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부록 3. 응급실 사례보고서 양식 (간호과정 적용)
본문내용
처방된 인슐린이나 경구용 혈당 강하제를 제시간에 투여되는지 확인한다.
인슐린 주사나 경구용 혈당 강하제 복용 시 종종 저혈당에 빠지게 되고 즉각 대처하지 못하는 경우 의식을 잃을 수 있다.
인슐린을 투여 받는 대부분의 환자는 저혈당을 경험할 수 있고 이는 아주 흔한 경우이므로 이에 대한 교육은 매우 중요하다. (인슐린의 작용, 지속시간, 반응이 일어나기 쉬운 시기, 저혈당의 초기 증상 등)
저혈당의 증상은 어지러움, 떨림, 공복감, 허약감, 식은땀, 심계항진, 무의식 등이며 이때 사탕, 주스, 설탕, 음료수 등 단당류를 섭취해야 한다.
당뇨 시 식사는 체중, 총 에너지와 당질 섭취량을 조절하도록 한다. 당질은 가급적 복합당질을 섭취하고 단순당은 총열량의 10%를 넘지 않도록 한다. 포화지방이나 콜레스테롤은 동맥경화를 심화시키므로 삼가며 식사 시 저혈당증 예방을 위해 식사 간격 조절과 적절한 간식 배분이 중요하다.
식사요법으로 혈당이 조절되지 않을 때는 약물요법을 시도한다.
저혈당은 약물요법 시 혈당 조절이 되면서 생길 수 있는 당뇨의 급성 합병증으로 즉시 당순당의 섭취로 혈당을 올려야 한다.
체중변화를 확인할 수 있는 시각적인 증거가 된다. 빠른 증가 또는 감소는 수분불균형과 관련되어 있다. 체중의 증감은 영양상태를 반영한다.
간호수행
입원하여 hydration 하면서 증상 호전하였다.
Saline IV, Dextrose IV하여 저혈당 악화 방지하였다.
자가약물투약, 식이 등에 대한 교육 제공하였다.
활력징후를 측정하였다.
의식상태를 사정하였다.
날짜
시간
혈당
8/30
00:55
132
06:35
159
혈당 검사를 시행하였다.
식이섭취를 격려하였다.
저혈당 증상(진전, 빈맥, 발한, 감각 이상, 의식 변화)을 설명하였다.
질병에 대한 지식 정도를 확인하였다.
영양상담을 의뢰하였다.
궁금한 것에 대해 말하도록 격려하였다.
처방된 인슐린이나 경구용 혈당 강하제를 제시간에 투여하였다.
간호평가
증상 완화되어 퇴원하였다.
집에서 외래약 복용으로 혈당 조절 계획하였다.
퇴원약물을 처방받았다. (ASPIRIN PROTECT TAB. 100mg, CURAN TAB.300mg, NACL POW, TRAJENTA TAB, NORVASC TAB.5mg)
거르는 식이에 대한 교육이나 확인은 더 요구되어진다.
간호진단
질환과 관련된 감염 위험성
간호사정
객관적 자료 :
ESR40
MCHC 35.3
Neutrophil 83
Lymphocyte 11.1
Neut count 7.7
맥박수 증가(내원 중 가장 높은 맥박 수 94)
호흡수 22
고혈압 앓고 있음
낙상 고위험군(낙상 위험도 75점. 항응고제 투여환자, 지난 3개월간 낙상 경험 있음, 보행 혼자 할 수 없음, 침상 안정 상태)
간호목표
장기 목표
감염의 위험요인을 알고 필요한 예방조치를 할 수 있다.
감염 위험 징후를 보이지 않는다.
단기 목표
혈액검사 시 정상수치를 유지한다.
간호계획
계획내용
근거
활력징후를 측정한다.
감염 증상이 있는지 확인한다.
처방에 따라 수액 등 약물을 투여한다.
피부, 잇몸, 회음부에 감염과 관련된 병변이 있는지 관찰한다.
구강위생을 청결히 하도록 하고, 필요하면 치과의사에게 의뢰한다.
배뇨 시 가려움증, 작열감, 빈뇨, 탁하거나 악취가 나는 소변이 나오는지 확인한다.
감염 예방을 위한 주의사항을 교육한다.
낙상 예방 교육을 한다.
보호자 상주하도록 설명한다.
침대에서 내려올 경우 2~3분 앉아있다가 어지러운지 확인 후 내려온다.
`낙상주의‘표지판을 부착한다.
이동식 변기를 침상 가까이 배치한다.
외상을 입지 않도록 안전한 환경을 제공한다.
피부손상이 되지 않도록 조이는 양말이나 신발을 신지 않도록 교육한다.
당뇨병은 여러 종류의 감염에 예민하므로 일단 발생하면 치료가 어렵다.
감염은 인슐린의 요구량을 높인다.
당뇨병 대상자의 맥관계가 손상되어 손상된 부위로 산소나 영양소, 백혈구, 항체를 충분하게 옮길 수 없기 때문에 감염부위의 치유가 느리다.
