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질병을 선택한 동기
Ⅱ. 문헌고찰
Ⅲ. Case study
Ⅳ. 자가평가 및 참고문헌
Ⅱ. 문헌고찰
Ⅲ. Case study
Ⅳ. 자가평가 및 참고문헌
본문내용
1~2주 후에 2정(20mg)으로 증량가능하다.
두통, 진전, 심계항진
CIPROBAY TAB.
[Ciprofloxacin HCl]
호흡기 감염증, 패혈증, 복막염, 골관절의 감염증, 담즙분비관의 감염증
성인 시프로플록사신으로서 1회 250~500 mg, 1일 2회 식간에 경구투여한다. 중증 복합감염인 경우에는 이 약으로서 1회 750 mg, 1일 2회로 증량가능하다.
정맥계에 손상,
위불쾌감, 구역, 구토, 식욕부진, 어지러움
TAZORACTAM INJ.
[Piperacillin sodium , Tazobactam]
그람 양성구균 : 페
니실린 감수성 연쇄
상구균, 폐렴 연쇄
상구균, 대변 장내
구균
생리식염수 또는 멸균 주사용수에 녹여 사용한다. 2.25g주는 10ml에 녹이고 4.5g주는 20ml에 녹인다. 이 용액을 5%포도당용액으로 희석시켜 50ml 또는 100ml로 한 후 30분간 점적 정맥주사한다.
빈혈, 무과립구증, 아나필락시스, 설사, 오심, 구토등
AMBROXOL UNI AMP.
[Ambroxol HCl]
점액분비장애로 인한 급,만성 호흡기질환
1회 15mg 1일 2-3회 피하, 근육또는 천천히 정맥 주사한다.
심한 경우 1회 30mg까지 증량할 수 있으며 링겔주사액과 함께 점적 정맥 주사할 수 있다.
소화불량, 구역, 구토, 구강건조, 피부손상
AMINOPHYLLINE INJ.
[Aminophylline]
기관지천식, 천식성 기관지염, 폐기종,
만성기관지염질환
의 기도 폐쇄성 장애에 의한 호흡곤란 등 여러 증상의 완화, 기관지 확장제
보통 성인 아미노필린으로서 1회 250mg 1일 1-2회 생리식염주사액 또는 포도당주사액에 희석하여 5-10분 동안 천천히 정맥 또는 점적 정맥 주사 한다.
쇽, 두통, 불면, 부정맥, 구토, 설사
CEFTRIAXONE INJ.[Ceftriaxone Sodium]
폐렴, 기관지염 등 호흡기계 감염증, 이비인후과 감염증, 패혈증, 복막염, 담낭염, 담관염 등 위장관감염증, 수막염
성인: 세프트리악손으로서 1일 1회 1~2g(역가)을 정맥 또는 근육 주사 한다. 중증질환 또는 중등도의 감수성을 나타내는 병원균에 의한 감염증에는 1일 1회 4g(역가)까지 증량할 수 있다.
발진, 두통, 어지러움, 오한, 발열, 두드러기, 홍반, 가려움,
2. 간호과정
1) 폐포 모세혈관의 점막변화와 관련된 가스교환 장애
2) 잦은 기침으로 인한 수면장애
#1.
간호사정
*주관적 자료 :“숨이 찬다니까...”
“콜록..콜록...가래가 잘 안나와..”
*객관적 자료 :
- V/S -B.T:36.7℃, P:84회/분, R:38회/분, B.P:120/90mmHg
- 비정상적인 ABGA 검사치
(pH 7.482, pCO2 32.0mmHg, pO2 48.1mmHg, O2 SAT 86.9%)
- 호흡곤란과 안절부절못함
-기침시에 객담이 잘 나오지 않는다.
-객담의 점성이 강하다.
진단
폐포 모세혈관의 점막변화와 관련된 가스교환 장애
목표
-대상자는 정상적인 ABGA를 유지한다.
-효과적 분비물의 제거로 원활한 가스교환이 이루어진다.
계획
① V/S을 측정하며 호흡양상, 호흡보조근사용을 사정한다.
