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두와 가나의 비교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이두와 가나의 비교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이두(吏讀)와 만요가나(万葉仮名)
2.가나(仮名)
1)히라가나
2)가타카나(片仮名)
3.이두(吏讀)와 만요가나(万葉仮名)의 차이점
<참고문헌>

본문내용

로 외국의 지명, 인명이나 외국어, 그리고 외래어의 표기에 주로 사용되게 되었는데, 이 역시 가타카나(片名)가 만들어질 때 당시로는 외국어였던 한문(漢文)을 읽는 데에 사용되었다는 사실과 무관하지 않을 것이다. 그밖에도 가타카나(片名)는 의성어, 일부의 동식물명과 전문용어, 그리고 무었을 강조하거나 두드러지게 나타내고자 할 때 사용되고 있다.
3.이두(吏讀)와 만요가나(万葉名)의 차이점
우리나라의 이두(吏讀)는 신라에서 고려로 나라가 바뀌면서, 더구나 과거제의 시행 등으로 한문(漢文)의 세력이 더욱 강성해지면서 더 이상 발전하지 못하고 한문(漢文)을 읽는데 필요한 구결(口訣) 정도로 겨우 명맥을 이어왔고 결국 훈민정음(訓民正音)의 창제로 그 설자리를 점차 잃어 갔지만 일본의 만요가나(万葉名)는 나라시대 이후에도 계속 폭넓게 사용되고 발전되어 히라가나(平假名), 가타카나(片名)와 같은 문자가 만들어지는 토대가 되었다.
<참고문헌>
한국일어일문학회 - 일본어의 역사 글로세움 2003
오희복 - 리두 赤樂 2002
서종학 - 이두의 역사적 연구 영남대 1995
홍기문 - 리두연구 한국문화사 1995
이남교 - 재미있는 일본말의 뿌리 넥서스books 2002
  • 가격8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16.03.13
  • 저작시기2016.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9687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