질염, 방광염, 신우신염, 치주염, 농피증, 종기 등이 생길 수 있다.
쉽게 도움을 받을 수 있다는 것을 인지시켜 거동 불편 환자가 혼자 움직이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당뇨는 혈관장애와 말초신경에 손상이 잘 생기고 균에 대한 저항력이 낮아진다.
외상 발생 시 감염의 위험성이 높다.
혈압, 맥박, 호흡수 및 체온 상승은 감염의 지표이다.
간호수행
Side rail올려주었다.
활력징후를 측정했다.
감염 증상이 있는지 확인했다. (CBC, ESR, 피부 발적 등 검사)
처방에 따라 수액 등 약물을 투여했다. (NS IV 투여)
피부, 잇몸, 회음부에 감염과 관련된 병변이 있는지 관찰했다.
낙상 예방 교육을 하였다.
보호자 상주하도록 설명하였다.
`낙상주의‘표지판을 부착하였다
외상을 입지 않도록 안전한 환경을 제공하였다.
간호평가
응급 내원 시 낙상이 발생하지 않았다.
감염 수치가 점점 줄어들었다.
다른 감염 증후를 보이지 않았다.
경과
(평가)
저혈당 증상 완화되어 퇴원하였다. (혈당은 외래약 자가투여로 조절)
실습소감
지식 및 기술측면: IV 연습을 많이 시켜주셔서 IV에 대한 자신감과 지식, 그리고 노하우 등을 알 수 있어서 너무 좋았다. 이 외에도 다양한 환자분들께서 많이 오셔서 주 증상에 따른 사정방법이나, 드레싱 과정 등을 보고 들을 수 있어서 너무 보람찼다.
대인관계측면: 응급실 선생님들께서 너무 잘해주시고 하나 하나 다 챙겨주셔서 뿌듯했다. 내가 있는 병원에 실습을 나오는 학생들을 볼 때 나도 그 동안 많은 것을 배우고 얻어서 학생들에게 알려주는 선생님이 되어야 겠다.
윤리적 측면: 바쁘더라도 환자분을 존중한다는 의료진의 정성이 느껴져서 꼭 배워야겠다고 생각했다. 바쁜 와중에도 항상 환자분을 먼저 생각해야겠다.
기타 건의사항 : 그런 것 없이 너무 즐거웠던 시간이었다.
참고문헌 : 응급처치 박상규, 전태준 외 3명 저 | 라이프사이언스
간호진단과 중재 가이드 (NANDA) 김금자, 차영남 외 3명 저 | 현문사
인슐린 주사나 경구용 혈당 강하제 복용 시 종종 저혈당에 빠지게 되고 즉각 대처하지 못하는 경우 의식을 잃을 수 있다.
인슐린을 투여 받는 대부분의 환자는 저혈당을 경험할 수 있고 이는 아주 흔한 경우이므로 이에 대한 교육은 매우 중요하다. (인슐린의 작용, 지속시간, 반응이 일어나기 쉬운 시기, 저혈당의 초기 증상 등)
저혈당의 증상은 어지러움, 떨림, 공복감, 허약감, 식은땀, 심계항진, 무의식 등이며 이때 사탕, 주스, 설탕, 음료수 등 단당류를 섭취해야 한다.
당뇨 시 식사는 체중, 총 에너지와 당질 섭취량을 조절하도록 한다. 당질은 가급적 복합당질을 섭취하고 단순당은 총열량의 10%를 넘지 않도록 한다. 포화지방이나 콜레스테롤은 동맥경화를 심화시키므로 삼가며 식사 시 저혈당증 예방을 위해 식사 간격 조절과 적절한 간식 배분이 중요하다.
식사요법으로 혈당이 조절되지 않을 때는 약물요법을 시도한다.
저혈당은 약물요법 시 혈당 조절이 되면서 생길 수 있는 당뇨의 급성 합병증으로 즉시 당순당의 섭취로 혈당을 올려야 한다.
체중변화를 확인할 수 있는 시각적인 증거가 된다. 빠른 증가 또는 감소는 수분불균형과 관련되어 있다. 체중의 증감은 영양상태를 반영한다.
간호수행
입원하여 hydration 하면서 증상 호전하였다.
Saline IV, Dextrose IV하여 저혈당 악화 방지하였다.
자가약물투약, 식이 등에 대한 교육 제공하였다.
활력징후를 측정하였다.
의식상태를 사정하였다.
날짜
시간
혈당
8/30
00:55
132
06:35
159
혈당 검사를 시행하였다.
식이섭취를 격려하였다.
저혈당 증상(진전, 빈맥, 발한, 감각 이상, 의식 변화)을 설명하였다.
질병에 대한 지식 정도를 확인하였다.
영양상담을 의뢰하였다.
궁금한 것에 대해 말하도록 격려하였다.
처방된 인슐린이나 경구용 혈당 강하제를 제시간에 투여하였다.