② 저산소증의 증상을 관찰한다.
③ 편안한 자세를 취하도록 하여 충분한 환기가 이루어질수 있도록 한다.
④ 필요시마다 ABGA를 확인한다.
⑤ 처방에 따라 O2를 제공한다.
⑥ 처방에 따른 약물을 투여한다.
수행
① 2시간마다 V/S을 측정하였고 효율적인 기침과 심호흡을 교육으 로 얕은 호흡과 호흡보조근 사용에서 정상적인 호흡을 하도록 격려하고 관찰하였다.
② 빈맥, 청색증 등의 저산소증의 증상을 관찰하고 이상 있을시 보 고하였다.
③ 환자의 침상을 올려 반좌위를 취해 호흡이 용이하도록 하였다.
④ ABGA검사시 pH 7.482, pCO2 32.0mmHg, pO2 48.1mmHg, O2 SAT
86.9% 였으며 환자에게 산소투여후 ABGA검사를 지속적으로 하여 시간에 따른 비교가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⑤ 산소공급 (산소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비강케뉼라를 통해
2~4L의 산소를 공급했다.)
⑥ 처방에 따른 약물을 관찰 하였다. (Aminophylline을 투여했다.)
평가
-2시간 간격으로 V/S을 측정한 결과
(9AM -B.T: 36.8℃, P: 88회/분, R: 24회/분, B.P: 120/80mmHg)
대상자가 안정을 취해감에 따라 정상범위로 측정되었다.
-한결 편안해 보였고 호흡이 안정되었다.
-대상자가 호흡하는데 있어 편안함을 느낀다고 말로 표현하였다.
-ABGA검사시 PH 7.43 PCO2 37.8mmHg, PO2 97mmHg, O2 SAT 98.6%
로 안정적이다.
#2.
간호사정
*주관적 자료 : “밤에 자다가 기침을 해서 자꾸 깨....피곤해 ”
*객관적 자료 :
-하품하는 모습 자주 보인다.
-낮잠 자는 모습 자주 보이나 금방 깬다.
진단
잦은 기침으로 인한 수면장애
목표
-기침이 완화되고 잠에서 깨는 횟수가 줄어든다.
-대상자는 수면장애로 피곤함을 호소하지 않을 것이다.
계획
① 수면양상을 사정한다.
② 기침의 양상을 사정한다.
③ 수분을 공급한다.
④ 처방된 약물을 공급한다.
⑤ 조용하고 어두운 환경을 조성해준다.
수행
① 수면습관, 시간을 사정했다.
② 기침의 성격과 정도를 사정했다.
③ 가습기를 제공했다.
④ 수분섭취를 권장했다.
⑤ 진해거담제를 투여했다. (Ambroxol을 투여했다.)
⑥ 조명을 어둡게 해주고 커튼을 쳐줬다.
평가
-기침의 횟수가 줄어들고 깼다가도 금방 다시 수면을 취했다.
-대상자가 수면을 편안히 취했다고 말하였다.
Ⅳ. 자가평가 및 참고문헌
항 목
매우 잘했음
잘했음
보통
다소 부족
매우 부족
1. 대상자 및 그 가족과의 의사소통을 원활히 하였다.
○
2. 대상자의 간호문제를 명확하게 파악하였다.
○
3. 자신이 가지고 있는 지식을 실습에 올바르게 적용하였다.
○
4. 실습의 목적을 이해하고 성취하였다.
○
5. 실습에 흥미와 관심을 가지고 열심히 하였다.
○
※ 참고문헌
성인간호학 上 (2011 현문사)
기본간호학 Ⅱ (2009 수문사)
알기 쉬운 병리학 (2006 현문사)
두통, 진전, 심계항진
CIPROBAY TAB.
[Ciprofloxacin HCl]
호흡기 감염증, 패혈증, 복막염, 골관절의 감염증, 담즙분비관의 감염증
성인 시프로플록사신으로서 1회 250~500 mg, 1일 2회 식간에 경구투여한다. 중증 복합감염인 경우에는 이 약으로서 1회 750 mg, 1일 2회로 증량가능하다.
