리함과 쾌적성을 제공했다. 홈플러스 매장을 방문하면서 동시에 다른 업무를 보기 수월하도록 주변에 문화센터나 관공서등의 입지를 함께 고려하여 고객들의 편의를 한층 더 높였다.
홈플러스는 한국시장에 진출하면서 글로벌 스탠다드 적용을 통한 그들의 강점을 이용하는 대신 사전에 철저한 조사를 통해 그들이 이미 갖고 있는 강점에 집착하는 대신 진출시장에 맞는 효과적인 현지화를 통해 그들의 기업경영을 성공으로 이끌 수 있었다.
(2) 부부상대 마케팅전략
유아가 있는 부부의 경우 대부분 가족단위로 쇼핑을 한다.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아이들을 위한 놀이시설과 주부들을 위한 쉼터 등을 제공하여 쇼핑환경을 문화공간으로 인식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그러나 이뿐만 아니라 홈플러스에서의 쇼핑자체가 하나의 놀이가 되고 즐거움이 될 수 있는 전략이 필요하다. 그래서 생각해본 것이 ‘숨은 제품 찾기’ 전략이다. 숨은 제품 찾기란 특정한 날에 몰래 숨겨놓은 특정 제품을 찾을 경우 무료로 증정하거나 특별할인을 해주는 것으로 새로운 PB상품을 홍보하는 수단으로 사용될 경우 고객들에게 지속적으로 인식시킬 수 있는 좋은 방법인 동시에 아이들과 함께 제품을 찾으면서 즐겁게 쇼핑을 할 수 있는 프로모션 전략이라고 볼 수 있다.
또한 아이들을 위한 무료공연이나 이벤트뿐만 아니라 어른들을 위한 7080콘서트 등을 통해 볼거리를 제공함으로써 홈플러스에 한 번 더 오고 싶도록 만드는 것이 중요하며, 지역 동아리나 모임에 무대를 제공하여 지역주민과의 유대를 높여가는 것도 중요한 촉진전략이라고 볼 수 있다.
광고를 함에 있어서도 단순히 최저가격 홈플러스를 강조하기 보다는 즐거운 쇼핑공간으로서의 홈플러스를 강조하는 방향으로 광고를 해나가는 것이 더욱 효과적이라고 생각한다. 또한 홍보를 함에 있어서도 지금과 같이 사회공헌기업으로서의 이미지를 부각시켜나감으로써 모범이 될 수 있는 이미지를 형성해나가는 것이 필요하다.
(3) 가격차별화 전략
할인점의 가격전략은 업체마다 크게 틀을 벗어나지 않는다. 현재 할인점 시장 2, 3위를 차지하고 있는 홈플러스와 롯데마트 역시 근본인 저가격전략을 중심으로 하되 후발주자로서 이마트의 가격전략을 상당 수 벤치마킹했기 때문에 대체로 비슷한 편이다. 이마트가 ‘저가격전략’에 충실히 주력하는 편이라면, 홈플러스는 ‘경쟁제품중심 가격결정법’(1.2.3.)의 ‘시장가격중심’에 주력하는 편이다. 이중에서도 특히 ‘상대적 저가격정책’을 쓰는데 이에 따른 부작용이 크다. 이마트는 몇 차례 ‘가격파괴’라고 내세우며 파격적인 가격할인을 내놓곤 한다. 그러나 이는 무턱대고 하는 것이 아니라 오랜 기간 동안 은밀하면서도 철저하게 전략을 짜고 매출액과 재고량 등을 예측해서 내놓은 것이기 때문에, 단기적인 것이 아니라 최소 1년간 제시한 가격할인을 유지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마트 주도의 가격할인 행사에 대해서 시장점유율 2,3위를 차지하는 홈플러스와 롯데마트는 갑작스런 이마트의 공격에 대책 없이 무리한 가격대응을 하기 때문에 일시적으로는 손님을 끌 수 있으나 궁극적으로는 매출감소를 초래한다. 준비되지 않은 가격할인은 그 할인율을 계속해서 유지할 수 없고 소비자는 가격의 감소보다 증가에 더 민감하게 반응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현재 홈플러스가 차별화를 두기 위해 시행하고 있는 전략이 ‘철저한 가격차별화 전략’이다. 홈플러스 매출에서 가장 높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PB상품들을 품질별로 “Good-Better-Best”로 나누어 가격을 달리하는 것이다. ‘Good’에 해당하는 PB상품들은 업계 최저가격을 지향하며, ‘Better’는 NB브랜드(제조업체 브랜드)와 동일하거나 비슷한 품질의 상품을 20%정도 가격을 낮추어 판매하는 것이고, ‘Best’제품은 백화점 상품과 견주어도 뒤지지 않는다는 고품질의 상품으로 고가격에 판매하는 것이다. 그 외에도 쓰고 있는 전략으로 영국 테스코에서 시행하는 ‘가격투자정책(price investment policy)’을 2003년부터 한국에서 실시하고 있다. 가격투자란 고객들이 선호하는 상품, 이른 바 ‘바스켓 아이템’으로 소비자가 가장 많이 찾는 600가지 아이템에 한정하여 영구적으로 가격을 인하하는 것으로, 일시적으로 가격을 인하하였다가 다시 환원하는 일시적·가변적 가격할인과는 전혀 다른 정책이라 할 수 있다.
