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목차 >
Ⅰ 서론
1. 연구필요성 및 목적
2. 문헌고찰
1) 정의
2) 변인
3) 병태생리
4) 증상
5) 진단
6) 치료
7) 간호
8) 합병증 및 예후
3. 연구기간 및 방법
Ⅱ 본론
4. 간호과정
Ⅲ 결론
5. 결론
6. 참고문헌
Ⅰ 서론
1. 연구필요성 및 목적
2. 문헌고찰
1) 정의
2) 변인
3) 병태생리
4) 증상
5) 진단
6) 치료
7) 간호
8) 합병증 및 예후
3. 연구기간 및 방법
Ⅱ 본론
4. 간호과정
Ⅲ 결론
5. 결론
6. 참고문헌
본문내용
가스배출을 한 것을 확인 후 충분한 수분을 섭취할 수 있도록 격려하였다.
< 장기 목표 >
대상자는 퇴원할 때까지 정상 호흡을 유지하였다.
<간호진단2> 수술 부위와 관련된 급성통증 ← 발표 ★
간호사정
계획
수행
평가
목표
간호계획
이론적 근거
< Subjective Date >
- “움직이려고 배가 너무 아파요.”
- “배가 아프고 뭉쳐 있는 느낌이에요.”
- “수술하고 나니 불편하네요.”
- “걸으려고 하니 수술부위가 아파요.”
<단기 목표>
대상자는 2일 이내에 통증 척도의 점수가 2점 이하로 표현한다.
<장기 목표>
대상자는 퇴원할 때까지 통증을 호소하지 않는다.
1. 통증에 대해 표현하도록 격려하고 통증이 심할 때마다 알릴 수 있도록 교육한다.
스스로 통증을 조절할 수 있다고 믿는 사람은 공포와 불안이 감소되어 통증지각이 저하된다.
기본간호학Ⅱ(현문사, p483)
간호사 선생님께서 통증이 있을 시 표현하게끔 설명하는 것을 관찰하였다.
< 단기 목표 >
대상자는 입원실에 올라가기 전 통증이 완화(NRS: 7점→2점)되었다고 말해주었다.
2. 통증 사정 척도를 이용하여, 복부(수술 부위)의 통증과 활력징후를 사정한다.
통증 존재 여부와 강도의 가장 중요한 지표는 대상자의 통증보고다.
기본간호학Ⅱ(현문사, p485)
통증관리 투약에 의해 혈압 하강하기도 한다.
여성건강간호학Ⅱ(p.220)
통증의 정도를 통증척도를 통해 확인하였다.
- 복부(수술부위)의 통증이 간헐적으로 있지만, 처음보다는 통증이 많이 사라졌다고 함.
NRS :
통증관리 투약 전, 혈압을 15분마다 3번, 30분마다 2번, 1시간마다 2 번 측정하였다.
- 측정 결과 : 혈압이 하강하는 것 없이 정상.
< Objective Date>
- 2016년 2월 17일 Bx c/sec
- 통증으로 인한 얼굴 찡그림.
- 복부(수술부위) 통증으로 인해 배위에 손을 올리고 웅크리고 계심.
- 통증 평가 도구(NRS):
통증 점수 7점.
3. 통증을 조절하는 호흡법이나 점진적 이완법에 대해 설명하고, 충분한 수면과 휴식을 취할 수 있도록 한다.
피부자극은 주의를 집중하게 하여 전환시킴으로써 통증지각을 줄인다.
기본간호학Ⅱ(현문사, p.504)
통증은 업무, 후식, 실내 활동, 수면, 개인적인 돌봄 활동과 상호작용한다.
기본간호학Ⅱ(현문사, P.249)
간호사 선생님께서 통증으로부터 주의 전환시키고, 근육긴장을 완화시켜 자궁으로 가는 유해압력 감소시키는 비약물적 요법으로 호흡법(심호흡), 이완요법([방법] 웃기, 규칙적으로 하품하기)을 사용하도록 교육하는 것을 관찰하였다. 또한 침대에서 편안하게 휴식을 취할 수 있도록 하고, 불편한 점이 있을 시, 바로 호출하도록 하였다.
