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염색산업에 대한 진단과 전망
본 자료는 8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해당 자료는 8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8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한국염색산업에 대한 진단과 전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염색의 개념 및 역사
1) 염색의 개념
2) 염색의 기원 및 역사
2. 섬유산업의 동향 및 국내 염색가공 산업의 현황
1) 섬유산업의 동향
2) 국내 염색가공 산업의 현황
3. 천연염색의 특성과 시장 현황
1) 천연염색의 개념
2) 천연염료의 특성
3) 천연염색 산업의 시장 현황
4. 염색가공 산업의 변천과정 및 기술개발 동향
1) 염색가공 산업의 특징 및 변천과정
2) 염색가공 산업의 기술개발 동향

Ⅲ. 결론

참고문헌


표 목차

<표 1> 세계 섬유 수출 순위
<표 2> 한국 섬유산업 연도별 교역 현황
<표 3> 국내 염색업체 현황
<표 4> 염색업체 생산 동향
<표 5> 천연염색의 장단점
<표 6> 세계 천연염색 시장규모
<표 7> 염색가공산업의 제조원가 구성비
<표 8> 염색공정에서 에너지 소비 예측
<표 9> 한국 염색가공 산업의 변천 과정
<표 10> 염색기 대당 에너지 절감 효과

그림 목차

<그림 1> 염색공정기술의 개요
<그림 2> 천연염색 산업의 가치
<그림 3> 천연염료 수입 추이

본문내용

처리와 최대 50m/min 처리속도를 가지며 자동 Feeding & Winding 할 수 있는 대기압 플라즈마 표면처리 System Unit을 제작하였으며, 셋째, 소수성 섬유를 친수성 섬유로 개질하는데 적합한 기술 및 공정개발과 더불어 플라즈마를 이용한 폴리에스터 고효율 염색기술개발을 개발하였다. 그 결과 아래와 같은 에너지 절약 효과를 얻었다.
<표 10> 염색기 대당 에너지 절감 효과
예상 판매량
(대/년)
에너지 절감
투자효과(백만 원)
MWh
toe
절감액
국제수지 개선