(4) 고객관리전략 (CRM전략)
홈플러스는 고객에 대한 전략에도 크게 초점을 맞추었는데 이것이 고객 의회 전략이다. 홈플러스는 고객이 무엇을 원하고 바라는지 고객의 마음 속 깊은 곳까지 듣기 위해 다양한 도구를 동원하고 있다. 홈플러스의 부서에는 타 기업과는 차별화된 조직이 하나 있는데 바로 CIU (Customer Insight Unit)팀이다. 말 그대로 고객의 Insight를 찾아내어 회사의 운영이나 마케팅전략에 반영하는 일을 전담하는 일을 주로 한다. CIU팀에서 실시하는 조사가 1년에 수천여 회 는 될 정도로 정성적, 정략적으로 고객의 니즈와 욕구를 파악하는데 많은 투자를 하고 있다. 이렇게 조사된 결과물들은 그 자체로서 끝나는 것이 아니라, Customer Plan이라는 실천계획으로 연결 된다. Customer Plan은 전사적으로 운영되는 프로젝트로 경영의 최우선 순위에 있으며, 우선순위에 따라 중점추진과제를 선정하여 진행한다.
8. 결론
홈플러스의 가장 큰 장점은 자신들이 후발주자임을 인식하고 후발주자로서의 위험을 최대한 배제시킴과 동시에 한국시장 현지사정에 맞도록 현지화 정책을 적절하게 잘 펼쳤다. 먼저 국제적인 인지도는 높지만 한국 시장 내에서는 인지도가 매우 낮았던 점을 감안하여 국내에서 높은 성과와 이미지를 갖고 있던 삼성과 전략적 제휴를 통해 한국 시장에 진입하였고 당시 이마트가 먼저 국내 대형마트 시장에 진출해 있었기 때문에 홈플러스는 이마트와의 경쟁을 피하기 위해 입지 시 고려점이 주변에 경쟁자가 없는 곳에 입지하여 실제로 그들이 입지 지역에서 선도기업과 같은 효과를 내었다. 또한 기존의 외국 테스코 매장은 내부 인테리어에 거의 신경을 쓰지 않은 반면, 한국 홈플러스는 내부를 깔끔하고 고급스럽게 함으로써 고객들에게 편리함과 쾌적성을 제공했다. 홈플러스 매장을 방문하면서 동시에 다른 업무를 보기 수월하도록 주변에 문화센터나 관공서등의 입지를 함께 고려하여 고객들의 편의를 한층 더 높였다.
홈플러스는 한국시장에 진출하면서 글로벌 스탠다드 적용을 통한 그들의 강점을 이용하는 대신 사전에 철저한 조사를 통해 그들이 이미 갖고 있는 강점에 집착하는 대신 진출시장에 맞는 효과적인 현지화를 통해 그들의 기업경영을 성공으로 이끌 수 있었다.
추천자료
백화점과 할인점의 CS경영
[논문] 대형할인점 출점이 지역사회에 미치는 영향 및 협력증진방안에 관한 연구
이마트의 경영전략 분석 및 나아갈 방향
물류혁신 사례 (유한킴벌리외 13건)
롯데마트
유통산업 환경변화와 대응
이마트의 전략분석 및 중국을 비롯한 해외진출과 그 발전전망에 관해 논하시오.
[경영/유통] 이마트 할인점 - 마케팅 프로젝트
[인적자원관리]인사관리 사례조사-'유한킴벌리'의 인사제도 분석 및 보완점(A+리포트)
이랜드의 M&A
M&A에 대해 알아보고, 성공 및 실패사례를 조사 후 우리기업이 나아갈 방향을 제시하시오.
SPAO기업분석,SPAO마케팅전략,SPA산업,유니클로분석,유니클로경영전략,SPAO경영전략,이랜드그...
벤치마킹(Benchmarking) (벤치마킹의 정의, 벤치마킹 원리, 벤치마킹의 유형, 벤치마킹의 단...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