< 장기 목표 >
대상자는 퇴원 할 때 통증을 호소하지 않았다.
4. 필요 시
처방된 진통제를 투여한다.
진통제 투여는 통증을 감소하거나 제거하기 위해 약물을 사용한다.
기본간호학Ⅱ(현문사, p.491)
처방에 따라 약(카페낙주사(디클로페낙나트륨), 75mg, IM )을 투여하는 것을 관찰하였다.
<간호진단3> 조직손상과 관련된 감염의 위험성
간호사정
계획
수행
평가
목표
간호계획
이론적 근거
< Subjective Date >
- “수술한 곳이 불편해요.”
- “수술한 곳이 화끈거려요”
<단기 목표>
대상자는 입원실 올라가기 전까지 수술부위에 부종, 발적, 열감 징후가 없어질 것이다.
<장기 목표>
대상자는 퇴원 전까지 분만으로 인한 조직손상으로 인해 감염위험성의 징후가 없도록 한다.
1.대상자를 대할 때 철저히 손 씻기 5단계를 실시하고 대한다.
손 위생은 병원감염을 예방하기 위한 가장 기본적이며 중요한 방법으로 손의 오염물질 및 일시균을 제거하고 미생물의 수를 줄일 수 있다.
기본간호학(하)P.29
대상자에게 간호를 할 때(처치 전과 후, 활력징후 측정시) 손 씻기 5단계를 철저히 하여 깨끗이 유지하였다.
- 보호자에게 회복실 들어가기 전 가운를 착용하게 한 후, 손 위생을 교육함.
< 단기 목표 >
대상자는 입원실 올라가기 전까지 수술부위에 부종, 발적, 열감을 관찰한 결과 감염 증상 없었음.
< Objective Date>
- 2016년 2월17일 Bx c/sec
- 종합의의 및 분석결과 WBC수치의 증가, LYM수치의 감소로 감염 위험성의 소견을 보임.
2. 대상자의 체온, 맥박, 호흡을 15분마다 3번, 30분마다 2번, 1시간 마다 2번 규칙적으로 사정한다.
활력징후, 체중과 신장과 같은 기초자료는 감염으로 발전될 조기징후와 증상을 파악하는데 도움이 된다.
기본간호학(하)P.26
대상자에게 작열감, 체온상승, 오한 등의 감염증상이 있으면 즉시 보고한다.
기본간호학(하)p.383
체온, 맥박, 호흡을 15분마다 3번, 30분마다 2번, 1시간마다 2번 규칙적으로 측정하고 이상이 있을 시 바로 알렸다.
3. 혈액검사 수치를 통하여 WBC, LYM수치를 확인한다.
염증 부위에 있는 백혈구가 어떤 물질을 분비해서 백혈구가 증가된다고 한다.
-성인간호학Ⅰp.139
WBC, LYM 수치를 확인하였다.
-2016년 2월 18일 (수술 다음날 검사지)
4. 수술절개 부위의 부종, 발적, 분비물, 열감을 확인하고 드레싱이 젖거나 오염되었을 시 교환해준다.
부종, 발적, 열감, 많은 분비물은 감염또는 잠재성 출혈을 알려준다.
기본간호학(하)p.197
간호사 선생님께서 수술부위의 부종, 발적, 분비물, 열감 등 확인하고, 분비물이 새어 나오고, 분비물이 많아서 즉시 드레싱을 무균법을 지켜 교환해주었다.
- 수술 부위의 드레싱을 깨끗하고 건조하게 유지하였다.
5. 처방된 항생제 약물(세프테졸나트륨)을 투여한다.
산후감염의 대부분은 다균성이기 때문에 복합항생제로 치료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감염의 증상과 징후가 나타나면 항생제 투여를 위한 배양과 혈액검사를 준비하고 약물에 대한 과민성을 사정한다.
