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스타트업의 개념과 국내외 사례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글로벌 스타트업의 개념과 국내외 사례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스타트업이란?
(1) 스타트업의 개념
(2) 스타트업과 벤처의 개념 비교
2. 스타트업의 유형
3. 스타트업의 속성
4. 스타트업의 고려요소
(1) 아이디어
(2) 고객개발
5. 스타트업의 국내외 성공 사례
(1) 레진 코믹스
(2) 직방
(3) 블루 에이프런

본문내용

주기(iteration)를 시작할 것이다.
6) 성숙한 실행. 고객 개발에서의 지혜는, 스타트업은 제품 출시 이전에 먼저 학습하고 반복하는 마인드를 가지는 시간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이 시간 동안, 그들은 사실에 기반한 정보를 수집하고, 창립자나 투자자에게 곤란한 상황 없이 내부적으로 방향을 바꿀 수 있다.
5. 스타트업의 국내외 성공 사례
(1) 레진 코믹스
레진 코믹스란 2013년 유료 웹툰 서비스이자 자체 플랫폼을 표방한 스타트업 사업으로 성공적으로 정착하면서 포털-무료 웹툰이 아닌 새로운 사업 모델을 만들게 되었고 이는 웹툰 시장에 새로운 붐을 일으켰다. 그렇게 개인이 자발적으로 만들던 웹툰은 2014년 현재 매주 4400여편의 작품이 연재되는 총 1700억원 규모의 거대한 시장으로 자리 잡았다.
현재 레진엔터테인먼트(대표 한희성)는 일본 시장을 겨냥한 만화 웹사이트를 개설했다. 글로벌 스타트업의 시작인 것이다. 레진은 \'4컷 용사\', \'유럽에서 100일\', \'법칙과 순서의 세계\', \'청춘로맨스\'등 국내 서비스를 통해 검증된 만화들의 일본어 버전을 먼저 공개했다. 일본 레진코믹스 사이트는 요일별 에피소드 공개, 매주 신규 웹툰 1편 이상 공개, 스크롤 뷰어 연재 방식 등 한국 서비스의 방식을 따르며 일본 작가들의 만화를 적극 유치해 현지화를 추구하고 있다. 또한 후지TV, 스퀘어 에닉스(게임 제작사), 토에이(영상 제작 배급사), 페이스북 재팬 등 일본의 대표 콘텐츠 업체들과 협력을 진행 중이라고 밝혔다.
(2) 직방
\'직방\'은 부동산 앱 시대를 연 스타트업이다. 직방은 안성우 채널브리즈 대표가 10여년 전 방을 구하면서 느낀 불편함에서 시작됐다. 이제는 직장인과 대학생들 사이에서 방을 구할 때 없어서는 안 될 앱의 하나로 자리 잡았다. 직방의 개발자는 지금까지 부동산 정보서비스는 매매 중심, 투자 정보 위주였고 신뢰도가 낮은 경우가 많아 오피스텔과 원룸을 중심으로 구체적이고 신뢰할 수 있는 정보를 모아보자는 취지에서 사업을 시작했다. 직방은 현재 배우 주원을 모델로 발탁하여 활발한 고객 유치를 하고 있으며 5000개의 중개업소를 회원사로 두고 있다. 지하철 역을 중심으로 정보를 제공하고 있지만 이용자 입장에서 좀 더 편리하게 찾을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을 모색 중이다. 장기적으로는 1인가구를 위한 주거서비스로 확장하기 위해 타사업 진출도 고민하고 있다고 한다.
(3) 블루 에이프런
블루 에이프런이란 직접 기른 재료와 셰프(요리사)들의 레시피를 정해진 시간에 배달해주는 음식배달 앱이다. 대도시의 바쁜 라이프 스타일 특성상 뉴욕커들의 니즈를 정확하게 파악한 것이다. 특히 블루 에이프런은 음식 메뉴를 정하면 알맞은 양의 재료와 레시피를 일주일에 한 번 집으로 배달 해 준다. 바로 이 점이 스스로 음식을 배우고 싶어 하는 소비자를 유혹하는 비결이다. 월 300만건의 배달 실적을 이룬 블루 에이프런은 최근 1억3,500만 달러(1,500억 여원)의 투자를 유치했고 20억 달러 (2조2,400억 여원)의 기업가치를 인정 받았다.
  • 가격6,3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6.03.13
  • 저작시기2015.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9688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