정맥계에 손상,
위불쾌감, 구역, 구토, 식욕부진, 어지러움
TAZORACTAM INJ.
[Piperacillin sodium , Tazobactam]
그람 양성구균 : 페
니실린 감수성 연쇄
상구균, 폐렴 연쇄
상구균, 대변 장내
구균
생리식염수 또는 멸균 주사용수에 녹여 사용한다. 2.25g주는 10ml에 녹이고 4.5g주는 20ml에 녹인다. 이 용액을 5%포도당용액으로 희석시켜 50ml 또는 100ml로 한 후 30분간 점적 정맥주사한다.
빈혈, 무과립구증, 아나필락시스, 설사, 오심, 구토등
AMBROXOL UNI AMP.
[Ambroxol HCl]
점액분비장애로 인한 급,만성 호흡기질환
1회 15mg 1일 2-3회 피하, 근육또는 천천히 정맥 주사한다.
심한 경우 1회 30mg까지 증량할 수 있으며 링겔주사액과 함께 점적 정맥 주사할 수 있다.
소화불량, 구역, 구토, 구강건조, 피부손상
AMINOPHYLLINE INJ.
[Aminophylline]
기관지천식, 천식성 기관지염, 폐기종,
만성기관지염질환
의 기도 폐쇄성 장애에 의한 호흡곤란 등 여러 증상의 완화, 기관지 확장제
보통 성인 아미노필린으로서 1회 250mg 1일 1-2회 생리식염주사액 또는 포도당주사액에 희석하여 5-10분 동안 천천히 정맥 또는 점적 정맥 주사 한다.
쇽, 두통, 불면, 부정맥, 구토, 설사
CEFTRIAXONE INJ.[Ceftriaxone Sodium]
폐렴, 기관지염 등 호흡기계 감염증, 이비인후과 감염증, 패혈증, 복막염, 담낭염, 담관염 등 위장관감염증, 수막염
성인: 세프트리악손으로서 1일 1회 1~2g(역가)을 정맥 또는 근육 주사 한다. 중증질환 또는 중등도의 감수성을 나타내는 병원균에 의한 감염증에는 1일 1회 4g(역가)까지 증량할 수 있다.
발진, 두통, 어지러움, 오한, 발열, 두드러기, 홍반, 가려움,
2. 간호과정
1) 폐포 모세혈관의 점막변화와 관련된 가스교환 장애
2) 잦은 기침으로 인한 수면장애
#1.
간호사정
*주관적 자료 :“숨이 찬다니까...”
“콜록..콜록...가래가 잘 안나와..”
*객관적 자료 :
- V/S -B.T:36.7℃, P:84회/분, R:38회/분, B.P:120/90mmHg
- 비정상적인 ABGA 검사치
(pH 7.482, pCO2 32.0mmHg, pO2 48.1mmHg, O2 SAT 86.9%)
- 호흡곤란과 안절부절못함
-기침시에 객담이 잘 나오지 않는다.
-객담의 점성이 강하다.
진단
폐포 모세혈관의 점막변화와 관련된 가스교환 장애
목표
-대상자는 정상적인 ABGA를 유지한다.
-효과적 분비물의 제거로 원활한 가스교환이 이루어진다.
계획
① V/S을 측정하며 호흡양상, 호흡보조근사용을 사정한다.
② 저산소증의 증상을 관찰한다.
③ 편안한 자세를 취하도록 하여 충분한 환기가 이루어질수 있도록 한다.
④ 필요시마다 ABGA를 확인한다.
⑤ 처방에 따라 O2를 제공한다.
⑥ 처방에 따른 약물을 투여한다.
수행
① 2시간마다 V/S을 측정하였고 효율적인 기침과 심호흡을 교육으 로 얕은 호흡과 호흡보조근 사용에서 정상적인 호흡을 하도록 격려하고 관찰하였다.
② 빈맥, 청색증 등의 저산소증의 증상을 관찰하고 이상 있을시 보 고하였다.