여성건강강호학Ⅱp.221
수술 후 감염 예방을 위해 처방된 항생제(세프테졸나트륨) 1g을 투여하는 것을 관찰하였다.
< 장기 목표 >
대상자는 퇴원 시 감염 증세(발열, 맥박과 호흡수 증가, 림프절비대와 압통, 피부변화 등)가 나타나지 않았다.
< 장기 목표 >
대상자는 퇴원할 때까지 정상 호흡을 유지하였다.
<간호진단2> 수술 부위와 관련된 급성통증 ← 발표 ★
간호사정
계획
수행
평가
목표
간호계획
이론적 근거
< Subjective Date >
- “움직이려고 배가 너무 아파요.”
- “배가 아프고 뭉쳐 있는 느낌이에요.”
- “수술하고 나니 불편하네요.”
- “걸으려고 하니 수술부위가 아파요.”
<단기 목표>
대상자는 2일 이내에 통증 척도의 점수가 2점 이하로 표현한다.
<장기 목표>
대상자는 퇴원할 때까지 통증을 호소하지 않는다.
1. 통증에 대해 표현하도록 격려하고 통증이 심할 때마다 알릴 수 있도록 교육한다.
스스로 통증을 조절할 수 있다고 믿는 사람은 공포와 불안이 감소되어 통증지각이 저하된다.
기본간호학Ⅱ(현문사, p483)
간호사 선생님께서 통증이 있을 시 표현하게끔 설명하는 것을 관찰하였다.
< 단기 목표 >
대상자는 입원실에 올라가기 전 통증이 완화(NRS: 7점→2점)되었다고 말해주었다.
2. 통증 사정 척도를 이용하여, 복부(수술 부위)의 통증과 활력징후를 사정한다.
통증 존재 여부와 강도의 가장 중요한 지표는 대상자의 통증보고다.
기본간호학Ⅱ(현문사, p485)
통증관리 투약에 의해 혈압 하강하기도 한다.
여성건강간호학Ⅱ(p.220)
통증의 정도를 통증척도를 통해 확인하였다.
- 복부(수술부위)의 통증이 간헐적으로 있지만, 처음보다는 통증이 많이 사라졌다고 함.
NRS :
통증관리 투약 전, 혈압을 15분마다 3번, 30분마다 2번, 1시간마다 2 번 측정하였다.
- 측정 결과 : 혈압이 하강하는 것 없이 정상.
< Objective Date>
- 2016년 2월 17일 Bx c/sec
- 통증으로 인한 얼굴 찡그림.
- 복부(수술부위) 통증으로 인해 배위에 손을 올리고 웅크리고 계심.
- 통증 평가 도구(NRS):
통증 점수 7점.
3. 통증을 조절하는 호흡법이나 점진적 이완법에 대해 설명하고, 충분한 수면과 휴식을 취할 수 있도록 한다.
피부자극은 주의를 집중하게 하여 전환시킴으로써 통증지각을 줄인다.
기본간호학Ⅱ(현문사, p.504)
통증은 업무, 후식, 실내 활동, 수면, 개인적인 돌봄 활동과 상호작용한다.
기본간호학Ⅱ(현문사, P.249)
간호사 선생님께서 통증으로부터 주의 전환시키고, 근육긴장을 완화시켜 자궁으로 가는 유해압력 감소시키는 비약물적 요법으로 호흡법(심호흡), 이완요법([방법] 웃기, 규칙적으로 하품하기)을 사용하도록 교육하는 것을 관찰하였다. 또한 침대에서 편안하게 휴식을 취할 수 있도록 하고, 불편한 점이 있을 시, 바로 호출하도록 하였다.
< 장기 목표 >
대상자는 퇴원 할 때 통증을 호소하지 않았다.
4. 필요 시
처방된 진통제를 투여한다.
진통제 투여는 통증을 감소하거나 제거하기 위해 약물을 사용한다.