1대 기준
288
심색제
1.2톤
전기: 16
심색제: 12
28
출처: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2011). 고효율 염색공정.
염색가공설비는 크게 나누어 전처리 설비와 염색설비 및 가공설비로 나누어지며, 이들 설비에서의 에너지의 사용량은 섬유의 종류, 염색가공 방법, 공정조건 등에 의해 크게 변화되므로, 설비의 에너지 효율 증대와 함께 공정기술의 개량도 에너지 절감에의 기여도가 매우 높을 것으로 기대된다.
따라서 초임계유체 염색기술은 장기 개발기술로 기초기술부터 단계적으로 추진하고, 플라즈마 염색가공기술은 해외기술도입으로 시스템 기술개발을 가속화시키며, 전처리가공기술은 중기적인 안목에서 고부가가치 아이템을 도출할 필요가 있다.
Ⅲ. 결론
염색은 문화의 진보에 따라 의복에 대한 보건 위생과 생활 향상이란 목적 외에 장식적인 목적이 첨가되면서 보다 급격히 발전되었다. 염색의 발생은 인류가 자연의 아름다움을 보고 느끼고 생활하면서 그 아름다운 색채를 자기 것으로 간직하고 싶은 욕망으로부터 비롯되었을 것이다.
염색가공은 소비자의 기호에 맞게 실이나 직물에 화학적 처리를 통하여 촉감, 디자인 등의 감각 특성과 방축성, 발수성, 고기능성 등의 하이터치 기능을 부여하는 기술 집약적 산업이며, 섬유제품의 고부가가치화를 위하여 가장 중요한 분야이다.
한편으로 염색가공 산업의 에너지 소비는 연료 사용량의 77%, 전기 사용량의 54%를 차지한다. 따라서 염색공정 중 소모되는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절감하고 시간을 단축하는 기술 개발이 필요하다.
최근의 환경변화를 살펴보면 삶에 있어서 웰빙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으며, 산업에 있어서 환경규제의 강화와 친환경 상품의 선호 등을 들 수 있다. 국제적인 환경규제는 점차 제품 생산 방식 및 공정에 근거한 규제로 확대되고 있기에, 염색가공업의 관련 산업구조는 변화될 것이고, 기존의 생산방식인 화석연료 중심의 에너지 공급 구조를 대기오염의 원인인 이산화탄소나 온실가스가 배출되지 않는 청정에너지의 사용으로 전환해야 할 것이다.
현재 염색가공 산업에서 제품 생산 시 발생되는 호발제, 보조약품, 계면활성제, 잔류염료, 잔류 가공제, 난분해성 물질 등의 수질오염원과 염화불화수소, 이산화탄소 등의 대기오염원을 절감하고 경제성을 높이는 에너지 절감형 설비의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환경 친화적인 염색가공 기술은 오염발생물질을 절감시킬 뿐 아니라 경제적으로 효율성 있게 처리하는 것으로서, 최근 염색가공 산업의 기술개발 동향을 살펴보면 고효율 스프레이 패딩-진공탈수 기술, 차세대 Hybrid Tenter 기술, 비수계 염색가공 기술 등에서 신기술 연구와 기술개발이 추진되고 있다.
위와 같은 기술의 염색 공정 적용은 가공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하고 공정시간의 단축과 에너지 절감효과로 이어져 경제성을 높이며, 환경적인 측면에서 기존에 사용하던 가스연료와 화석연료로 인해 발생되는 이산화탄소와 염화불화수소의 발생량을 줄여 환경문제를 해결하는 친환경 염색공정의 개발에 기여하게 될 것이다.
아울러 염색가공설비는 섬유의 종류, 염색가공 방법, 공정조건 등에 의해 크게 변화되므로, 설비의 에너지 효율 증대와 함께 공정기술의 개량도 에너지 절감에의 기여도가 매우 높을 것으로 기대된다.
효율적인 에너지 사용으로 경제의 시너지 효과를 창출하고, 염색가공 산업의 혁신적인 에너지 절감형 설비의 개발로, 섬유산업 기술을 향상시킬 수 있는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하겠다.
참고문헌
경북천연염색산업연구원(2015). 천연염색산업.
김재필, 이정진(2003). 한국의 천연염료. 서울대학교 출판사.
김현숙(2011). 천연유기 매염제를 이용한 친환경 염색 방법 연구를 통한 생활의 웰 빙화. 전국과학전람회.
김형우(2001). 색채심리와 색채치료의 조명. 대한건축학회지, 제45권 6호.
나주시청(2012). 나주 천연색 산업센터 운영방안 연구.
남명주(2009). 염색 공예를 통한 고등학교 미술교육의 현황 연구. 대구가톨릭대학 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대구경북연구원(2010). 섬유산업, 과거와 현재.
문쌍후(2011). 천연 염색 배우기. 서울: 미진사. p.1.
송화순, 김병희(2009). 아름다운 우리의 색 천연염색. 숙명여자대학교 출판국 p.10.
안경조(2000). 염색의 과학. 서울: 경춘사. p.164.
안명숙(2002). 천연염색. 서울: 예학사. p.10.
이상태(2001). 홀치기염색. 파주: 태학원. p.8.
장홍기(2010). 천연염색지도사 한 권으로 끝내기. 나주: 나주시천연염색문화재단출 판부. pp.60-61.
장홍기, 허북구, 이재연, 최정락(2008). 나주 쪽 전통기술 산업화사업계획서. 나주시
정옥기(2011). 내 손으로 하는 천연염색. 서울: 들녘. pp.35-37.
조인술 외(2000). 실용염색학. 서울: 형설출판사. pp.85-86.
조현태(2002). 염색공장에서의 에너지 절감을 위한 현황분석 및 공정개선 방향수립 에 관한 연구. 산업자원부.
통계청(2014). 국가통계포털, 광업제조업 동향조사
하미희(2000). 염색의 이론과 실제. 학문사. p.13.
한국무역협회(2015). 무역통계
한국생산기술연구원(2011). 섬유산업-비전과 발전전략.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2011). 고효율 염색공정.
허북구 외(2012). 천연염색 치료와 복지. 서울: 퍼브플랜. p.70.
KOTRA(2015). TPP협상이 섬유산업에 미치는 영향 및 시사점. Global Market Report 15-009
WTO(2014). International trade statistics.
  • 가격8,000
  • 페이지수23페이지
  • 등록일2016.02.20
  • 저작시기2015.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9485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