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정의
2.병태생리
3.원인
4.쇼크의 단계
5. 일반적인 증상
6.치료와 간호
7.합병증 예방
8. 환자후송 전의 준비
9.응급조치
10.병원에서의 치료
● 출처
2.병태생리
3.원인
4.쇼크의 단계
5. 일반적인 증상
6.치료와 간호
7.합병증 예방
8. 환자후송 전의 준비
9.응급조치
10.병원에서의 치료
● 출처
본문내용
조용하고 확신을 가진 태도로 접근하여 환자의 말을 관심있게 경청한다.
-불안과 통증감소, 산소요구도를 감소시키는 약물을 투여한다.
(Ativan, morphine 등)
일반적으로 수축기 혈압80mmHg이하, 맥압 20mmHg 이하, 맥박수 120회/분 이상 중에서 적어도 2가지 증상이 있을 때 시행한다.
7.합병증 예방
(1)신기능 손상
-부적절한 신장관류는 신기능을 손상시키고 급성세뇨관괴사를 일으킨다. 이를 예방하기 위해 유치 도뇨관을 삽입하여 소변 배설량을 모니터하고, 이뇨제를 투여한다.
-쇼크 상태에서 핍뇨가 발생하면 신기능 정지 또는 신부전 위기에 놓여 있다고 할 수 있다. 이 때 세뇨관괴사를 예방하지 위해 다량의 수액을 투여한다.
(2)위장관계 출혈
-쇼크초기에 내장순환이 감소하여 위장관 혈액공급이 저하된다. 이로인해 위장관조직의 관류가 부적절하여 소화가 지연되고 구토를 유발할 수 있다. 이를 예방하기 위해 비위관을 삽입한다.
8. 환자후송 전의 준비
-구급차 도착까지 가능한 한 많은 정보수집(원인이나 경위 등)을 한다.
-고려할 수 있는 최악의 상태를 감안해서 준비한다.
-활력징후: 체온, 맥박, 혈압, 체온
-사망의 3대 징후: 1.심장정지, 2.호흡정지, 3.동공확대와 대광반사 소실
9.응급조치
-환자가 토한는 경우에는 몸을 옆으로 굴려서 입안의 물질이 기도로 넘어가지 않고 흘러나오도록 한다. 척수 손상이 의심되는 경우에는 더욱 조심해야 한다.
-환자를 눕히고 다리를 30cm 이상 올려준다. 머리, 목이나 가슴에 손상을 입은 것이라면 다리를 똑바로 해준다.
-모든 출혈은 지혈을 하고, 골절 부위에는 부목을 대어준다.
-환자를 따뜻하게 보온하여야 하지만 뜨겁게 해서는 안된다. 환자 밑에는 담요를 깔아주고 날씨에 따라 얇은 담요 등을 덮어준다. 더운 장소에 환자가 위치한 경우에는 시원하게 유지해준다.
-환자가 불안을 덜 수 있도록 위로해준다.
-특히 외상으로 인한 출혈이 심하다면 일단 상처부위의 피를 잘 살펴보아야 한다. 정맥출혈(상처가 깊지 않고 피 색깔이 검붉으며 출혈부위를 압박할 때 쉽게 멎으면)은 크게 걱정하지 않아도 된다. 그러나 선홍색 피가 뿜어져 나오면 동맥이 손상된 것이다. 이럴 때는 일단 환자를 눕혀 가능한 상처부위를 심장보다 높인다. 상처를 건드리는 것은 금물이다.
10.병원에서의 치료
-기도유지와 심장 및 호흡기능 상태를 평가하여 필요하면 심폐소생술 및 쇼크치료
-주사제 및 수액공급
-청색증, 호흡 곤란 또는 호흡음이 안 좋은 경우 마스크나 코를 통해 산소를 공급
-필요 시 기관 삽관 및 기관 절개술 시행
출처
-조경숙 외 9명(2013). 성인간호학 상권 제6판. 서울: 현문사 p85~p98
-이승수, 배영환(2013). 간호사, 학생간호사를 위한 왜, 무엇을 & 어떻게④. 서울: 도서출판 의학서원 p184~p217
http://search.naver.com/search.naver?where=nexearch&query=%EC%87%BC%ED%81%AC&sm=top_hty&fbm=1&ie=utf8
-불안과 통증감소, 산소요구도를 감소시키는 약물을 투여한다.
(Ativan, morphine 등)
일반적으로 수축기 혈압80mmHg이하, 맥압 20mmHg 이하, 맥박수 120회/분 이상 중에서 적어도 2가지 증상이 있을 때 시행한다.