기본간호학Ⅱ(현문사, p.491)
처방에 따라 약(카페낙주사(디클로페낙나트륨), 75mg, IM )을 투여하는 것을 관찰하였다.
<간호진단3> 조직손상과 관련된 감염의 위험성
간호사정
계획
수행
평가
목표
간호계획
이론적 근거
< Subjective Date >
- “수술한 곳이 불편해요.”
- “수술한 곳이 화끈거려요”
<단기 목표>
대상자는 입원실 올라가기 전까지 수술부위에 부종, 발적, 열감 징후가 없어질 것이다.
<장기 목표>
대상자는 퇴원 전까지 분만으로 인한 조직손상으로 인해 감염위험성의 징후가 없도록 한다.
1.대상자를 대할 때 철저히 손 씻기 5단계를 실시하고 대한다.
손 위생은 병원감염을 예방하기 위한 가장 기본적이며 중요한 방법으로 손의 오염물질 및 일시균을 제거하고 미생물의 수를 줄일 수 있다.
기본간호학(하)P.29
대상자에게 간호를 할 때(처치 전과 후, 활력징후 측정시) 손 씻기 5단계를 철저히 하여 깨끗이 유지하였다.
- 보호자에게 회복실 들어가기 전 가운를 착용하게 한 후, 손 위생을 교육함.
< 단기 목표 >
대상자는 입원실 올라가기 전까지 수술부위에 부종, 발적, 열감을 관찰한 결과 감염 증상 없었음.
< Objective Date>
- 2016년 2월17일 Bx c/sec
- 종합의의 및 분석결과 WBC수치의 증가, LYM수치의 감소로 감염 위험성의 소견을 보임.
2. 대상자의 체온, 맥박, 호흡을 15분마다 3번, 30분마다 2번, 1시간 마다 2번 규칙적으로 사정한다.
활력징후, 체중과 신장과 같은 기초자료는 감염으로 발전될 조기징후와 증상을 파악하는데 도움이 된다.
기본간호학(하)P.26
대상자에게 작열감, 체온상승, 오한 등의 감염증상이 있으면 즉시 보고한다.
기본간호학(하)p.383
체온, 맥박, 호흡을 15분마다 3번, 30분마다 2번, 1시간마다 2번 규칙적으로 측정하고 이상이 있을 시 바로 알렸다.
3. 혈액검사 수치를 통하여 WBC, LYM수치를 확인한다.
염증 부위에 있는 백혈구가 어떤 물질을 분비해서 백혈구가 증가된다고 한다.
-성인간호학Ⅰp.139
WBC, LYM 수치를 확인하였다.
-2016년 2월 18일 (수술 다음날 검사지)
4. 수술절개 부위의 부종, 발적, 분비물, 열감을 확인하고 드레싱이 젖거나 오염되었을 시 교환해준다.
부종, 발적, 열감, 많은 분비물은 감염또는 잠재성 출혈을 알려준다.
기본간호학(하)p.197
간호사 선생님께서 수술부위의 부종, 발적, 분비물, 열감 등 확인하고, 분비물이 새어 나오고, 분비물이 많아서 즉시 드레싱을 무균법을 지켜 교환해주었다.
- 수술 부위의 드레싱을 깨끗하고 건조하게 유지하였다.
5. 처방된 항생제 약물(세프테졸나트륨)을 투여한다.
산후감염의 대부분은 다균성이기 때문에 복합항생제로 치료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감염의 증상과 징후가 나타나면 항생제 투여를 위한 배양과 혈액검사를 준비하고 약물에 대한 과민성을 사정한다.
여성건강강호학Ⅱp.221
수술 후 감염 예방을 위해 처방된 항생제(세프테졸나트륨) 1g을 투여하는 것을 관찰하였다.
< 장기 목표 >
대상자는 퇴원 시 감염 증세(발열, 맥박과 호흡수 증가, 림프절비대와 압통, 피부변화 등)가 나타나지 않았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