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Ⅲ. 결론
참고문헌
Ⅱ. 본론
Ⅲ.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적인 요보호 대상자 개념에서 탈피하여 일반적인 소비자로 확대하여 노인의 다양한 복지욕구에 부응하는 서비스 접근으로 전환되어야 할 것이다.
노인이 그룹 홈에서의 공동생활은 식사. 여가 및 취미프로그램 등 여러 가지 서비스를 제공받음으로서 생활상의 도움을 받을 뿐만 아니라 노년기에 비슷한 상황에 있는 동년배들과 친교를 나눌 수 있어 정서적, 심리적인 안정을 제공받는다. 그리고 친구 관계망의 크기가 클수록 삶의 만족도가 높다는 점에서도 그룹 홈을 이용하는 노인의 삶의 만족도는 높아질 것이라고 예측할 수 있다. 이러한 예측은 가족이 없던 노인들이 그룹 홈에서 동거가족이 생기게 되어 생활의 만족도가 높아진 결과(성명옥,1999)를 통하여 입증되었는데 이러한 결과는 외로움의 해소라는 그룹 홈의 목적에 부합된다. 이러한 점은 그룹 홈 생활과 관련된 거주자의 생활 만족도에 관한 선행연구에서도 나타나는데 주거지에 대한 물리적 환경 일상생활에서 맡은 바 책임감, 그룹 홈 내의 인간관계, 자신의 삶에 대한 선택권, 독립성, 자율성 등이 거주자의 생활 만족도에 영향을 미친다고 보고된 연구결과(전인진, 1995)가 이를 입증하고 있다.
또한 노인은 자신이 살던 곳에서 떨어진 곳으로 이사하여 가족이나 친구들과의 생활이 단절되었을 대 높은 불안감을 나타낸다는 점에서 노년기의 주거환경은 노인의 일상생활에 큰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볼 수 있다. 미국의 노인들이 주거시설을 선택할 때 근린지역으로 들고 있는 이유가 첫째, 가족 친지, 친척, 친구들이 쉽게 찾아올 수 있는 곳이다. 둘째, 오랜 동안 사용하여 익숙해진 지역사회의 자원을 불편 없이 지속적으로 이용할 수 있어야 한다. 셋째, 여행 외출 등을 하고 돌아 올 때 쉽게 찾아올 수 있는 곳이다. 이러한 점에서도 노인 주거환경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최근 선진국에서는 사회복지를 시설복지에서 지역사회중심의 재가보호 서비스의 확충으로 전환되어 가고 있는 추세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재가복지서비스는 최저생계비 이하의 국민기초생활보장 대상자에 대한 생활욕구 충족을 위한 수준에 머무르고 있다.
노인 부양에 따른 사회적으로 파생되는 문제들을 고려해 볼 때, 또한 노인들의 서비스 선호도를 고려해 볼 때 노인 그룹 홈은 앞으로 지속적으로 확충되어야 할 것이다. 정부는 그룹 홈(노인의 집)을 시설의 대안으로 예산을 줄이려는 의도에서 시행하기보다는 노인의 주거안정성, 주거의 접근성 등을 고려한 보다 포괄적이고 효과적인 서비스 체계가 되도록 장기적인 전망을 가지고 개발하고 보완하여 접근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앞으로의 노인복지정책 시행에 있어서 국민기초생활보장 대상자뿐만 아니라 차 상위계층의 노인들도 노인의 집(그룹 홈)을 이용할 수 있도록 대상자 기준 완화가 요구된다. 즉 사회적, 경제적, 정서적 신체적으로 열악한 환경에 있는 모든 노인들의 노후생활 적응 도모와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방향으로 재조정해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고양곤(1999), “노인요양시설 운영 현황과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강남대학교 논문 집.
구주영(2007), “독거노인의 그룹 홈 거주 경험에 관한 질적연구”, 부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권정택(2007), “노인요양시설의 공공인프라 확충방안 연구”, 연세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권중돈(2006), 노인복지론, 학지사.
김기태 외(2002), 노인복지실천론, 양서원.
김성희(2009), “지방자치단체 그룹 홈의 합리적 운용방안”, 전북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만두(1991), 사회복지법제론, 서울: 홍익제
김영숙(2004), 치매노인 그룹 홈의 이해와 기술, 서울: 양지사.
남영희(2002), “독거노인을 위한 Group Home Care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행정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모선희(2006), 노인복지론, 학지사.
서혜정(2003), “그룹 홈에 거주하는 노인들의 선호도 및 생활만족도에 관한 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성명옥(1999), “노인의 집 운영의 활성화 방안”, 한국노인복지학회.