③ 환자의 침상을 올려 반좌위를 취해 호흡이 용이하도록 하였다.
④ ABGA검사시 pH 7.482, pCO2 32.0mmHg, pO2 48.1mmHg, O2 SAT
86.9% 였으며 환자에게 산소투여후 ABGA검사를 지속적으로 하여 시간에 따른 비교가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⑤ 산소공급 (산소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비강케뉼라를 통해
2~4L의 산소를 공급했다.)
⑥ 처방에 따른 약물을 관찰 하였다. (Aminophylline을 투여했다.)
평가
-2시간 간격으로 V/S을 측정한 결과
(9AM -B.T: 36.8℃, P: 88회/분, R: 24회/분, B.P: 120/80mmHg)
대상자가 안정을 취해감에 따라 정상범위로 측정되었다.
-한결 편안해 보였고 호흡이 안정되었다.
-대상자가 호흡하는데 있어 편안함을 느낀다고 말로 표현하였다.
-ABGA검사시 PH 7.43 PCO2 37.8mmHg, PO2 97mmHg, O2 SAT 98.6%
로 안정적이다.
#2.
간호사정
*주관적 자료 : “밤에 자다가 기침을 해서 자꾸 깨....피곤해 ”
*객관적 자료 :
-하품하는 모습 자주 보인다.
-낮잠 자는 모습 자주 보이나 금방 깬다.
진단
잦은 기침으로 인한 수면장애
목표
-기침이 완화되고 잠에서 깨는 횟수가 줄어든다.
-대상자는 수면장애로 피곤함을 호소하지 않을 것이다.
계획
① 수면양상을 사정한다.
② 기침의 양상을 사정한다.
③ 수분을 공급한다.
④ 처방된 약물을 공급한다.
⑤ 조용하고 어두운 환경을 조성해준다.
수행
① 수면습관, 시간을 사정했다.
② 기침의 성격과 정도를 사정했다.
③ 가습기를 제공했다.
④ 수분섭취를 권장했다.
⑤ 진해거담제를 투여했다. (Ambroxol을 투여했다.)
⑥ 조명을 어둡게 해주고 커튼을 쳐줬다.
평가
-기침의 횟수가 줄어들고 깼다가도 금방 다시 수면을 취했다.
-대상자가 수면을 편안히 취했다고 말하였다.
Ⅳ. 자가평가 및 참고문헌
항 목
매우 잘했음
잘했음
보통
다소 부족
매우 부족
1. 대상자 및 그 가족과의 의사소통을 원활히 하였다.
○
2. 대상자의 간호문제를 명확하게 파악하였다.
○
3. 자신이 가지고 있는 지식을 실습에 올바르게 적용하였다.
○
4. 실습의 목적을 이해하고 성취하였다.
○
5. 실습에 흥미와 관심을 가지고 열심히 하였다.
○
※ 참고문헌
성인간호학 上 (2011 현문사)
기본간호학 Ⅱ (2009 수문사)
알기 쉬운 병리학 (2006 현문사)
추천자료
경막하혈종 케이스 스터디(SDH case study)
결장암 케이스 트터디(case study)
급성신질환 (Acute Kidney Injury) case study
(A+) 난소출혈 케이스 스터디 Ovarian Bleeding case study
[아동간호학실습] RDS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호흡곤란증후군) 케이스 case study
담석증의 식사요법, 증상, 진단, 담석증 케이스 스터디 Case Study.ppt
[A+정신간호학 실습] 정신분열증(조현병/schizoprenia) 케이스스터디 Case study /간호과정 /...
충수절제술(충수돌기절제술/appendectomy)과 관련된 성인간호학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입...
아동간호학case study-급성기관지염
A+_Diffuse large cell type lymphoma(non-hodgkins lymphoma) 비호지킨병 케이스 스터디, no...
DKA, Diabetic ketoacidosis (당뇨병성 케톤산증 케이스, 당뇨병성 케톤산증 CASE, DKA CASE ...
급성신부전 케이스 스터디 A+ (급성 신부전, 케이스 스터디, 간호과정, 급성신부전 사례연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