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비평 // 로이스 타이슨의 「비평 이론의 모든 것」을 중심으로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신비평 // 로이스 타이슨의 「비평 이론의 모든 것」을 중심으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론
2. 신비평의 탄생배경
3. 신비평
3-1. 텍스트 그 자체
3-2. 문학작품을 판단하는 기준
3-3. 최고의 비평
4. 결론

본문내용

‘외재적 비평’ 이라고 불렀다. 텍스트 해석에 필요한 도구들을 텍스트 밖에서 찾는다는 의미인 것이다. 신비평가들은 텍스트가 자신이 어떻게 해석되어야 하는지 스스로 해석자에게 명령을 내리며 비평가는 이를 간파하고자 텍스트 고유의 형식 요소들에 초점을 맞춰야한다고 했다. 문학은 홀로 서 있는 것, 그 자체로 존재하는 것으로 본 것이다. 이런 의미에서 자신들의 접근법을 ‘객관적 비평’이라고 부르기도 하였다.
신비평가들은 텍스트의 의미가 고정되어 있다고 보았기 때문에 각각의 텍스트에 맞는 정확한 해석이 있다고 믿었다. 여기서의 정확한, 최고의 해석이란 앞서 설명했듯 텍스트가 무엇을 의미하고 어떻게 의미를 풀어냈는지 설명하는 해석을 일컫는다. 즉 텍스트의 유기적 통일성을 잘 설명할 수 있는 해석인 것이다. 따라서 그들은 길이가 짧은 시나 단편 소설에 초점을 맞췄다. 텍스트 세부 사항 하나하나에 집중 할 수 있었기 때문이었다.
결론
신비평은 텍스트 자체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대두되었지만 그 중요성 때문에 몰락의 길을 걷게 되었다. 1960년대 후반 문학 텍스트가 지닌 이데올로기적 내용에 대한 관심과 더불어, 그 내용이 어떻게 사회를 반영하고 어떤 영향을 줄 수 있는지에 대한 관심이 커져가고 있었기 때문이었다. 신비평 이후에 나오는 비평 이론들은 자연스럽게 신비평에 대한 반발로서 전개되었다. 독자반응 비평은 신비평의 문학 텍스트의 정의와 해석 방식에 대한 이의를 제기하였다. 구조주의 비평은 신비평이 문학작품에만 초점을 맞추고 그 작품을 다른 문학작품 및 문화적 생산들로부터 고립시키는 데 대한 반작용으로 나타났다. 해체론적 언어 이론이나 신역사주의에서 ‘객관적 증거’를 이해하는 방식 또한 언어 및 객관성에 관한 신비평의 가정들과 정면으로 대립한다. 위의 책, 296P.
새로운 이론의 탄생은 그 전 이론의 배반에서부터 시작된다. 신비평은 비록 더 이상 진전이 없는 이론이지만 이후에 나온 이론들에게 상당한 영향을 끼쳤고 ‘꼼꼼히 읽기’라는 독법과 텍스트 자체의 중요성에 대한 고찰을 남겼다. 이는 앞서 서론에서 품었던 질문에 답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참고문헌
로이스 타이슨, 「비평 이론의 모든 것」, 윤동구 역, 앨피, 2012.
레먼 셀던, 「현대 문학 이론 개관」, 정정호 역, 한신문화사, 2000.
김성곤 외, 「현대미국문학비평」, 한신문화사, 1993.
한국평론가협회, 『문학비평용어사전』, 국학자료원, 2006.
  • 가격1,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6.02.11
  • 저작시기2015.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9419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