송기문(2004), “대도시 저소득 독거노인의 생활실태와 그 사회복지서비스 개선방안
에 관한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신상윤(1997), “장애인 그룹홈 유형 및 운영기준에 관한 연구”, 한국재활협회 재활 프로그램 모형개발 및 운영시설기준 연구.
오영희 외(2005), “노인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정책방안 연구: 여성· 농어촌· 독거
노인의 생활실태를 중심으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유성호 외 3인(2002), 노인복지론, 서울: 아시아미디어리서치.
이배근(1987), 장애자를 위한 그룹 홈의 모형개발, 사회복지.
-----(2000), “해체가정과 요보호아동들을 위한 Group Home 유형 개발”, 한국아동 복지학 제9호, 한국아동복지학회.
이수희(2006), “노인복지시설 입소노인의 생활만족도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한림대 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연미(2002), “노인 그룹 홈 생활노인의 성격 유형이 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에 관 한 연구”, 단국대학교 행정법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정순둘(1999), “독거노인을 위한 체계망 치료”, 한국노인복지학회.
황인옥(2004), “노인장기요양 보험이 생활시설에 미치는 영향연구”, 대전대학교 사회 복지대학원 석사학위논문
허선영(2000), “독거노인의 고독감과 사회적 지지와의 관계”, 부산대학교 대학원 석 사학위논문.
허 환(2002), “노인 주거문제에 대한 노인 그룹 홈의 활성화 방안”, 성산효도대학원 석사학위논문.
홍미령 외(2006), “독거노인 사회안전망 구축을 위한 복지서비스 기초조사”, 보건복 지부, (사)한국노인문제연구소.
Schulman, E. D. 1980. “Focus on the Retarded Adult". The C. T. Mosby Company.
국토연구원, http://www.krihs.re.kr/
통계청, http://www.kostat.go.kr/
한국농촌경제연구원, http://www.krei.re.kr/
한국보건사회연구원, http://www.kihasa.re.kr/
노인이 그룹 홈에서의 공동생활은 식사. 여가 및 취미프로그램 등 여러 가지 서비스를 제공받음으로서 생활상의 도움을 받을 뿐만 아니라 노년기에 비슷한 상황에 있는 동년배들과 친교를 나눌 수 있어 정서적, 심리적인 안정을 제공받는다. 그리고 친구 관계망의 크기가 클수록 삶의 만족도가 높다는 점에서도 그룹 홈을 이용하는 노인의 삶의 만족도는 높아질 것이라고 예측할 수 있다. 이러한 예측은 가족이 없던 노인들이 그룹 홈에서 동거가족이 생기게 되어 생활의 만족도가 높아진 결과(성명옥,1999)를 통하여 입증되었는데 이러한 결과는 외로움의 해소라는 그룹 홈의 목적에 부합된다. 이러한 점은 그룹 홈 생활과 관련된 거주자의 생활 만족도에 관한 선행연구에서도 나타나는데 주거지에 대한 물리적 환경 일상생활에서 맡은 바 책임감, 그룹 홈 내의 인간관계, 자신의 삶에 대한 선택권, 독립성, 자율성 등이 거주자의 생활 만족도에 영향을 미친다고 보고된 연구결과(전인진, 1995)가 이를 입증하고 있다.
또한 노인은 자신이 살던 곳에서 떨어진 곳으로 이사하여 가족이나 친구들과의 생활이 단절되었을 대 높은 불안감을 나타낸다는 점에서 노년기의 주거환경은 노인의 일상생활에 큰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볼 수 있다. 미국의 노인들이 주거시설을 선택할 때 근린지역으로 들고 있는 이유가 첫째, 가족 친지, 친척, 친구들이 쉽게 찾아올 수 있는 곳이다. 둘째, 오랜 동안 사용하여 익숙해진 지역사회의 자원을 불편 없이 지속적으로 이용할 수 있어야 한다. 셋째, 여행 외출 등을 하고 돌아 올 때 쉽게 찾아올 수 있는 곳이다. 이러한 점에서도 노인 주거환경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최근 선진국에서는 사회복지를 시설복지에서 지역사회중심의 재가보호 서비스의 확충으로 전환되어 가고 있는 추세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재가복지서비스는 최저생계비 이하의 국민기초생활보장 대상자에 대한 생활욕구 충족을 위한 수준에 머무르고 있다.