7.합병증 예방
(1)신기능 손상
-부적절한 신장관류는 신기능을 손상시키고 급성세뇨관괴사를 일으킨다. 이를 예방하기 위해 유치 도뇨관을 삽입하여 소변 배설량을 모니터하고, 이뇨제를 투여한다.
-쇼크 상태에서 핍뇨가 발생하면 신기능 정지 또는 신부전 위기에 놓여 있다고 할 수 있다. 이 때 세뇨관괴사를 예방하지 위해 다량의 수액을 투여한다.
(2)위장관계 출혈
-쇼크초기에 내장순환이 감소하여 위장관 혈액공급이 저하된다. 이로인해 위장관조직의 관류가 부적절하여 소화가 지연되고 구토를 유발할 수 있다. 이를 예방하기 위해 비위관을 삽입한다.
8. 환자후송 전의 준비
-구급차 도착까지 가능한 한 많은 정보수집(원인이나 경위 등)을 한다.
-고려할 수 있는 최악의 상태를 감안해서 준비한다.
-활력징후: 체온, 맥박, 혈압, 체온
-사망의 3대 징후: 1.심장정지, 2.호흡정지, 3.동공확대와 대광반사 소실
9.응급조치
-환자가 토한는 경우에는 몸을 옆으로 굴려서 입안의 물질이 기도로 넘어가지 않고 흘러나오도록 한다. 척수 손상이 의심되는 경우에는 더욱 조심해야 한다.
-환자를 눕히고 다리를 30cm 이상 올려준다. 머리, 목이나 가슴에 손상을 입은 것이라면 다리를 똑바로 해준다.
-모든 출혈은 지혈을 하고, 골절 부위에는 부목을 대어준다.
-환자를 따뜻하게 보온하여야 하지만 뜨겁게 해서는 안된다. 환자 밑에는 담요를 깔아주고 날씨에 따라 얇은 담요 등을 덮어준다. 더운 장소에 환자가 위치한 경우에는 시원하게 유지해준다.
-환자가 불안을 덜 수 있도록 위로해준다.
-특히 외상으로 인한 출혈이 심하다면 일단 상처부위의 피를 잘 살펴보아야 한다. 정맥출혈(상처가 깊지 않고 피 색깔이 검붉으며 출혈부위를 압박할 때 쉽게 멎으면)은 크게 걱정하지 않아도 된다. 그러나 선홍색 피가 뿜어져 나오면 동맥이 손상된 것이다. 이럴 때는 일단 환자를 눕혀 가능한 상처부위를 심장보다 높인다. 상처를 건드리는 것은 금물이다.
10.병원에서의 치료
-기도유지와 심장 및 호흡기능 상태를 평가하여 필요하면 심폐소생술 및 쇼크치료
-주사제 및 수액공급
-청색증, 호흡 곤란 또는 호흡음이 안 좋은 경우 마스크나 코를 통해 산소를 공급
-필요 시 기관 삽관 및 기관 절개술 시행
출처
-조경숙 외 9명(2013). 성인간호학 상권 제6판. 서울: 현문사 p85~p98
-이승수, 배영환(2013). 간호사, 학생간호사를 위한 왜, 무엇을 & 어떻게④. 서울: 도서출판 의학서원 p184~p217
http://search.naver.com/search.naver?where=nexearch&query=%EC%87%BC%ED%81%AC&sm=top_hty&fbm=1&ie=utf8
추천자료
성인 루푸스 - 루프스 정의, 원인, 병태생리, 증상, 간호중재
신암(renal cancer)의 병태.생리.간호과정
간경화(Liver cirrhosis) 정의, 병태생리 및 간호
[디스크][추간판탈출증][디스크수술][디스크합병증]디스크(추간판탈출증)의 병태생리, 디스크...
두개내압(Intracranial Pressure; ICP) 상승과 관련된 병태생리 및 간호
위암(Gastric cancer)에 관한 문헌고찰 및 병태생리
성인 울혈성 심부전 CHF 케이스 A+ 받았습니다. 병태생리, 신체사정, 간호과정, 간호진
성인간호학) 만성 췌장염_ (원인, 병태생리, 증상과 징후, 진단, 치료)
[성인간호] 만성 사구체신염 Chronic Glomerulonephritis 병태생리
[성인간호] 요로암(Urothelial Cancer) 병태생리
[성인간호] 급성 사구체신염 Acute Glomerulonephritis 병태생리
협심증(angina pectoris) -1) 원인과 병태생리 2) 협심증의 형태 3) 안정형 협심증의 증상과 ...
정신간호, 정신분열병, 조현병, schizophrenia 병태생리 및 간호중재
응급실약물조사(9가지), 위궤양 case study, 문헌고찰( 정의, 병태생리, 증상, 진단, 간호)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