간호평가
증상 완화되어 퇴원하였다.
집에서 외래약 복용으로 혈당 조절 계획하였다.
퇴원약물을 처방받았다. (ASPIRIN PROTECT TAB. 100mg, CURAN TAB.300mg, NACL POW, TRAJENTA TAB, NORVASC TAB.5mg)
거르는 식이에 대한 교육이나 확인은 더 요구되어진다.
간호진단
질환과 관련된 감염 위험성
간호사정
객관적 자료 :
ESR40
MCHC 35.3
Neutrophil 83
Lymphocyte 11.1
Neut count 7.7
맥박수 증가(내원 중 가장 높은 맥박 수 94)
호흡수 22
고혈압 앓고 있음
낙상 고위험군(낙상 위험도 75점. 항응고제 투여환자, 지난 3개월간 낙상 경험 있음, 보행 혼자 할 수 없음, 침상 안정 상태)
간호목표
장기 목표
감염의 위험요인을 알고 필요한 예방조치를 할 수 있다.
감염 위험 징후를 보이지 않는다.
단기 목표
혈액검사 시 정상수치를 유지한다.
간호계획
계획내용
근거
활력징후를 측정한다.
감염 증상이 있는지 확인한다.
처방에 따라 수액 등 약물을 투여한다.
피부, 잇몸, 회음부에 감염과 관련된 병변이 있는지 관찰한다.
구강위생을 청결히 하도록 하고, 필요하면 치과의사에게 의뢰한다.
배뇨 시 가려움증, 작열감, 빈뇨, 탁하거나 악취가 나는 소변이 나오는지 확인한다.
감염 예방을 위한 주의사항을 교육한다.
낙상 예방 교육을 한다.
보호자 상주하도록 설명한다.
침대에서 내려올 경우 2~3분 앉아있다가 어지러운지 확인 후 내려온다.
`낙상주의‘표지판을 부착한다.
이동식 변기를 침상 가까이 배치한다.
외상을 입지 않도록 안전한 환경을 제공한다.
피부손상이 되지 않도록 조이는 양말이나 신발을 신지 않도록 교육한다.
당뇨병은 여러 종류의 감염에 예민하므로 일단 발생하면 치료가 어렵다.
감염은 인슐린의 요구량을 높인다.
당뇨병 대상자의 맥관계가 손상되어 손상된 부위로 산소나 영양소, 백혈구, 항체를 충분하게 옮길 수 없기 때문에 감염부위의 치유가 느리다.
질염, 방광염, 신우신염, 치주염, 농피증, 종기 등이 생길 수 있다.
쉽게 도움을 받을 수 있다는 것을 인지시켜 거동 불편 환자가 혼자 움직이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당뇨는 혈관장애와 말초신경에 손상이 잘 생기고 균에 대한 저항력이 낮아진다.
외상 발생 시 감염의 위험성이 높다.
혈압, 맥박, 호흡수 및 체온 상승은 감염의 지표이다.
간호수행
Side rail올려주었다.
활력징후를 측정했다.
감염 증상이 있는지 확인했다. (CBC, ESR, 피부 발적 등 검사)
처방에 따라 수액 등 약물을 투여했다. (NS IV 투여)
피부, 잇몸, 회음부에 감염과 관련된 병변이 있는지 관찰했다.
낙상 예방 교육을 하였다.
보호자 상주하도록 설명하였다.
`낙상주의‘표지판을 부착하였다
외상을 입지 않도록 안전한 환경을 제공하였다.
간호평가
응급 내원 시 낙상이 발생하지 않았다.
감염 수치가 점점 줄어들었다.
다른 감염 증후를 보이지 않았다.
경과
(평가)
저혈당 증상 완화되어 퇴원하였다. (혈당은 외래약 자가투여로 조절)
실습소감
지식 및 기술측면: IV 연습을 많이 시켜주셔서 IV에 대한 자신감과 지식, 그리고 노하우 등을 알 수 있어서 너무 좋았다. 이 외에도 다양한 환자분들께서 많이 오셔서 주 증상에 따른 사정방법이나, 드레싱 과정 등을 보고 들을 수 있어서 너무 보람찼다.
대인관계측면: 응급실 선생님들께서 너무 잘해주시고 하나 하나 다 챙겨주셔서 뿌듯했다. 내가 있는 병원에 실습을 나오는 학생들을 볼 때 나도 그 동안 많은 것을 배우고 얻어서 학생들에게 알려주는 선생님이 되어야 겠다.
윤리적 측면: 바쁘더라도 환자분을 존중한다는 의료진의 정성이 느껴져서 꼭 배워야겠다고 생각했다. 바쁜 와중에도 항상 환자분을 먼저 생각해야겠다.
기타 건의사항 : 그런 것 없이 너무 즐거웠던 시간이었다.
참고문헌 : 응급처치 박상규, 전태준 외 3명 저 | 라이프사이언스
간호진단과 중재 가이드 (NANDA) 김금자, 차영남 외 3명 저 | 현문사
소개글