노인 부양에 따른 사회적으로 파생되는 문제들을 고려해 볼 때, 또한 노인들의 서비스 선호도를 고려해 볼 때 노인 그룹 홈은 앞으로 지속적으로 확충되어야 할 것이다. 정부는 그룹 홈(노인의 집)을 시설의 대안으로 예산을 줄이려는 의도에서 시행하기보다는 노인의 주거안정성, 주거의 접근성 등을 고려한 보다 포괄적이고 효과적인 서비스 체계가 되도록 장기적인 전망을 가지고 개발하고 보완하여 접근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앞으로의 노인복지정책 시행에 있어서 국민기초생활보장 대상자뿐만 아니라 차 상위계층의 노인들도 노인의 집(그룹 홈)을 이용할 수 있도록 대상자 기준 완화가 요구된다. 즉 사회적, 경제적, 정서적 신체적으로 열악한 환경에 있는 모든 노인들의 노후생활 적응 도모와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방향으로 재조정해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고양곤(1999), “노인요양시설 운영 현황과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강남대학교 논문 집.
구주영(2007), “독거노인의 그룹 홈 거주 경험에 관한 질적연구”, 부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권정택(2007), “노인요양시설의 공공인프라 확충방안 연구”, 연세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권중돈(2006), 노인복지론, 학지사.
김기태 외(2002), 노인복지실천론, 양서원.
김성희(2009), “지방자치단체 그룹 홈의 합리적 운용방안”, 전북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만두(1991), 사회복지법제론, 서울: 홍익제
김영숙(2004), 치매노인 그룹 홈의 이해와 기술, 서울: 양지사.
남영희(2002), “독거노인을 위한 Group Home Care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행정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모선희(2006), 노인복지론, 학지사.
서혜정(2003), “그룹 홈에 거주하는 노인들의 선호도 및 생활만족도에 관한 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성명옥(1999), “노인의 집 운영의 활성화 방안”, 한국노인복지학회.
송기문(2004), “대도시 저소득 독거노인의 생활실태와 그 사회복지서비스 개선방안
에 관한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신상윤(1997), “장애인 그룹홈 유형 및 운영기준에 관한 연구”, 한국재활협회 재활 프로그램 모형개발 및 운영시설기준 연구.
오영희 외(2005), “노인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정책방안 연구: 여성· 농어촌· 독거
노인의 생활실태를 중심으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유성호 외 3인(2002), 노인복지론, 서울: 아시아미디어리서치.
이배근(1987), 장애자를 위한 그룹 홈의 모형개발, 사회복지.
-----(2000), “해체가정과 요보호아동들을 위한 Group Home 유형 개발”, 한국아동 복지학 제9호, 한국아동복지학회.
이수희(2006), “노인복지시설 입소노인의 생활만족도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한림대 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연미(2002), “노인 그룹 홈 생활노인의 성격 유형이 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에 관 한 연구”, 단국대학교 행정법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정순둘(1999), “독거노인을 위한 체계망 치료”, 한국노인복지학회.
황인옥(2004), “노인장기요양 보험이 생활시설에 미치는 영향연구”, 대전대학교 사회 복지대학원 석사학위논문
허선영(2000), “독거노인의 고독감과 사회적 지지와의 관계”, 부산대학교 대학원 석 사학위논문.
허 환(2002), “노인 주거문제에 대한 노인 그룹 홈의 활성화 방안”, 성산효도대학원 석사학위논문.
홍미령 외(2006), “독거노인 사회안전망 구축을 위한 복지서비스 기초조사”, 보건복 지부, (사)한국노인문제연구소.
Schulman, E. D. 1980. “Focus on the Retarded Adult". The C. T. Mosby Company.
국토연구원, http://www.krihs.re.kr/
통계청, http://www.kostat.go.kr/
한국농촌경제연구원, http://www.krei.re.kr/
한국보건사회연구원, http://www.kihasa.re.kr/
키워드
추천자료
노인간호학케이스
[현대사회문제]현대사회의 노인문제, 현대사회의 질병문제, 현대사회의 여성문제, 현대사회의...
기업의 사회공헌 활동 사례(신세계그룹)
기업의 사회공헌 활동 사례(신세계그룹)
[선진국]선진국의 고용지원서비스, 선진국의 노인복지, 선진국의 민주시민교육, 선진국의 보...
스웨덴을 예로든, 사회제도 보장 및 노인복지정책
노인간호 ,노인의 영양
노년기의 발달 - 노인대학
케어복지의 개념(케어, 케어복지, 노인케어의 개념정의)
[A+평가 레포트]노인학대의 문제점과 대책방안
가족복지론-우리 지역에 있는 복지기관을 하나 선정하여, 그 기관에서 하고있는 가족복지 프...
[사회복지실천기술론] 치매가족을 위한 개입 - 사회복지사로서 치매노인 보호자들의 부담을 ...
황혼의 행복을 창조하는 노블카운티 (노인가족의 개념과 현황, 실버타운).pptx
[사업계획서] 독거 노인의 여가만족도 향상을 위한 음반제작 프로그램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